★서울 아파트값 6주
연속 하락…전세 변동률도
10년만에 최저★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의 하락세가 6주 연속 이어지고 낙폭도 더 커졌다. 시장이 관망세를 유지하면서
매도인들이 호가를 하향 조정하고 있지만 매수자들은 꿈쩍하지 않으면서 3기 신도시 발표 이후 시장 움직임을
살피고 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114는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이 -0.05%로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지난달 3째주 올해 첫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한 이후 -0.01~-0.04% 수준을 보이다 연내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송파와 강동 등에서 대단지 아파트의 가격이 일제히 하향 조정된 가운데 재건축(-0.09%)과
일반아파트(-0.04%) 시장이 모두 주춤했다.

지역별로는 송파(-0.35%), 강동(-0.06%), 도봉(-0.05%), 양천(-0.04%), 광진(-0.03%), 서초(-0.03%),
서대문(-0.02%) 순으로 약세를 보였다. 9·13대책 발표 이후 매수세가 끊기면서 가격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
송파는 대단지 랜드마크 단지인 신천동 잠실파크리오가 1000만~5000만원, 잠실동 잠실엘스가
2500만~3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강동은 매수 관망세로 거래가 뜸해지며 둔촌동 둔촌주공1·2·4단지가
500만~2000만원 정도 떨어졌고 도봉은 창동 주공4단지가 1000만~1500만원 가량 하락했지만
매도-매수금액간 차이를 보여 거래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양천은 목동 목동신시가지7단지(고층)이 2500만원
하락했고 광진은 자양동 우성1차가 500만원 가량 내렸다. 이와 달리 종로(0.03%), 성북(0.03%),
동작(0.03%), 노원(0.03%)은 저가 매물 위주로 거래가 간간히 이루어지며 소폭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신도시는 광교(-0.20%)와 파주운정(-0.02%)에서만 약세가 나타났다. 광교는 하동 힐스테이트광교가
2500만~4000만원 가량 떨어졌는데 올해 입주 이후 가격이 상승하다. 최근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하락폭이
컸다는 평가다. 파주운정은 이사 비수기에 접어들면서 매수세가 끊겨 와동동 가람마을9단지남양휴튼이 500만원 하락했다. 반면 중동(0.08%), 산본(0.07%), 평촌(0.01%), 일산(0.01%) 등은 오름세를 내비쳤다. 중동은 역세권 위주로 매수세가 이어지며 중동 은하쌍용이 500만원 가량 올랐고 산본은 산본동 주공11단지가 500만원,
주몽마을대림이 1000만원 정도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안성(-0.40%), 파주(-0.10%), 광명(-0.08%),
광주(-0.07%), 시흥(-0.04%), 이천(-0.04%), 평택(-0.02%) 등에서 하락세가 나타났다. 안성은 올해
5000가구 이상 신규 아파트가 공급됐고 미분양 관리지역 지정으로 공급과잉에 대한 리스크가 커지면서
석정동 신원아침도시가 1000만원 가량 하락했고 파주는 운정지구 새 아파트 입주가 이어지면서 금촌동
후곡마을뜨란채4단지가 500만~1000만원 떨어졌다. 최근 2~3개월간 급등했던 광명은 9·13 이후 매수세가
뜸해진 가운데 하안동 주공6·7단지가 1000만원, 11단지가 500만~1000만원 정도 가격이 내려갔다.
다만 성남(0.08%)과 수원(0.05%)은 비규제지역 효과 덕분에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매매에 이어 서울 전세시장도 -0.09%로 하락세가 커져 10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주간 변동률 기준 지난
2009년 1월 둘째주 -0.2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빠진 기록이다. 부동산114는 "서울 정비사업 이주시기 조절로 예년과 달리 재개발·재건축 이주수요가 몰리지 않았다"며 "임대 사업자의 전세매물 출시와 송파구 헬리오시티 등 신규 대단지 아파트 입주로 전세 매물도 여유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세가격은 강동(-0.31%),
송파(-0.30%), 종로(-0.25%), 구로(-0.17%), 동작(-0.16%), 서초(-0.15%) 등 대부분의 지역이 마이너스로
집계됐다. 강동은 암사동 암사e편한세상이 1000만원,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가 500만~1000만원
떨어졌으며 송파는 헬리오시티 입주 영향으로 인근 잠실 일대 대단지 전세가격이 하락해 잠실동 잠실엘스가
500만~2500만원, 신천동 잠실파크리오가 2500만~3500만원 내렸다. 대부분 지역이 약세를 보인 신도시는
평촌(-0.16%), 김포한강(-0.07%), 판교(-0.06%), 산본(-0.05%), 위례(-0.02%) 등이 하락했고 경기·인천은
파주(-0.21%), 화성(-0.21%), 광주(-0.18%), 안양(-0.15%), 고양(-0.13%), 안성(-0.12%), 구리(-0.10%),
의정부(0.10%) 순으로 내림세다. 서성권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정부가 발표한 3기 신도시가 기존 1·2기보다 서울에 더 가깝고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 광역 교통계획도 함께 공개되면서 그동안 시장이 요구했던
직주근접이 좋은 주택에 대한 공급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택시장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수급 불균형이 해소되고 시장 불안심리도 어느 정도 해갈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그는 "공급계획보다 중요한 것은 일관된 공급기조와 추진의지를 내보이는 것인데 지구지정이나
토지보상 등 3기 신도시 조성을 위한 과제가 산적해 있다"면서 "과거와 달리 토지 보상금이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으로 다시 흘러가 시장이 재차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말까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잠잠한 분위기를 이어갈 것"이라며 "미국이 금리를 다시 0.25%p 인상하면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한국 기준금리와 이에 연동한 대출금리 인상으로 매수자와 기존 주택담보대출자의
부담도 커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아파트 시장의 변동 전세가격 하락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은?
2019년 아파트 시장의 흐름은 어떻게 흘러갈까?
12월 마지막 부동산 세미나 예약 받습니다.
2019년 서울,수도권 아파트 정보
#부동산 재테크 1번지 대표님의 직강#

2019년, 아파트시장 어느곳이 뜰까...?
문정부 기간 아파트 가격 안정화 정책이 아파트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서울,수도권,지방권별 아파트 전망....
보유아파트 매도시기, 언제가 적절할까...?
놓치면 안되는 매도&매수 타이밍, 콕! 찍어 언제일까...?
☞ 열심히 발품도 팔아보고 이것저것 따져보고 노력하신 것 알고있습니다.
☞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따라가기 어려우신가요??
☞ 그 해답 '부동산재테크1번지'는 알고 있습니다.
★ 세미나 특징 ★
순수한 투자정보 제공만을 위한 핵심있는 세미나
30년 경력의 현장실무 전무가를 통한 생생한 투자정보
돈되는 투자와 주의해야 될 투자정보를 미리 알아보는 노하우 제공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료 세미나
세미나 후 당일 무료 개인상담 혜택
목적과 투자가용 자금별 1:1 맞춤식 투자 상담가능
★ 무료 세미나 & 무료 상담 참여방법 ★
사전 예약제(매회 사전 예약자 40명 한정)
전화&문자예약 : 010-9558-6939 김양훈팀장
인터넷 예약 : http://naver.me/xHCFV9Pn
★ 실전 전문가와 함께 하는 모임 ★
'재테크 동호회' 운영중 (참여 희망시 별도 신청 후 접수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