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 청년 54만명...경제 손실 연 7조원
조백건 기자
입력 2023.12.13. 16:44
외부와 관계를 끊고 생활하는 국내 ‘고립·은둔 청년’(19~39세)이 54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고립·은둔 청년들의 경제 활동 포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6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고립·은둔 청년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고립은 가끔 외출을 하는 상태, 은둔은 아예 외출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지난 7~8월 전국 19~39세 고립·은둔 경험이 있는 남녀 2만13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벌였다. 고립·은둔 청년을 타깃으로 한 정부의 첫 조사였다.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립·은둔 시작 시기는 20대(60.5%)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10대(23.8%), 30대(15.7%) 순이었다. 고립·은둔에 들어간 이유에 대한 질문엔 ‘취업 실패’(24.1%), ‘대인 관계 어려움’(23.5%), ‘가족 관계 문제’(12.4%) 순으로 답했다. 고립·은둔 기간은 1~3년 미만(26.3%)이 가장 많았고 3~5년 미만(16%), 3개월 미만(15.4%)이 뒤를 이었다.
고립·은둔 청년을 성별로 보면 여성(72.3%)이 남성(27.7%)의 약 2.6배였다. 연령별로는 25~29세(37%), 30~34세(32.4%), 35~39세(15.7%) 순이었다. 이들의 학력은 대학교 졸업(75.4%)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그 다음이 고등학교 졸업(18.2%), 대학원 이상(5.6%)이었다. 약 90%가 미혼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고립·은둔 기간이 길수록 재고립·은둔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고립·은둔 기간이 1년 미만인 사람이 재고립·은둔을 경험한 비율은 39.8%였다. 이에 반해 고립 기간이 10년 이상인 사람의 재고립·은둔 경험 비율은 77.7%에 달했다. 재고립·은둔의 이유에 대해선 ‘돈 시간이 부족해서’(27.7%), ‘힘들고 지쳐서’(25%),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22.9%)라고 답했다.
Play
Unmute
Current Time
0:00
/
Duration
0:00
삶의 만족도도 매우 낮은 편이었다. 고립·은둔 청년의 삶 만족도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3.7점이었다. 전체 청년 점수(6.7점)의 절반 수준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인 관계와 경제적 상황, 건강 상태 등 거의 모든 생활 기반이 취약한 상태였다”고 했다.
이들은 평소 사람을 만나지 않고 혼자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등 동영상 시청’(23.2%), ‘온라인 활동’(15.6%) 등으로 시간을 보낸다고 답했다. 이들 중 대부분(75.7%)은 자신을 ‘경제적 하층민’이라고 답했고, 과반이 ‘신체 건강이 안 좋다’(56.1%), ‘정신 건강이 안 좋다’(63.7%)고 했다. 심리적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복수 응답)으로는 ‘미래와 희망 없음’(66.3%), ‘타인의 시선’(62%), ‘대인 접촉 두려움’(47.8%)을 꼽았다. 복지부는 “고립·은둔 청년의 75.4%가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고, 이 중 26.7%가 자살 시도를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전체 청년 평균 자살 생각 비율(2.3%)에 비해 매우 높았다”고 했다.
그런데 고립·은둔 청년 중 80.8%는 ‘현재 상황에서 벗어나길 원한다’고 답했고, 67.2%는 ‘탈 고립·은둔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외부 도움을 받지 못한 이유에 대해선 ‘어디서 도와주는지 몰라서’(28.5%), ‘비용이 부담스러워서’(11.9%), ‘지원 기관이 없어서’(10.5%)라고 답했다.
조백건 기자
조백건 기자
정책부 근무
기사 전체보기
많이 본 뉴스
“현, 한번만” 절규하며 슬리퍼 벗겨지게 버텼다… 전청조 체포 영상
“현, 한번만” 절규하며 슬리퍼 벗겨지게 버텼다… 전청조 체포 영상
검찰, ‘돈봉투’ 송영길 구속영장...8억대 불법 정치자금 혐의도
검찰, ‘돈봉투’ 송영길 구속영장...8억대 불법 정치자금 혐의도
김하성 술자리 목격자 “혜동이가 ‘쳐봐 쳐봐’ 했다”
김하성 술자리 목격자 “혜동이가 ‘쳐봐 쳐봐’ 했다”
100자평1
도움말삭제기준
100자평을 입력해주세요.
찬성순반대순관심순최신순
정원지기
2023.12.13 17:21:51
오냐오냐 키우고, 학교는 인권에 아동학대, 성희롱 등으로 손도 못대게 하고 최소 청소도 못하게 되었고 모든 게 무상이니 힘들게 일할 필요, 근로의 가치를 알 길이 있나. 표에 바름까지 왜곡한 국회의원, 교육도 모르는 일반행정직이 정책을 좌지우지하는 교육부, 재삼선만 노리는 친전교조 교육감이 책임져야 한다. 예전 박정희, 김종필 등은 사범 졸업의 교사 출신이라 교육을 알았지만 이후 대통령의 인식, 통치철학도 문제가 있다.
답글작성
1
0
많이 본 뉴스
1
“현역땐 잘 나갔는데...” 노후에 가난해진 사람들의 3가지 특징
2
[속보] 김기현, 이준석과 비공개 회동…거취 논의
3
“尹이 신군부? 野의 영화 선동에 왜 못 받아치나” 與지지층 분노
4
“현, 한번만” 절규하며 슬리퍼 벗겨지게 버텼다… 전청조 체포 영상
5
검찰, ‘돈봉투’ 송영길 구속영장...8억대 불법 정치자금 혐의도
6
“퇴직하면 뭘 하지?” 80대 선배들이 알려준 지금 해야 할 3가지 [행복한 노후 탐구]
7
김하성 술자리 목격자 “혜동이가 ‘쳐봐 쳐봐’ 했다”
8
흰 눈밭 위 선명한 혈흔… 우크라, 러 망명 반역자 암살 현장 공개
9
아들아, 아빠 새 차 뽑았다… 6070이 변했다
10
검찰, '백현동 수사 무마 금품 수수 의혹' 곽정기 전 총경 소환
오피니언
정치
국제
사회
조선경제
스포츠
건강
컬처·
스타일
조선
멤버스
DB조선
조선일보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개인정보처리방침
앱설치(aos)
사이트맵
Copyright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