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1분기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0대 건설사 명단 공개
- 1명 이상 사망사고 발생 발주청 11개소, 시·군·구 30개소 -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22년 1분기 중 건설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 및 관련 하도급사, 발주청, 지자체 명단을 공개하였다.
□ 국토교통부가 국토안전관리원이 집계하는 CSI 통계를 통해 분석한 결과 ’22년 1분기 중 건설사고사망자는 총 55명이며, 이 중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4명이다.
ㅇ 사망사고가 발생한 100대 건설사는 7개 사며, 관련 하도급사는 8개 사다. 지난 분기 대비 100대 건설사는 7개 사, 하도급사는 8개 사, 사망자는 3명이 감소하였다.
* ’21년 4분기 100대 건설사 사망사고 : 100대 건설사 14개 사, 관련 하도급사 16개사, 사망자 17명 발생
□ 우선, 100대 건설사에서는 HDC현대산업개발㈜ 광주 아파트 붕괴사고(1.11)에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현대건설㈜의 2개 현장에서 각 1명씩 2명, 요진건설산업㈜의 현장에서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ㅇ 그 외 디엘이앤씨㈜, ㈜한화건설, 계룡건설산업㈜, 화성산업㈜ 등
4개사 현장에서 각 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ㅇ 사망사고와 관련된 하도급사는 가현건설산업㈜, 다올 이앤씨㈜,
현대엘리베이터㈜, 화광엘리베이터㈜, 광혁건설㈜, ㈜원앤티에스, 새만금준설㈜, 화성산업㈜ 등 8개 사다.
[표1] 상위 100대 건설사(하도급사 포함) 사망사고 발생현황(’22.1∼3월)
시공사 | 시평순위 (‘21년) | 도급액 순위 (‘21년) | 진행중 공사(개소) (4.22기준) | 사망자 (명) | 사고일 | 공 사 명 |
원도급 | 하도급 |
HDC현대산업개발㈜ | 가현건설산업(주) | 9 | 12 | 47 | 6 | 1.11 | 광주 화정 IPARK 주상복합 신축공사 |
현대 건설(주) | - | 2 | 1 | 162 | 1 | 1.12 | 힐스테이트 송도 더스카이 |
다올 이앤씨(주) | 1 | 2.16 | 세종~포천고속도로 안성~구리건설공사(제14공구) |
요진건설산업(주) | 현대엘리베이터(주) 화광엘리베이터(주) | 74 | 75 | 15 | 2 | 2.8 | 판교 제2테크노밸리 E8-3 업무시설, 연구시설 신축공사 |
디엘 이앤씨(주) | 광혁 건설(주) | 8 | 10 | 84 | 1 | 3.13 | 수도권광역급행철도A노선 민간투자시설사업 건설공사 |
㈜한화 건설 | ㈜원앤 티에스 | 11 | 9 | 80 | 1 | 3.28 | 인천 주안 도시개발 1구역 복합건물 신축사업 |
계룡건설산업(주) | 새만금 준설(주) | 18 | 20 | 76 | 1 | 3.8 |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매립공사 |
화성 산업(주) | ㈜에프엠 이엔씨 | 44 | 32 | 37 | 1 | 2.16 | 평택 부대동 신축공사 |
□ ’22년 1분기 중 공공공사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1명이며, 민간공사는 44명이다. 공공공사의 발주청은 군산지방해양수산청 등 11개 기관으로 각 1명이 사망하였다.
[표2] 발주청별 사망사고 발생현황(’22.1∼3월)
발주청 | 사망자 (명) | 사고일 | 공 사 명 |
군산지방해양수산청 | 1 | 1.11 | 군산항 및 장항항 유지준설공사 |
울주군청 | 1 | 1.15 | 농업생산기반시설(권양기) 긴급 유지보수공사-2차 |
충청북도청주교육지원청 | 1 | 1.19 | 청주여고 후관교사 천장 및 바닥 교체공사 |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 1 | 1.26 | 광주농성 1BL 및 광주도산 1BL 아파트 건설공사 1공구 |
한국도로공사 | 1 | 2.16 | 세종~포천고속도로 안성~구리 건설공사(제14공구) |
탐라사랑(주) | 1 | 2.23 | 제주대학교 생활관 신축 임대형 민자사업(BTL) 철거공사 |
서산시청 | 1 | 2.23 | 동문1동 종합청사 건립부지 토목공사 |
강원도춘천교육지원청 | 1 | 2.26 | 춘천교육지원청 청사 이전 신축공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1 | 3.5 | 기초과학연구원 POSTECH 캠퍼스 건축공사 |
새만금개발공사 | 1 | 3.8 |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매립공사 |
에스지레일(주) | 1 | 3.13 | 수도권광역급행철도A노선 민간투자시설사업 건설공사 |
ㅇ ’22년 1분기 민간공사의 사망사고가 가장 많았던 인·허가기관이 소속된 광역자치단체는 경기도로 화성시에서 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총 1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인·허가기관 별 사망사고 발생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3] 인·허가 기관 별 사망사고 발생현황 (인․허가한 민간공사 기준)
지역 | 사망자 | 인․허가기관 현황 |
경기도 | 12 | 화성시(4명), 성남시(2명), 안성시, 평택시, 고양시, 양주시, 안양시 동안구, 남양주시(각 1명) |
광주광역시 | 6 | 서구(6명) |
부산광역시 | 5 | 진구(2명), 강서구, 기장군, 연제구(각 1명) |
인천광역시 | 4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강화군, 미추홀구, 중구(각 1명) |
서울특별시 | 3 | 강동구, 마포구, 서초구(각 1명) |
대구광역시 | 2 | 달서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각 1명) |
충청남도 | 2 | 천안시 동남구, 당진시(각 1명) |
경상남도 | 2 | 창녕군, 창원시 성산구(각 1명) |
경상북도 | 2 | 김천시, 성주군(각 1명) |
※ (1인 사망 지자체, 총 2개소) 대전광역시 대덕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민간공사 중 4명의 사망자는 인‧허가기관이 없는 직영공사 등에서 발생
□ 국토교통부는 사망사고가 발생한 15개 대형건설사 및 관련 하도급사에 대해서는 6월까지 특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ㅇ 4분기 이상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중대한 건설사고가 발생한 건설사의 경우 기간을 확대하고 추가 인력을 투입하는 집중 점검도 시행할 계획이다.
ㅇ 한편, ´21년 4분기 사망사고 발생 대형건설사의 113개 건설현장과 관련 하도급사가 참여 중인 건설현장 21개에 대해서 `22년 3월4일부터 4월8일까지 불시점검을 실시하였다.
- 점검결과, 총 204건의 건설기술 진흥법 위반 사례를 적발하였다. 199건에 대해서는 주의 및 현지시정 조치하였으며, 벌점 1건, 과태료 4건에 대하여서는 이의신청 등의 절차를 거쳐 행정처분을 검토할 계획이다.
[표4] ’22.3~4월 특별점검 결과 (’21.4분기 사망사고 발생 대형 건설사)
시공사 | 점검현장 수 | | 지적건수 |
합계 | 벌점 | 과태료 | 현지시정 | 주의 |
합 계 | 134 | 204 | 1 | 4 | 197 | 2 |
원도급사 | 신동아건설㈜ | 4 | 6 | 1 | 1 | 4 | 0 |
쌍용건설(주) | 8 | 15 | 0 | 2 | 13 | 0 |
계룡건설산업(주) | 5 | 10 | 0 | 1 | 9 | 0 |
디엘이앤씨(주) | 14 | 20 | 0 | 0 | 20 | 0 |
㈜케이씨씨건설 | 10 | 18 | 0 | 0 | 18 | 0 |
㈜태영건설 | 13 | 18 | 0 | 0 | 18 | 0 |
㈜한라 | 8 | 13 | 0 | 0 | 13 | 0 |
현대건설(주) | 13 | 12 | 0 | 0 | 12 | 0 |
에스지씨 이테크건설(주) | 5 | 11 | 0 | 0 | 11 | 0 |
현대엔지니어링(주) | 9 | 9 | 0 | 0 | 9 | 0 |
극동건설(주) | 8 | 8 | 0 | 0 | 8 | 0 |
삼부토건(주) | 7 | 8 | 0 | 0 | 8 | 0 |
삼성물산(주) | 6 | 7 | 0 | 0 | 7 | 0 |
양우건설(주) | 3 | 6 | 0 | 0 | 6 | 0 |
하도급사 | ㈜케이이씨 | 3 | 9 | 0 | 0 | 8 | 1 |
㈜대륭개발 | 3 | 7 | 0 | 0 | 7 | 0 |
구산토건㈜ | 3 | 5 | 0 | 0 | 5 | 0 |
대양건설㈜ | 2 | 5 | 0 | 0 | 4 | 1 |
정품건설산업㈜ | 2 | 4 | 0 | 0 | 4 | 0 |
대흥건설㈜ | 1 | 4 | 0 | 0 | 4 | 0 |
일우건설산업㈜ | 1 | 2 | 0 | 0 | 2 | 0 |
초석건설산업 | 2 | 2 | 0 | 0 | 2 | 0 |
윤성건설㈜ | 1 | 2 | 0 | 0 | 2 | 0 |
광민건업㈜ | 2 | 2 | 0 | 0 | 2 | 0 |
㈜비엔지이엔씨 | 1 | 1 | 0 | 0 | 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