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木으로 소토해 주어야할 戊土 일간 12
2. 卯戌합으로 묶여도 戌土 월지는 힘이 있다. 13
3. 기신 巳火가 申金과 합해서 용신 水로 변화 14
4. 丁癸충 되어 신약해진 사주 15
5. 식신으로 제살해야 하는 신약 사주 16
6. 일지에서 투간된 甲木을 용신으로 하는 사주 17
7. 신강사주지만 金을 통관 약신으로 쓰는 사주 18
8. 甲木 일간이 뿌리가 없고 子午충 되어 신약 19
9. 신약한 사주에서 火 용신이 金으로 변질 20
10. 탐합망충(貪合忘冲)이 잘 안 되는 신약사주 21
11. 아능구모(兒能求母) 사주 22
12. 관인상생이면서 통관용신 사주 23
13. 종아격 사주 24
14. 건록격에 편관을 용신으로 함 25
15. 亥乙未 木국이 강해서 午火를 용신으로 씀 27
16. 식신제살보다 관인상생으로서 인성이 용신 28
17. 통관약신으로 木을 쓰는 사주 29
18. 亥卯己 준목국에 신강하여 편관이 용신 30
19. 더운 계절에 화가 많아 水가 용신 31
20. 丙火가 3병존되어 있어도 신약한 사주 32
21. 신강사주로 빼고 또 빼는 법칙으로 용희신 33
22. 진종재격 사주 34
23. 가종격 사주 35
24. 화기격 비슷한 사주지만 신약사주 구조 36
25. 寅申충 되어도 申金이 용신 37
26. 용신이 일간합이 아닌 타간과의 합을 이룸 38
27. 子辰 水가 잘 안 되는 신약사주 39
28. 종격 같지만 신약한 사주 40
29. 甲己합으로 화기격 성향의 가종격 41
30. 용신이 어느 정도 힘 있는 신약사주 42
31. 준방국 寅辰卯가 있는 일간대행격 43
32. 인성용신이고 일간이 희신인데 일간이 합된 사주 44
33. 신금 용신이 무력한 것 같이 보이지만 임수와 해수가 있어 버티는 사주 45
34. 조후 약신이 중요한 사주 46
35. 종아격도 되면서 일간대행격인 사주 47
36. 亥卯己 준삼합으로 종하는 종아격 사주 48
37. 아능구모 구조가 아닌 관인상생 구조 49
38. 아생우생(我生又生) 법칙과 오행 생극제화법칙이 중요한 사주 50
39. 관을 용신으로 하는 신강 사주 51
40. 양인 용신이지만 조후 약신이 중요한 사주 52
41. 寅申충으로 신약이 된 사주 53
42. 관인상생이 필요한 사주 54
43. 종재격이자 토체국 55
44. 가종격이자 신강사주 56
45. 아능구모 사주 57
46. 신강이고 일간대행격이면서 화기격 58
47. 관인상생 해 주어 통관용신을 쓰는 사주 59
48. 관인상생해야 하는 통관 인성용신 사주 60
49. 천간의 관용신이 쟁합을 하는 경우 61
50. 火土가 많아 습토를 용신으로 하는 사주 63
51. 卯木이 있어도 丁火 용신이 파격인 사주 65
52. 조후 용신이며 관성인 壬水를 용으로 한다. 67
53. 합이 많아 유정한 신약 사주 68
54. 巳酉丑 삼합에 의해 신약해진 사주 69
55. 丁癸 쟁충이 있는 신약 사주 70
56. 水가 체로서 신약해서 金이 용신인 사주 71
58. 金이 체신으로 강해서 水가 용신인 사주 73
59. 火가 체신, 水를 용신으로 하는 신강 사주 74
60. 甲卯辰 준방국이 있지만 신약한 사주 75
61. 金인성이 많아 신강하고, 이를 극하는 재성 巳火를 용신으로 씀 76
62. 亥子丑 水방국을 이루어 종재격인 사주 77
63. 편관 월지를 용신으로 하는 신강 사주 78
64. 亥卯未 삼합 목국(木局)으로 신강해진 사주 79
65. 丑土를 용신으로 삼는 신약 사주 80
66. 亥卯未 준목국(木局)이 있어 신강해진 사주 81
67. 신강사주이면서 약간의 가종격도 되는 사주 82
68. 火가 많아 습토(辰土)를 용신으로 함 83
69. 식상 辛金을 용신으로 쓰고 재성을 희신으로 쓰는 사주 84
70. 천간에 드러난 글자가 용신 85
71. 신강이면서 가종격인 사주 86
72. 금수쌍청 사주로 金이 많아 신강한 사주 87
73. 丙火 용신이 丙辛합이 된 신강사주 88
74. 진종격(종왕격) 89
75. 가종격이지만 통관글자가 용신 90
76. 종왕격(진종)이며 설기 시키는 글자가 용신 91
77. 子丑합토가 되어 토가 많은 신약 사주 92
78. 파격 글자를 용신으로 쓸 수 없는 신강사주 93
79. 丁火가 3개의 甲木들로 신강해진 사주 94
80. 木이 많아 신약해 火를 용신으로 하는 사주 95
81. 水生木, 木生火로 木 통관용신을 쓰는 사주 96
82. 일간대행격 사주 97
83. 金으로 종한 종관격 사주 98
84. 亥월에 신약한 辛金이라 온토가 용신 99
85. 종격이 될 듯하지만 신약한 사주 100
86. 신강 사주 같지만 신약한 사주 101
87. 卯 관성이 있어 진종이 안된 가종격 사주 102
88. 일간대행격 사주 103
89. 합보다 월지를 중시한 종관격이자 일간대행격 사주 104
90. 종아격이지만 통관용신을 쓰는 사주 106
91. 신강이면서 가종격인 사주 106
92. 甲己합 火가 되어 진종격 사주 107
93. 가종을 일으키는 글자가 기신일 때 108
94. 용신의 뿌리가 충이 되어 약한 경우 109
95. 관다신약 사주(식신제살과 관인상생 필요) 110
96. 신약한 사주로 水 일간체를 용신으로 하는 사주 111
97. 용신 고립에 일간이 재와 합을 이룸 112
98. 용신이 남편성을 합반시키는 사주 113
100. 준삼합에 의해 약간 신강해진 사주 116
목차를 보면 아시겠지만, 새로이 용신격국들과 다중격국들을 통해 다양한 용신들의 유형과 범주를 정립시키려고 노력했습니다. 100개의 사주명조들을 통해서 기본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용신들을 찾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유료 강의는 장터에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daum.net/2040/MsL/63732?svc=cafeapi
감사합니다.
피크닉 신영호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