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자용신 전구월령(八字用神 專求月令)'
격국법의 큰 줄기를 말한 유명한 문장입니다.
그런데 이 문장을, '용신은 무조건 월령에 있어야만 한다.'라는 뜻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책은 "월령에 용신이 없을 때도 있다."라고 논했습니다.
그리고 "월령에 용신이 없을 때에는 영취용신(另取用神)하라."라고 분명하게 적시(摘示)하고 있습니다.
월령에 용신이 없는 경우는 월령이 일간과 같은 오행일 때, 즉 월령이 비견이나 겁재일 때입니다. 이때는 월령을 용신으로 쓰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재성, 정관, 칠살, 식상 중에서 천간에 드러나거나 지지에서 회(會)한 것을 찾아 용신으로 써야 합니다. 원문이 ‘회(會)’라고 특정한 것으로 보아 육합(六合)한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 듯합니다.
그리고 이 원칙을 따라야 하는 격국은 양인격과 록겁격(건록월겁격)입니다.
(다만 양인격은 위에서 말한 '식상'을 쓰지 않습니다)
원문은 “그러나 끝내 월령을 위주로 한 연후에 용신을 찾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는데, 이 문장은 ‘반드시 월령에서만 용신을 찾아야 한다.’라는 뜻이 아닙니다.
‘월령을 우선으로 살펴서 찾는 게 원칙이며, 만약 월령에 용신이 없으면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한다.’라는 뜻입니다.
본래 월지가 비견이나 겁재에 해당하면 격으로 논하지 않았던 것이 옛날부터의 취격(取格)의 정석(定石)이었지만, 명청대 경촌집에 와서 그것을 록겁격과 양인격으로 입격(立格)시키는 바람에 격국법이 난해해졌습니다.
그래서인지 아직도 "양인격과 록겁격도 월령이 용신이다."라고 우기는 역술인이 많습니다.
격국법이 너무 어려워서 그렇습니다.
때문에, 아직도 격(格)과 용신(用神)을 구분하지 못하면서 격국법 강의 글을 쓰는 역술인이 많습니다.
격과 용신을 뒤섞은 글을 쓰면 안 된다는 말씀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