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90%는 ‘2형 당뇨’…40세 이전 발병 증가 추세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전 세계 당뇨 환자는 약 5억 3700만 명이다. 이 중 90%는 ‘제2형 당뇨병’ 환자다. 청소년부터 40세 이전 젊은층에서 당뇨병 발병이 크게 늘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팀에 의하면 위와 같은 12가지 요인이 혈당을 올리므로 이에 대한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 [그림=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코메디닷컴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팀(교신저자: 영국 레스터대 당뇨병연구센터 멜라니 데이비스 교수)이 영국의학저널 《란셋(Lancet)》에 최근 발표한 내용이다. 연구팀은 당뇨병의 역학, 병태 생리, 선별 및 진단, 합병증, 예방, 관리법 등 최근 20년간의 당뇨병 치료 발전 양상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포괄적으로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 의하면 당뇨병 합병증과 이로 인한 사망을 막으려면 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위험군은 식이요법, 운동 등을 통해 체중을 관리해야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정밀의학이 발전하면서 당뇨병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고 새로운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완치를 위한 표적치료가 탄생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연구팀은 “치료의 패러다임이 단순 혈당 조절을 넘어 환자 개개인 중심의 전인적 치료로 변화하고 있다”며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인 SGLT-2 억제제, GLP-1 유사체 등을 적극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단, 의료진이 새로운 치료법을 꺼리고 기존 방식에 고착화된 ‘임상적 타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의료진 1677명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설문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67%가 새로운 혈당강하요법에 대해 알고 있고, 81.6%는 조기에 해당 요법을 시행하면 임상적 이점이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6.1%는 이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뒤늦게 적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출시된 지 오래된 약들 중 저혈당증이나 체중 증가 위험을 증가시키는 제품들 또한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연구팀은 진료 시간 감소, 사용 가능한 약물 제한, 높은 의료비용이 실타래처럼 엮여있어 임상적 타성이 개선되지 않는다고 보고, 이를 타개하려면 환자 중심의 다학제적 치료법을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의사와 환자가 치료 지침을 공유하고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등이 서로 협력해 다학제팀으로 일해야 효과적으로 임상적 타성을 완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에는 연속 혈당 측정기, 인슐린 자동 주입기 등이 1형 당뇨뿐 아니라 2형 당뇨 환자에게도 확장돼 쓰이고 있다. 웨어러블 기술을 이용한 신체 활동 모니터링, 식사 칼로리 계산, 체성분 분석 등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치료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개선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관련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