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필리핀 내 석유제품 수요 매년 꾸준히 증가 -
- 한국산 석유제품 수입량 전년대비 대폭 성장 -
□ 품목: 경유/석유화학 (HS Code: 2710.19)
□ 경유/석유화학 시장 동향
ㅇ 2018년, 필리핀 내 석유제품 수요 증가
- 필리핀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에 따르면 2017년 1억 6650만 배럴이던 석유제품의 수요는 2018년 1억 6880만 배럴로 증가했으며 이는 하루 평균 46만 배럴에 달함.
- 2018년 기준, 디젤은 7089만 배럴로 내수의 42%를 차지해 가장 큰 점유율을 보였으며, 가솔린과 LPG는 각각 4051만 배럴(24%), 1688만 배럴(10%)을 차지함.
- 2018년 기준, 석유 수입 부문에서 가공유는 45%의 비중을 차지하여 전년대비 24% 증가한 74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원유는 55%의 비중을 차지, 전년대비 42% 증가한 62억 달러로 집계됨.
2018년 필리핀의 석유제품 수요
(단위: 배럴, Barrel)
품목 | 2017 | 2018 | 점유율(%) | 증감율(%) 17/18 |
디젤(Diesel) | 68,697,674 | 70,896,000 | 42 | 3.2 |
가솔린(Gasolin) | 39,332,039 | 40,512,000 | 24 | 3 |
LPG | 15,345,455 | 16,880,000 | 10 | 10 |
기타(Others) | 43,124,832 | 40,512,000 | 24 | -6.1 |
총합 | 166,500,000 | 168,800,000 | 100 | 0.2 |
자료: 필리핀 에너지부(DOE)
ㅇ 세부 남부 지역의 새로운 유전 개발
- 2009년 용역 업체를 통해 유전 탐사 및 시추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2018년 초 필리핀 에너지부는 세부 남부 지역 알레그리아(Alegria) 유전에 대량의 천연가스 및 원유가 잠재되어 있음을 발표한 뒤 당해 중국 국제 광업 석유공사(China International Mining Petroleum Co. Ltd., CIMP)와 공동 상업 전선(JDC)을 체결함.
- 공동 상업 전선(JDC) 체결로 인해 CIMP 측은 세부 알레그리아 유전에서 하루 360 배럴에 달하는 양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하며, 필리핀 에너지부(DOE) 측은 이번 JDC의 체결이 세부 지역 석유 공급에 지속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힘.
ㅇ 필리핀 서부 해역 공동 탐사를 기획하는 중국 및 필리핀 당국
-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8년 11월 양해각서(MOU)를 체결, 1년간 필리핀 서부 해역 공동 탐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2019년 11월까지 구축하기로 함.
ㅇ 필리핀의 석유 생산
- 2019년 5월 기준, 필리핀은 한 달 68387 배럴을 생산하며 일일 생산량으로 환산 시 2280배럴을 생산함.
- 갈록 유전(Garloc Oil Field)에서 총생산량의 92.47%가량을 생산했으며, 말람파야 가스전(Malampaya Gas Field)에서 가스를 일 평균 456 mmscf*, 콘덴세이트(Condensate)를 일 평균 11818 배럴 생산함.
*Million Standard Cubic Feet, 백만 평방 피트
필리핀의 석유제품 생산량
자료: 필리핀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
□ 수출입 동향
ㅇ (수입) 필리핀의 석유 및 역청유 수입 규모는 꾸준히 증가
- 2018년 기준, 33억 9236만 달러 규모를 보이며 전년 대비 12.56% 성장
- 상위 10개국 중 중국, 한국, 태국, 대만, 인도 제품 수입액이 증가했으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일본, 미국, 아랍에미리트의 수입액이 전년 대비 감소함.
- 한국은 2위로 25.37%의 수입 비중을 차지, 전년대비 74.47%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 호조를 보임.
필리핀 석유와 역청유 수입 추이
(HS Code: 2710.19)
순위 | 국가 | 수입금액 (천 달러) | 비중(%)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전 세계 | 2,194,666 | 3,013,708 | 3,392,360 | 100.00 | 100.00 | 100.00 | 12.56 | |
1 | 중국 | 818,168 | 1,368,401 | 1,465,145 | 37.28 | 45.41 | 43.19 | 7.07 |
2 | 한국 | 252,640 | 493,310 | 860,684 | 11.51 | 16.37 | 25.37 | 74.47 |
3 | 싱가포르 | 405,888 | 465,459 | 396,794 | 18.49 | 15.44 | 11.70 | - 14.75 |
4 | 말레이시아 | 141,267 | 319,430 | 310,815 | 6.44 | 10.60 | 9.16 | - 2.70 |
5 | 일본 | 189,614 | 182,095 | 132,483 | 8.64 | 6.04 | 3.91 | - 27.24 |
6 | 태국 | 72,046 | 87,612 | 130,969 | 3.28 | 2.91 | 3.86 | 49.49 |
7 | 대만 | 243,647 | 20,966 | 61,248 | 11.10 | 0.70 | 1.81 | 192.13 |
8 | 미국 | 13,806 | 7,831 | 7,003 | 0.63 | 0.26 | 0.21 | - 10.57 |
9 | 아랍에미리트 | 5,724 | 7,011 | 6,476 | 0.26 | 0.23 | 0.19 | - 7.63 |
10 | 인도 | 2,864 | 3,279 | 6,248 | 0.13 | 0.11 | 0.18 | 90.53 |
자자료: GTA(Global Trade Atlas)
ㅇ (수출) 2018년 필리핀의 석유와 역청유 수출 140% 증가
- 2018년 기준, 2억 952만 달러 규모를 보이며 전년 대비 140.03% 성장
- 수출 상위 10개국 중 대부분의 국가에서의 수출액은 감소했으나 싱가포르, 중국, 베트남으로의 수출액이 큰 폭 상승해 전년대비 큰 성장폭을 보임
- 한국으로의 수출액은 1만 6000 달러로 전년대비 80%의 감소율을 보이며 10위를 기록함.
필리핀 석유와 역청유 수출 추이
(HS Code: 2710.19)
순위 | 국가명 | 수입금액 (천 달러) | 비중(%)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전세계 | 43,676 | 87,292 | 209,526 | 100.00 | 100.00 | 100.00 | 140.03 | |
1 | 싱가포르 | 14,198 | 52,026 | 136,441 | 32.51 | 59.60 | 65.12 | 162.25 |
2 | 중국 | 255 | 203 | 49,774 | 0.58 | 0.23 | 23.76 | ∞ |
3 | 말레이시아 | 27,923 | 34,189 | 22,475 | 63.93 | 39.17 | 10.73 | - 34.26 |
4 | 베트남 | 185 | 28 | 320 | 0.42 | 0.03 | 0.15 | 1034.86 |
5 | 캄보디아 | 713 | 507 | 294 | 1.63 | 0.58 | 0.14 | - 42.04 |
6 | 호주 | 57 | - | 87 | 0.13 | 0.00 | 0.04 | n/a |
7 | 태국 | 75 | 63 | 45 | 0.17 | 0.07 | 0.02 | - 27.33 |
8 | 브루나이 | 70 | 69 | 45 | 0.16 | 0.08 | 0.02 | - 35.33 |
9 | 대만 | 9 | - | 20 | 0.02 | 0.00 | 0.01 | n/a |
10 | 한국 | 3 | 81 | 16 | 0.01 | 0.09 | 0.01 | - 80.09 |
자료: GTA(Global Trade Atlas)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ㅇ 필리핀의 한국산 석유 및 역청유 수입 규모 지속적으로 증가
- 2018년 기준, 필리핀의 한국산 석유 및 역청유 수입 규모는 8억 6068만 달러로 전년대비 74% 성장
- 가스오일의 비중이 7억 6701만 달러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차량 디젤 연료, 기타 등유, 윤활유 공급 원료 순으로 비중을 차지함.
대한 HS Code2710.19 품목별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품목명(HS Code) | 2016 | 2017 | 2018 | 증감률 | |
271019(석유와 역청유 기타 품목) | 252,640 | 493,310 | 860,684 | 74 | |
2710197902(가스 오일, Gas Oils) | 239,385 | 400,703 | 767,011 | n/a | |
2710197100(차량 디젤 연료, Automotive Diesel Fuel) | - | 45,556 | 44,679 | n/a | |
2710198302(기타 등유, 기화 오일 포함, Other Kerosene, Including Vaporizing Oil) | 6,056 | 5,925 | 12,768 | n/a | |
2710194100(윤활유 공급 원료, Lubricating Oil Feedstock) | - | - | 12,415 | n/a | |
2710194300(기타 윤활유, Other Lubricating Oils) | - | - | 9,250 | n/a | |
2710197200(기타 디젤 연료, Other Diesel Fuels) | 1,609 | 26,501 | 9,016 | n/a | |
2710198301(램프 등유, Lamp Kerosene) | - | 2,179 | 4,875 | n/a |
자료: GTA(Global Trade Atlas)
주: GTA 조회결과 품목명은 같으나 HS Code가 상이하여 '16, '17년 수입 기록이 부재한 경우가 있어 자체적으로 표를 재구성함.
□ 주요 기업 및 유통업체
기업명 | 특징 |
페트론 | - 페트론은 2018년 기준, 26.36%의 시장점유율로 필리핀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보유함. - 홈페이지: https://www.petron.com - 전화번호: +63-2-884-9200 |
쉘 | - 쉘은 2018년 기준, 18.53%의 시장점유율로 필리핀 내 2위 기업임. - 홈페이지: https://www.shell.com.ph/ - 전화번호: +63-2-499-4001 |
셰브런 | - 셰브런은 2018년 기준, 7.93%의 시정점유율로 필리핀 내 3위 기업이며 메인 브랜드로는 칼텍스(Caltex)가 있음. - 홈페이지:https://www.chevron.com/worldwide/philippines - 전화번호: +63-2-813-6013 |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조사
ㅇ 상위 3개사의 시장점유율 하락세
- 필리핀 상위 3개사 페트론, 쉘, 셰브런(칼텍스)의 점유율 총합은 2018년 기준 52.82%로 전년 54.6% 대비 약 2%가량 낮아진 모습을 보임.
- 이에 반해 상위 3개사 이하 기업들의 점유율 총합은 2018년 39.11%으로 전년 34.2% 대비 약 5% 상승한 모습을 보임.
- 상위 3개사 이하 기업들의 점유율은 피닉스(Pheonix Petroleum) 6.91%, 씨오일(Seaoil) 4.69%, 유니오일(Unioil) 3.45% 순임.
ㅇ 필리핀의 최근 3년 유가 변동 추이
- 2019년 기준, 필리핀의 유가는 2018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상승함.
- 필리핀 에너지부에 따르면, 지역별 수요가 높아져 가격 상승 우려가 있으나 미-중 무역갈등의 완화로 유가가 안정될 것으로 전망함.
필리핀의 최근 3년 유가 변동 추이
(단위: 페소)
자료: 필리핀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
□ 담당부서 및 관세율
ㅇ 필리핀 에너지부(DOE)
- 필리핀 에너지부는 1992년에 창설된 필리핀 내 에너지 자원 담당 기관임.
- 홈페이지: https://www.doe.gov.ph/
- 전화번호: +63-2-479–2900
- 주소: Energy Center, Rizal Drive cor. 34th St., Bonifacio Global City, Taguig, Metro Manila, Philippines
ㅇ 석유와 역청유(HS Code: 271019) 품목 0% 관세율
- 관세 조회 결과 한-아세안 FTA (AKFTA) 활용 시 HS Code 2710이하 대부분의 품목에서 0%의 관세율을 부과함.
- 필리핀 관세위원회에서 HS Code별 관세 조회가 가능함.
- 홈페이지: http://finder.tariffcommission.gov.ph/
필리핀 석유와 역청유(HS Code: 2710) 관세 조회 결과
자료: 필리핀 관세위원회(Philippines Tariff Commission)
□ 수입 규제
ㅇ 필리핀 내 석유 제품을 수입하기 전, 다음을 수행해야 함.
- 원유 및/또는 석유제품을 교역, 자가 사용 또는 석유제품을 교역 또는 자가 사용 또는 요건에 관계없이 외국, 자유항만 및 경제구역에서 수입할 수 있는 자는 DOE의 석유산업관리국장에게 전달되는 모든 수입품의 실제 적재 전에 통지서를 제출해야 함.
- 석유 수입에 대한 보고서 요구 사항 리스트:
• 화물의 종류 및 수량(Type and quantity of cargo)
• 예상 선적 및 도착 날짜(Estimated date of loading and arrival)
• 화물의 공급자(Supplier of cargo)
• 기내 화물(FOB) 가격, 화물 및 보험 비용(Freight-on-board (FOB) price, freight and insurance cost)
• 선박 세부사항(Vessel particulars)
• 적재 및 배출 포트(Port of loading and discharge)
• 제품 사양 보장(Guaranteed specification of the product)
• 견적 송장(Pro-forma Invoice)
- 사용유, 슬러지(Sludge), 및 유사 석유제품 등을 수입 시, Republic Act 6969 또는 1990년 독성물질, 유해 물질 및 핵폐기물 관리법(Toxic Substances, Hazardous, and Nuclear Wastes Control Act of 1990)에 따라 필리핀 환경자원의 환경관리부서(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Environmental Management Bureau, DENR-EMB)에 사전 통지를 해야 함.
- 수입업자는 다음 각 호의 정보/문서 등을 해당 기관에 제출해야 함.
• 모든 수입품을 적재하기 전 1일 이상 근무일: 위에서 열거한 수입의 세부사항
• 모든 수입품의 하역 후 20일 이내 작업일 수: 선하증서, 상업 송장, 최종 수입 신고서, 납품 영수증 또는 수령 보고서를 포함한 실제 발송에 대해 공급업체가 발행한 품질 증명서
□ 전망 및 시사점
ㅇ 한국산 석유제품의 꾸준한 수요 증가
-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국산 석유제품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 2018년 기준 필리핀 석유 수입의 25.37%를 차지했으며 전년대비 증가율은 74.47%에 이를 정도로 높은 성장률을 보임.
ㅇ 필리핀의 열악한 제조기반
- 필리핀은 제조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한국처럼 원유 생산 후 가공하는 구조가 어려워 수입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임.
- 필리핀 내 석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만큼 한국산 석유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 필리핀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 GTA, 필리핀 관세위원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