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DD의 전체 구조 및 주요 개별 기술(그림)
자기헤드 구조의 개략도(그림)
1-1 자기헤드의 정의와 종류
가. 자기헤드의 정의
나. 자기헤드의 종류
1-2 자기헤드의 구조 및 원리
자기헤드의 갭 부분 개략도(그림)
1-3 자기헤드의 응용 및 시장동향
가. 자기헤드의 응용동향
나. 자기헤드의 시장동향
2.기술발전 동향
2-1 해외기술동향
가. 서론
나. HDD 발전 역사
(1) 페라이트 및 MIG 헤드
(2) 박막헤드
박막헤드의 제작 공정
(3) MR/GMR 복합 헤드
(가) 영구자석에 의한 바이어스 기술
(나) Shunt 전류에 의한 바이어스 기술
(다) SAL에 의한 바이어스 기술
(라) Barber-pole에 의한 바이어스 기술
(마) 두 개의 MR 소자 박막 (dual-stripes)에 의한 바이어스 기술
2-2 국내기술 동향
3.기술의 분류체계
2 액정표시용 백라이트(2) 1.LCD용 백라이트 기술 동향
1.1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1.2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
가. LCD 모듈(Module)의 구조
나. LCD 기술의 개선부문
1.3 LCD용 백라이트(Backlight)의 개요
가. 백라이트의 일반적 구조 및 구성요소
나. LCD 백라이트의 요구 특성
1.4 광원 램프
가. EL(Electroluminescent Lamp) : 면광원
나. LED(Light Emitting Diodes) : 점광원
다.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선광원
라. 각종 백라이트용 광원의 비교
1.5 도광판
1.6 시트부
가. 확산판
나. 프리즘판(집광판)
다. 반사판
1.7 구동회로부
1.8 백라이트 구조
가. 직하방식
나. 도광체방식
다. 평면광원방식
3 이미지 센서 1.정의
2.발달사
3.특징 및 구성
가. CCD형 이미지센서
(1) CCD형 이미지센서의 종류
(2) CCD형 이미지센서의 구성
(3) CCD형 이미지센서의 동작
(4) CCD형 이미지센서의 공정
(5) CCD형 이미지센서의 특성
4.응용 분야
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
나. 모바일 폰
다. PDA
라. 캠코더
마. 장난감, 게임, 가정용 로봇
바. PC 카메라 및 화상 회의
사. 광 마우스
아. 사무용 스캐너
자. 보안 감시, 야간 카메라
차. 지문인식 등 생체 인식
카. 지능형 자동차
타. 무선 내시경
파. 간접형 X-ray 이미징
하. 기타 산업용, 과학용, 우주 군사용
4 멀티미디어 기술 1.IEEE1394 기술의 개요
1.1 IEEE1394-1995
1.2 IEEE1394-2000
1.3 P1394b
1.4 P1394.1
1.5 Wireless 1394
2.1 선진기술 동향
5 디지털비디오 편집기술 1.디지털 비디오 편집 기술
가. 아날로그 비디오 편집
나. 동영상 압축(MPEG)
다. 디지털 비디오 제작
라. 동영상 검색
마. 디지털 비디오 편집
2.디지털 비디오 해석 기술
가. 움직임 검출 기술
(1) 움직임 벡터
(2) 움직임 추적
나. 내용인식 기술
(1) 얼굴 인식
(2) 자막 추출 및 인식
(3) 객체분할
(4) 비디오 특징 서술자
3.디지털 비디오 생성 기술
가. 특수효과
나. 압축 비트 제어 기술
다. 워터마킹
4.디지털 비디오 인덱싱 기술
가. 비디오 브라우징
나. 변속제어
6 3차원 입체영상기술 1.개요
편광방식
시분할 셔터안경방식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렌티큘러 방식
3차원 입체영상의 기술개발 추이
입체 영상의 기본원리
7 케이블의 종류 초고압케이블
전력케이블
광케이블
통신케이블
UTP케이블
LCX케이블
RF동축케이블
제어용케이블
계장/신호용케이블
원자력케이블
저독성난연케이블
소방용케이블
8 스피커의 개요와구조도 Micro dynamic speaker의 기본 구조
Speaker의 동작 원리
Speaker의 기본 용어
9 통신전원공급장치 생산공정도
10 선박용 전선의 종류 KS/JIS TYPE
DIN TYPE
NORWEGIAN TYPE
BS TYPE
OFFSHORE
IEEE45 TYPE
MIL TYPE
11 광케이블 제조 공정
12 전선제조
13 정보·전자·통신 신소재 1.정보화 시대와 신소재
2.컴퓨터의 구성
3.신호처리의 전령인 반도체 소자
반도체 재료
트랜지스터
집적화 소자(IC)
대단위 집적화 소자와 제조기술
반도체소자에 쓰이는 신소재
박막가공기술
4.전기적 신호를 기억하는 신소재들
램메모리와 신소재 기술
램메모리의 회로도
램메모리의 구성과 제조 순서
디스켓 저장기술과 신소재
아폴로 우주선의 자석식 기억메모리
하드디스크의 구조와 자석식 신호저장 기술
하드 디스크의 구조와 재료
하드디스크의 단면구조
5.컬러 스크린의 재주꾼
CRT 구조도
총천연색 음극선관의 구조
음극선의 구조
평판 디스플레이
6.액정 고분자
액정디스플레이(LCD)
액정 디스플레이
(가)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
(나) 액정 스크린의 단면
14 3차원 입체영상기술 1.기술의 개요
1-1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의 정의
1-2 기술 분야의 개요
1-3 3차원 입체 영상 기술
가. 3차원 입체영상 생성
나. 3차원 입체영상 편집처리
다. 3차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1) 양안시차 방식(Stereoscopic Techniques)
(2) 복합시차지각 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s)
라. 입체시각
마. 3차원 입체영상 응용
(1) 통신·방송에의 응용
(2)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응용
(3) 교육·의료에의 응용
(4) 오락에의 응용
2.해외 기술 동향
해외의 3차원 입체영상 기술 개발동향
일본
미국
유럽
3.기술의 내용
가. 3차원 입체영상 생성 기술
(1) 3차원 계측 기술
(가) 접촉방식과 비 접촉방식
(나) 광학적 수단에 의한 비 접촉방식의 3차원 계측
1) 능동형 계측
2) 수동형 계측
3차원 계측법과 그 특징
(2) 카메라 기술
(가) 구성
(나) 카메라의 시스템 파라미터
(다) 기계적·광학적 파라미터-광축과 렌즈초점길이
(라)전기적 파라미터-기하학적변형과 S/N
(3) 컴퓨터 그래픽 기술
(가) 3차원 모델링
(나) 렌더링
(다) 애니메이션
나. 3차원 입체영상 편집처리 기술
(1) 영상 재구성 기술
(가) 보간 문제
(나) 3차원 입체영상의 재편성과 그 응용
(2) 3차원 입체영상의 부호화
(가) 입체시 특유의 시각특성 이용
(나) 좌우 화상의 상관 이용
(다) 대응점 탐색법
(라) 시차정보에 따르지 않는 정보압축
(3) 영상 처리
(가) 시차 정보로부터의 오행 정보 추출 모델
(나) 음영정보로부터의 형상추정
다. 3차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기술
(1) 안경 방식
(가) 편광방식
(나) 시분할 방식
(다) 기타 방식
(2) 무안경 방식
(가)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나) 렌티큘러 방식
(3) 완전 3차원 방식
(가)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P)
(나) 체적형 디스플레이
(다) 홀로그래피
(4) 인터랙티브 기술
(5) 시스템 기술
라. 입체시각 기술
(1) 휴먼 팩터
마. 3차원 입체영상 응용 기술
(1) 가상현실(virtual reality)/게임 응용
(2) 교육/의료/광고에의 응용
(3) 방송/통신/문화/예술에의 응용
15 차세대 광기록장치 1.기술의 개요
1-1 광 저장 장치의 정의와 구성 및 역사
1-2 광 저장 장치의 종류와 특성
1-3 광 저장 장치의 기술분야
가. 광Pickup
나. 제어기술 및 구동부
2.기술 발전 동향
2-1 기술 발전의 주요 방향
가. 고밀도화
나. 소형화
다. 구동부
(1) 레이저 출력 안정화 제어
(2) 포커스 제어
(가) 비점 수차법
(나) 홀로그램 푸코법
(다) Beam Size 법
(3) Tracking 제어
(가) 3 Beam 법
(나) 1 Beam법(Far Field Pattern법)
(4) Sled 서보
2-2 기록기술의 발전 동향
가. 자계변조 기록방식 광자기 디스크
(1) Direct Overwrite
(2) 자계변조 기록방식
(가) DC 광 조사 자계 변조기록
(나) 펄스 광 조사 자계 변조
(3) 열 계산 Simulation 방법
(4) Simulation에 의한 DC 광 조사 방식과 펄스 광 조사 방식의 비교
(가) 협 Track화와 광 효율의 검토
(나) 자벽의 형상과 Jitter
(5) 평가 실험
(가) DC 광 조사 자계 변조 기록방식
(나) 펄스 광 조사 가계변조방식
(다) 부호화 방식과 협Track화
(6) 펄스 재생
나. 상변화 기술
(1) 기본이론
(2) 상변화디스크 시스템 및 디스크 구조
(3) 각 층의 역할
(가) 유전체 보호층
(나) 기록막
(다) 반사층
(라) 보호코팅층
(마) 기판
(4) 상변화 물질의 발전 역사
(5) 상변화 광디스크의 기술 추이
2-3 기록 재생기술의 발전동향 및 차세대장치의 개발동향
가. CD-ROM/CD-RW
(1) CD-ROM
(2) CD-ROM의 역사
(3) CD-ROM 드라이브의 성능구분
(4) CD-ROM 드라이브의 배속과 인터페이스
(5) CD-ROM 인터페이스
(6) CD규격
(7) CD의 배속
(8) 억세스 타임
(9) CD-ROM 드라이브의 선택
(10) CD-ROM 드라이브 장, 단점
(11) CD-RW
(12) CD-R/RW의 포맷
나. DVD
(1) 개요
(2) 디스크의 용량 및 크기
(3) 층(Layer)
(4) 구동 메카니즘
(5) DVD의 종류
(6) DVD 역사
다. 차세대 장치(NFR 기준으로)
(1) 기술의 개요
(2) 기술의 활용분야 및 장치
(3) 차세대 장치의 주요 기술별 특징 및 현황
(4) 차세대 장치의 주요 기술 및 SYSTEM
16 ATM 1.기술의 개요
1.1 ATM의 역사
1.2 ATM 개요
ATM 셀의 구성
ATM UNI, NNI
가.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1) ATM-LAN과 ATM-WAN
2) 차세대 WAN에 대한 요구 조건
나. ATM이란 무엇인가?
1.3 ATM 교환의 특징
1.4 ATM 셀의 구조
가. ATM 셀의 크기
나. ATM 셀 헤더의 구성
1.5 ATM 교환의 원리
가. ATM 교환의 원리
1) 회선 교환과 ATM 교환의 차이
2) 패킷 교환과 ATM의 차이
3) 프레임 릴레이와 셀 릴레이(ATM)의 차이
나. ATM 교환기의 원리와 교환 방식의 제어 기술
1) ATM 교환기
2) ATM 교환기의 기본 기능
3) ATM 교환기의 교환 방식에 의한 분류
4) ATM 교환기의 버퍼 위치에 의한 분류
1.6 ATM 프로토콜
가. B-ISDN
1) B-ISDN 서비스 분류
2) ATM/B-ISDN 서비스 클래스
나. ATM의 표준 프로토콜
1.7 ATM의 적용
가. WAN에 대한 적용
나. LAN에 대한 적용
1.8 ATM의 기술적 해설
가. ATM이 53바이트의 셀을 채택한 이유
나. VPI와 VCI의 차이점
다. VPI와 VCI의 존재 이유
라. ATM의 다양한 AAL계층
마. ABR의 정의
바. Q.93B, Q.931, Q.2931의 차이점
사. Goodput의 정의
아. SONET과 SDH의 차이점
2.기술 발전 동향
2.1 ATM의 현황과 전망
가. ATM 시장 이슈
2.2 벤더 및 NSP(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동향
가. 벤더 동향
나. 네트워크 벤더들의 주력 분야 분석
다. 미국의 NSP 동향
2.3 ATM교환기 시장 추이와 전망
가. ATM 제품 정의
나. ATM 교환기 시장
다. ATM 관련 장비 시장
2.4 선진 기술 동향
2.5 국내 기술 동향
17 디지털 TV 1.기술의 개요
1-1 디지털 TV의 개념
가. 디지털 TV 기술과 방송
나. 디지털 TV 시스템
(1) 소스 부호화 및 압축(source coding and compression)부
(2) 서비스 다중 및 전송(service multiplex and transport)부
(3) RF/transmission부
1-2 전송부문 기술
가. 전송
(1) ATSC 방식
(가) 비디오 시스템의 특징
(나) 오디오 시스템의 특징
(다) ATSC 수신기
(2) DVB 방식
(가) DVB 프로젝트의 기본 방향
(나) DVB 기술규격 요구사항
(다) 디지털 방송의 표준화
(라) DVB 방송 시스템의 기본 구성
나. 변조 및 복조
(1) 8VSB 방식
(가) 데이터 랜덤화기(Data Randomizer)
(나) Reed Solomon encoder
(다) Data interleaving
(라) Trellis coding
(마) 변조방법
(2) OFDM 방식
1-3 다중화 및 부가정보 부문 기술
가. 다중화/역다중화 비트스트림
(1) 신호 다중화 전송의 조건
(2) 신호 다중화 방법
(3) 다중화된 신호의 구성 형식
(가) 입력 신호원들의 부호화
(나) 데이터 그룹화
(다) 전송 패킷화
(라) 패킷다중
(마) 슬롯다중
(바) 프레임 구성
(사) 변조
(아) 전송제어
(4) 신호 다중화를 위한 MPEG-2 시스템
(5) ATM과의 인터페이스 및 OSI 계층 모델
나. 데이터방송
(1) 데이터방송의 정의
(2)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분류
(가) 상향채널 유무에 따른 분류
(나) 프로그램 연동성 여부에 따른 분류
(다) 서비스 유형에 따른 분류
(라) 통합된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분류
(3) 데이터방송 시스템의 구성과 요소기술
(가) 저작 툴(Authoring Tool)
(나) 데이터 서버(Data Server)
(다) 비디오 서버(Video Server)
(라) 통신서버
(마) 다중화기
(사) 기 타
(4) 데이터방송 기술의 세계 표준화 동향
(가) DVB-MHP
1) 데이터 파이핑(Data Piping)
2) 데이터 스트리밍
3) 다중 프로토콜 캡슐화(Multi- Protocol Encapsulation)
4) 데이터 주기전송과 객체 주기전송(Data and Object Carousel)
(나) ATSC-DASE
(다) ATVEF
(라) ISDB
(마) Open TV
(바) MediaHighway
다. CA/스크램블링
(1) Conditional Access System
(가) Scrambling / Descrambling Functions
(나) Entitlement Control Function
(다) Entitlement Management Function
라. 프로그램 안내
(1) DVB 프로그램 안내 정보
(가) 서비스정보의 전송
(나) 서비스정보의 전달
(2) ATSC 프로그램 안내정보 및 시스템 정보
(가) PSIP 정보의 개요
1) MGT(Master Guide Table)의 기능
2) VCT(Virtual Channel Table)의 기능
3) EIT(Event Information Table)의 기능
4) ETT(Extended Time Table)의 기능
5) RRT(Rating Region Table)의 기능
6) STT(System Time Table)의 기능
1-4 신호처리 부문 기술
가. MPEG-2 영상신호압축
(1) MPEG-2의 구성
(2) MPEG-2 표준의 기술적 특징
나. MPEG-4 영상신호압축
(1) MPEG-4 규격
(2) MPEG-4 시스템
다. MPEG-7 영상신호압축
라. 음성신호처리
(1) Dolby AC-3 오디오 부호화
(2) MPEG 오디오 부호화
1-5 위성TV 방송
가. 송신기의 구조
(1) 소스 신호 압축부
(2) 변조부
(3) IF 및 RF 신호
나. 위성중계기
다. 수신기 구조
1-6 케이블TV
가. 케이블TV 표준화 기술
나. 영상 및 음성압축 표준기술
다. 변조방식
라. 디지털 케이블TV 표준화시 사항
마. 케이블TV 전송망 기술
2.기술발전 동향
2-1 국내외 지상파 방송 디지털화 동향
(가) 미국의 현황
(나) 영국의 현황
(다) 독일의 현황
(라) 프랑스의 현황
(마) 일본의 현황
(바) 국내의 현황
2-2 국내외 케이블TV 및 위성방송 디지털화 동향
가. 미국의 현황
나 일본의 현황
다. 독일의 현황
라. 영국 및 프랑스의 현황
마. 스페인 및 스웨덴의 현황
바. 국내 케이블TV 및 위성방송의 현황 및 전망
2-3 국내외 디지털TV 기술개발 동향
(가) ATSC 방식
(나) DVB 방식
18 이동통신 핵심부품기술 1.기술의 개요
1-1 이동통신 부품기술
가. 안테나
(1) 안테나의 특성
(가) 임피던스, 복사저항
(나) 이득, 지향성
(다) 중심주파수, 대역폭
(2) 이동통신용 단말기 안테나 설계시 주요 이슈
(3)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형태
(가) 모노폴(monopole) 안테나
(나) 노말모드(normal mode) 헬리컬 안테나
(다) 슬리브(sleeve) 다이폴(dipole) 안테나
(라) 소형루프(small loop) 안테나
(마) 평면형 역(반전형) F 안테나(PIFA ; Planar Inverted F Antenna)
(바) 칩(chip) 안테나
(사)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DRA :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나. 증폭기
(1) 전력증폭기(PA)
(가) 소자에 따른 전력 부가효율
(나) 선형화 기법
(다) 회로형태
(2) 저잡음 증폭기(LNA)
(가) 저잡음 특성
(나) 선형특성
(다) 회로형태
다. 주파수 합성기
(1) 전압제어발진기
(2) 온도보상제어발진기
(3) Loop filter(PLL)
라. 필터
(1) 듀플렉서 필터
(가) 유전체 듀플렉서 필터
(나) SAW 듀플렉서 필터
(2) 대역통과필터
(가) 유전체 BPF(Band Pass Filter)
(나) SAW BPF
1-2 무선접속기술
가. 핸드오프 기술
나. 전력 제어 기술
다. 시스템 접속 시도
1-3 신호처리 및 응용
가. 보코더
(1) 보코드의 개요
보코더 구성도
(2) 보코더의 분류 및 선택기준
(가) 보코더의 분류
(나) 보코더의 선택기준
(3) 보코더의 원리
음원 생성 모델 블록도
(4) 알고리즘의 기술비교
(가) CELP 알고리즘
(나) CS-ACELP와 EVRC의 알고리즘 비교
(다) CS-ACELP 보코더의 특징 및 성능
(라) EVRC 보코더의 특징 및 성능
(마) 8kbps QCELP, 13kbps QCELP와 EVRC간의 비교
(바) IMBE 보코더 알고리즘
(사) AMR 보코더 알고리즘
나. MPEG-4
(1) MPEG-4의 원리
(2) MPEG-4의 특징
(가) 객체 지능 대화형 구조
(나) 고능률 압축과 범용 액세스
(3) MPEG-4 화상 부호화 기술
(가) MPEG-4의 개요
(나) MPEG-4의 전체 구성
1) MPEG-4의 계층 구조
2) MPEG-4의 부호화 모델
3) 프로파일
(다) MPEG-4의 부호화 기술
1) 에러 내성
2) 임의형상 오브젝트의 부호화
3) 압축 부호화
(라) MPEG-4의 미래
2.기술발전 동향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전동향
2-1 국내외 기술동향
CDMA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가. RF 부품
(1) 안테나
(2) 증폭기
(3) 주파수 합성기
(4) 필터
나. IF 부품
다. 베이스밴드 부품
라. 기타 부품
(1) 2차전지
(2)액정디스플레이용 디바이스
마. 무선접속기술
(1) 비동기 방식 개발동향
(2) 동기 방식 기술 개발동향
바. 신호처리 기술
(1) 보코더 기술
(2) MPEG-4 기술
2-2 국내외 시장동향
가. 국외 시장동향
(1) 서유럽
(2) 미국
(3) 중국
(4) 중남미
나. 국내 시장동향
2-3 국내외 표준화동향
가. 무선접속기술
(1) IMT-2000 표준제정 : DS-CDMA 와 MC-CDMA
(2) IMT-2000 표준의 물리계층 구조 및 주요 기술
(가) DS-CDMA와 MC-CDMA 의 채널 구조
1) DS-CDMA 의 채널 구조
2) MC-CDMA 의 채널 구조
(나) 무선 용량 증대를 위한 주요 기술들
(다) 데이터 서비스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주요기술
(라) 기타의 기술들
나. 신호처리 및 응용
(1) 보코더의 표준화 동향
(2) MPEG-4의 표준화 동향
19 통신의 이해 1.시리얼 통신(직렬 인터페이스)
케이블 결선
RS232/485 컨버터의 사용
DTE와 DCE
RS-232C(EIA-232C 또는 RS-232)의 통신 규격
RS-422(또는 EIA-422)의 통신 규격
RS-485(또는 EIA-485) 의 통신 규격
2.이더넷 통신
TCP/IP의 구조
UDP(User Datagram Protocol)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란?
IP(Internet Protocol) 란?
IP 주소의 이해
TCP/IP의 설치와 환경 설정
TCP/IP 테스트
3.시스템 통신 규약
20 통신의 이해 1.시리얼 통신(직렬 인터페이스)
케이블 결선
RS232/485 컨버터의 사용
DTE와 DCE
RS-232C(EIA-232C 또는 RS-232)의 통신 규격
RS-422(또는 EIA-422)의 통신 규격
RS-485(또는 EIA-485) 의 통신 규격
2.이더넷 통신
TCP/IP의 구조
UDP(User Datagram Protocol)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란?
IP(Internet Protocol) 란?
IP 주소의 이해
TCP/IP의 설치와 환경 설정
TCP/IP 테스트
3.시스템 통신 규약
21 CDMA 2000 서비스 현황 및 주요 사업자 동향 1.서 론
2.CDMA 2000의 개념과 주요 특징
동기식 CDMA 기술의 발전과 CDMA 2000
CDMA 2000 의 기술 방식별 서비스 비교
3.CDMA 2000 서비스의 현황 및 전망
4.CDMA 2000의 장점
5.주요 사업자 동향
SKT
KDDI
SprintPCS
6.결론 및 시사점
22 IT-NT 및 IT-BT 융합 기술의 개요 및 시장 전망 1.서 론
2.IT-NT 융합기술의 개요 및 시장전망
IT-NT 융합기술의 개요
시장 전망
국내 현황
3.IT-BT 융합기술의개요 및 시장전망
IT-BT 융합기술의 개요
시장 전망
가. Bioinformatics
나. Bioelectronics
23 IPv6 전환 기술 동향 1.서 론
2.4개의 영역별 적용 시나리오 및 해결방안
3GPP에서의 적용 시나리오
가. GPRS 시나리오
나. IMS 시나리오
Unmanaged 네트워크에서의 적용 시나리오
Managed 네트워크에서의 적용 시나리오
3.IPv6 전환기술 적용성
DSTM(Dual Stack Transition Mechanism)
ISATAP(Intra-Site Automatic Tunnel Addressing Protocol)
NAT64-NAT46
4.결 론
자세한 사항은 "머신인포(Machineinfo)" 홈페이지 전문기계자료실을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