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불비(金不比)의 후손이 판서공파(判書公派),
김만희(金萬希)의 후손이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김종정(金宗貞)의 후손이 숭정공파(崇政公派),
김천익(金天翼)의 후손이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김을동(金乙棟)의 후손이 판결사공파(判決事公派),
김문(金汶)의 후손이 진사공파(進士公派),
김이장(金以章)의 후손이 충정공파(忠靖公派)이다.
31세조인 김상인(金商寅)의 후손은 단계(單系)로 이어지다가
40세에 들어 김상경(金尙慶), 김중경(金重慶)의 두 후손이 있게 되었으나,
김중경(金重慶)의 후손은 없고 김상경(金尙慶)의 후손도 단계(單系)로 이어져
51세조 김운(金芸)의 후손이 유수공파(留守公派)로 분파되었다.
27세조 김진의(金進意)의 후손은 42세로 김시원(金時元)의 두 아들 이후 여러 파로 나뉘어졌다.
57세조 김대진(金大震)의 후손이 운은공파(雲隱公派)이고,
54세조 김세장(金世章)의 여덟 아들의 후손이 8개 파로 나뉘어졌는데,
김탁(金琢)의 후손이 문경공파(文敬公派),
김근(金瑾)의 후손이 부사공파(府使公派),
김관의 후손이 한림공파(翰林公派),
김구(金球)의 후손이 충정공파(忠靖公派),
김연(金璉)의 후손이 도사공파(都事公派),
김현(金現)의 후손이 숭정공파(崇政公派),
김호(金琥)의 후손이 휴은공파(休隱公派),
김선(金璇)의 후손이 장사군파(長沙君派)이다.
56세조 김인서(金麟瑞)의 후손이 참봉공파(參奉公派),
51세조 김득하(金得河)의 후손이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50세조 김경신(金敬臣)의 후손이 도총관공파(都摠管公派)이다.
22세조 김천여(金天與)의 후손은 단계(單系)로 이어져오다
38세 이후 두 계통으로 후손이 이어지고 있으나,
분파(分派)로는 김덕휴(金德休)의 후손 첨정공파(僉正公派)만이 ‘무오보(戊午譜)’에 보이고 있다.
1
김상주
│
┏------------------------------------------------------------------------------┓
김방직 김용직
│ ㅣ
김익섬 김관(삼현파)
│ ㅣ
김주국 김문숙 (50세)
│ │
┏------------------------------------------------------------------┓
김석경 김목경(금령군-경파) 김익경(감무공-사군파) 김항
│ │ │
┏----------------------------------┓ ┏---------------------┓
김보 김저(문절공파) 김수(밀직공파) 김란(평장사공파) 김시 김서 김위
│ │ │ ㅣ
┏------------------------------------------┓ ┏---------------------┓
김도문 김달문(참찬공파) 김현문(봉상공파) 김창문(밀직사공파) 김진문(대제학) 김극일 김태일 김경일
ㅣ │ ㅣ ㅣ ㅣ
┏-------------------------------------------------------------------┓ ┏----------------------------┓
근 련(생원공파) 추(도총관공파) 구(생원공파) 석(찬성공파) 감(상서공파) 조 김건 김맹 김용 김순 김인 김현 김익 김무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 군 집 한 진 녹 진 군 통
김효원 김효분 수 의 림 사 사 의 수 덕
│ 공 공 공 공 공 공 공 랑
┏-------------------------------------------------------------------┓ 파 파 파 파 파 파 익 공
김진손 김진서(호조참판공파) 파 파
│ │
┏----------------------------------------------┓ ┏---------------------┓
김영견 김영서 김영정 김영순 김영모 김영희 김영석
ㅣ ㅣ ㅣ ㅣ ㅣ
참 횡 안 석 호
판 성 경 성 참
공 공 공 공 공
파 파 파 파 파
김상주 김구년 김성대
│ ㅣ ㅣ
┏---------------┓
김방직 김용직 김수덕 김신빈
│ │ ㅣ ㅣ
┏---------------------------┓
김익성 김관管(삼현파-파조) 김자옥 김이렴 김이학
│ │ ㅣ ㅣ ㅣ
┏-----------------------------┓ ┏---------------┓ ┏-------------┓
김주국 김문숙(文淑) 김유찬 김유환 김유욱 김유윤 김화옥 김형옥 김태옥 김경옥 김경신 김경보
│ ㅣ ㅣ ㅣ ㅣ ㅣ ㅣ ㅣ
┏---------------┓ ┏---------┓ 도 판
김방직(邦 直) 김용직 김세걸 김지서 김평 김상태 김해주 김의주 총 윤
ㅣ ㅣ ㅣ ㅣ ㅣ 관 공
┏---------┓ 승 부 공 파
김이징 김영조 사 정 김첨검 김익근 파
ㅣ 랑 공 ㅣ ㅣ
김기조 공 파 판 김식손
ㅣ 파 서 ㅣ
김정혁 공 김세장
ㅣ 파 ㅣ
┏---------------------------------------┓
김태령 김탁 김근 김관 김구 김련 김헌 김호 김선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 문 부 한 충 도 승 휴 장
김유공 김거공 경 사 림 정 사 정 은 사
ㅣ ㅣ 공 공 공 공 공 공 공 공
판 부 파 파 파 파 파 파 파 파
서 호
공 군
파 공
파
북한 지역에 세거지(世居地)가 있는 가락국 수로왕계(駕洛國 首露王系) 김해김씨는 함경도 성진(城津), 길주(吉州)에 김해군 휘엽파(金海君諱燁派), 함경도 길주(吉州)에 참의공 휘여림파(參議公 諱汝霖派), 황해도 백천(白川), 장단(長湍), 개성(開城)의 판도판서공 휘첨검파(版圖判書公 諱添劒派), 평양의 광록대부예부상서회헌 휘감파(光祿大夫禮部尙書晦軒 諱鑑派), 평안도 용강(龍岡)의 부정(휘평파 副正諱平派), 등이 있습니다
글: 삼현파(판도판서)에서
|
첫댓글 삼현파는현재도 학자풍 節臣이많은지?
경파는군인 정치가등현재 수는제일많고 실은저도경파지만 활약은그리활발한편이....,
안경후손 김종필총리 공빈김씨의아들 광해군어쩌다 폐위당했는가? 간사한신하들에게 휘둘려서 영창을 죽게하는 대실수로 왕위를 잃고 쓸쓸한삶을살다
세자도죽고 유씨도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