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장 칭찬과 비판에 대한 오해와 편견
'객관적' 평가는 가능한가?
실험 01 평가의 본심 우리는 평가를 어떻게 받아들일까?
실험 02 비판의 본심 입바른 소리를 하는 자동차
변화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실험 03 칭찬의 본심 어떤 칭찬이 고래를 춤추게 할까?
실험 04 칭찬의 본심2 닫힌 마음 vs. 열린 마음
실험 05 격려의 본심 진짜 격려가 되는 말 찾기
열정을 죽이는 격려도 있다
실험 06 비판의 본심2 타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가능한가?
자기 평가의 딜레마
실험 07 평판의 본심 겸손해 보이고 싶은가, 유능해 보이고 싶은가?
실험 08 겸손의 본심 스스로 비판하는 사람 vs. 타인을 비판하는 사람
2장 성격이 다른 사람들과 공존하는 법
수십억의 사람들, 네 가지 성격으로 나눠보자
실험 09 자존감의 본심 당신이 그냥 끌린 이유
실험 10 첫인상의 본심 지갑을 열게 하는 목소리
실험 11 자존감의 본심2 있는 그대로의 당신이 좋아 vs. 나에게 맞춰주는 당신이 좋아
3장 한 팀이 된다는 것
팀워크 강화 훈련은 왜 효과가 없을까?
실험 12 결속력의 본심 누구로 한 팀을 꾸려야 할까?
실험 13 결속력의 본심2 손목 밴드와 결속력
함께 실패한 경험은 오히려 유대감을 떨어뜨린다
KKK단의 비밀 악수
팀을 팀으로 굴러가게 하는 세 가지 비밀
콜럼비아호 폭발을 막지 못한 나사의 집단 사고
팀과 나 사이에는 거리가 필요하다
4장 타인의 감정에 대처하는 일곱 가지 방법
모든 감정은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실험 14 이해의 본심 지금 내 감정이 들리나요?
실험 15 공감의 본심 유쾌한 승객이 침울한 운전자에게 미치는 영향
실험 16 공감의 본심2 최근에 외로웠던 때를 얘기해주세요
실험 17 유머의 본심 유머가 '사막 생존'에 미치는 영향
감정을 다루는 법
실험 18 치유의 본심 좌절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대화법
실험 19 치유의 본심2 분노한 사람이 우울한 사람과 함께 갈 때
실험 20 합리화의 본심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성이 할 수 있는 일
5장 설득력의 네 가지 기둥
누가 지혜로운지 어떻게 판단할까?
실험 21 신뢰의 본심 '전문가 TV' 실험
뇌는 믿고 싶다
실험 22 고정관념의 본심 상품에도 성별이 있을까?
실험 23 고정관념의 본심2 고정관념의 압박에 대한 실험
실험 24 호의의 본심 '술 한잔'에 넘어가는 이유
미국과 일본의 인간관계 규칙은 어떻게 다른가
실험 25 친밀감의 본심 벽을 허무는 대화법
실험 26 신뢰의 본심2 전문성 효과와 유사성 효과
그는 이성적인가, 정서적인가?
실험 27 고정관념의 본심3 생김새와 억양의 상관성 실험
밑줄긋기
1장 칭찬과 비판에 대한 오해와 편견
_비판에는 몸이 반응한다
[…] 아주 정확한 근거에 기초에 비판한다 해도 결국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우리 뇌는 사전에 좋고 나쁨을 판단해서, 나쁜 경험에 직면하는 경우 공격하거나 달아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이때 우리 신체는 심장박동 수가 증가하고, 혈압과 아드레날린 수치가 올라가며, 호흡이 가빠지는 등 스스로 다양한 방식으로 대비를 한다. 이렇게 신체적 변화가 생기는데 부정적 평가를 묵묵히 받아들일 수는 없는 것이다. […] 따라서 잘못을 지적하되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비판에 반응하는 분명하고 건설적인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_p.61~63
2장 성격이 다른 사람들과 공존하는 법
_닮아간다는 것은 가장 강력한 아부다
비슷한 성격의 사람과 함께 있는 것보다 상대방이 나의 성격에 맞춰주는 것이 더 기분 좋다. 사람들은 그런 태도를 무언의 칭찬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우리의 성격에 맞춰주는 사람은 암묵적으로 이렇게 말하는 셈이다.
“당신이 옳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제가 틀린 겁니다. 당신이 옳기 때문에 당신처럼 해야 한다고 확신해요.”
자존감을 지키기 어려운 이 세상에서 사람들이 나를 닮으려고 하는 것보다 기분 좋은 일이 또 있을까? 닮아간다는 것은 참으로 가장 진심 어린 아부다. _p.123
3장 한 팀이 된다는 것
_비슷할수록 뭉친다
동질감과 상호의존감은 팀워크에 필요한 개별적인 요소이지만, 이를 활용한 전략은 서로 맞물려 있고 서로를 뒷받침한다. 동질감이 상호의존감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밝힌 원초적인 인간의 충동에서 찾을 수 있다. 도킨스는 동물 집단이 보이는 이타적인 행동을 연구하여 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물들이 자기 보존 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미래 세대에게 자신의 유전자가 전해지도록 유전자를 공유한 대상들을 도우려고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유전자 검사를 해보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의 DNA가 자신의 것과 얼마나 유사한지 바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다른 사람과의 유사점을 찾기 위해 무엇보다도 생김새나 목소리 등의 특성들을 살핀다. […] 즉, 우리의 뇌는 “나와 육체적 특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내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를 도와야 한다”는 의식적인 생각을 “나와 어떠한 특성을 공유한 사람은 내 도움을 받아야 마땅하고 또한 그가 나를 도울 것이다”라는 생각으로 확장한다. […] 이 대목에서 […] 우리는 인간이 자신과 성격이 비슷한 사람을 선호하고 신뢰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 _p.144~145
4장 타인의 감정에 대처하는 일곱 가지 법칙
_승진 소식을 슬픈 목소리로 들으면 불쾌하다
정서적 신호와 전달하는 메시지의 불일치는 왜 이야기를 이해하고 그 내용을 음미하는 데 영향을 미칠까? 본질적으로, 이런 불일치는 뇌가 모순된 유의성 정보를 가지고 정서적으로 일관된 심상을 형성하려고 애씀에 따라 메시지의 의미를 처리하기 위해 상당한 인지적 작업에 힘을 쏟게 되기 때문이다. […] 요컨대 사람들은 서로 상반된 정서적 신호들을 감지할 때 그 모든 감정들을 한꺼번에 느끼지 못한다. 그보다는 혼란스러워하고 반감을 느낀다. 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서 괜한 오해를 살 때가 많다. 이를 테면, 관리자가 부하 직원에게 지적을 할 때 나쁜 인상을 주지 않으려고 웃음을 짓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하면 비판의 충격이 완화되기보다 지적받는 부하 직원은 꺼림칙한 기분을 느끼고 관리자가 무엇을 지적하는지 혼란스러워한다. _p.194
5장 설득력의 네 가지 기둥
_뇌는 믿고 싶다
사람들은 왜 전문가라는 말에 그리 쉽게 넘어갈까? 하버드 대학교의 사회심리학자 다니엘 길버트가 논문에서 설명했듯이, 수많은 심리학 문헌에서 사람들이 상대방의 말을 무의식적으로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다루고 있다. 무언가가 거짓임을 판단하려면 상당한 시간을 들여 그게 맞는지 따져보고 고민해야 한다. 이런 개념에는 진화적 논리가 깔려 있는데, 사람들이 자신이 듣는 말이나 보는 모든 것을 아주 세심히 따져야 했다면, 사람들의 뇌는 그 부담을 견디지 못했을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주의가 산만해지거나 혼동할 때 특히 의견이나 제안을 잘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인다. 뇌가 너무 바빠서 의견이나 제안이 타당한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뭔가를 의심하는 일도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이렇게 잘 믿는 경향을 타고났다. _p.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