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a Carte(아 라 카르트)-정식요리와는 다르게 자기가 좋아하는 요리만을주문하는 일품요리(一品料理)를 말함.
A La Carte (아 라 카르트) 메뉴상의 용어로서 주문에 의하여 준비되는 일품요리 혹은 선택요리로서 정식요리(Table D'Hote)와는 다르게 주문된 요리만을 서비스하는 형식이다.
American Plan(아메리칸 플렌)-객실요금에 매3식의 식사요금이 포함되어 있는 숙박요금제도.
American Plan (미국식 요금제도) 객실요금에 매일 3식의 요금을 포함하여 계산하는 호텔 숙박요금 형식의 하나.
Average Room Rate(애버리지 룸 레이트)-판매된객실의 총실료를 판매된 객실수로 나누어서 구한 값으로평균 객실판매요금 이라고도함.
Aperitif(아페리티프)-식사전에 식욕을 촉진시키기위해 마시는 식전음료를 지칭함.
Aperitif (아페리티프) 영어의 에피타이저(Appetizer)에 해당되며, 식사전에 마시는 주류를 말한다. 포도주로는 셰리(Sherry), 베르무트(vermouth)등을 마시고, 칵테일로는 마티니(Matini)와 맨하탄(Manhattan)등이 제공된다.
Appetizer(애피타이저)-식사전에 식욕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먹는 식전요리를말하며 전채요리(前菜料理)라고도 함.
오르되브르(Hour D'oeuvre)라고도 하며 입맛을 돋구어 주는 전채요리를 말함.
Blance Sheet(B/S)(배런스 시트)-기업의 활동을 수치적으로 표시한 재무제표(財務諸表)중에서,일정시점에서 본 기업의 재산상태의 구성내용을
기록한표를 말하는것으로서 대차대조표라고 함.
Bin Card(빈 카드)-물품의 재고 및 출입성황을 한눈에 알아볼수 있도록 창고또는 물품이 저장되어있는 장소에 비치하는 현장재고기록표를 말함.
Booking( 부 킹 )-호텔의 객실,식당 또는 연회행사를 예약하는 것을 말하며, 예약(reservation)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Overbooking (오버부킹) 객실 보유수 이상의 예약을 받는 일로서 예약이 취소되는 경우(Cancel)와 고객이 연락도 없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No Show)가 통계적으로 매일 평균률이 계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 대한 대처로서 예약을 초과하여 받게 되는데 이것을 오버 부킹이라 한다.
Block( 블 럭 )-호텔에 예약이 되어있는 국제행사 참석자나 v.i.p를위해 사전에 객실 일구획(一區劃)을 한꺼번에 예약하는 것을 말하며,이를 블록예약이라고 함.
Block (블럭)호텔의 객실, 항공기의 좌석 등을 어느 정도 묶어서 예약하는 일을 블록 예약 한다고 하며 이와 관련된 객실 지정 예약으로 고객의 예약을 받을 때 컴퓨터상에 지정 예약 표시를 하여 룸 클럭(Room Clerk)에게 이를 식별하게 한다.
Blocking Room (객실배정)당일 도착할 고객의 객실을 사전에 배정하는 것. Break-even Point( 브레이크 이븐 포인트 )-경영분석의 한 방법으로서 매출이익과 비용이 일치되는 매출액을말하며,이익도 손실도 발생하지않는 상태,손익분기점이라고한다.
Break-Even Point (손익분기점) 비용과 동일한 매출액을 말하는 것으로써, 즉 일정 기간의 총수익의 합계와 총비용의 합계로부터 총비용의 합계를 차감한 금액을 손익분기점이라 하며, 도표상에서 총수익선과 총비용선이 교차되는 점을 손익분기점이라 한다.
Break-Even Point Rate (손익분기점율) 손익분기점율이란 손익분기점에서의 매출액과 이미 실현된 매출액과의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낮을수록 영업활동의 채산성이 양호함을 의미하며 높을수록 채산성이 좋지 않음을 나타낸다. 손익분기점율=(손익분기점에서의 매출액/매출액)*100
Baggage Tag ( 배기지 텍 )-화물을 맡겼을때의 짐표.
Bus Boy( 버스보이 )-식당에서 고객의 식사가 끝난후 식탁등을 치우는 등 waiter를 보조하는 종업원을 말함.
Bus Boy (버스 보이) 레스토랑에서 식사가 끝난 후 식탁을 치우거나 그릇을 닦는 일을 하는 종업원.
Back of the House( 백 오브 더 하우스 )-호텔의 후방쪽,즉 고객에게 노출되지않는 장소 및 부서를말함.(사무실,주방,창고위치등)
Back of the House (배후부서)
고객에게 노출되지 않는 부서로 주업무는 구매, 검수, 보관 및 식음료 공급품의 반출, 여러종류의 주방에서의 요리생산, 바의 운영, 기물 및 집기의 소제, 위생관리 요리사나 음식이 접시에 담겨지는 것부터 수납원과 검사원의 업무수행까지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
Beverage( 베버리지 )-사이다,콜라,주스,와인,위스키등 모든 음료의 총칭.Beverage (음료) 음료는 정찬의 최후 코스에 제공되며 대개 커피로 정하고 잇으나 개중에는 요구에 따라 홍차나 코코아 등도 제공된다. 그런데 식후에 제공하는 커피는 드미타스(Demi-Tasse)로 제공한다. 드미타스는 보통 커피잔의 1/2크기로 농도를 진하게 하여 8분 정도로 낸다.
Cash bar( 캐쉬 바 )-고객이 술값을 현금으로 지불하는 호텔연회장의 임시 ‘바’를 말함.
Cash Bar (캐시 바)
고객이 술값을 지불하는 객실내 바로서 대개 호스트가 없는 바로 알려져 있다.
Cancellation Charge( 캔슬레이션 차아지 )-예약되었던 내용에 대하여 어떤이유로 인하여,취소할경우 지불해야하는 예약취소 수수료를 말하며,
해약료라고함.
Cancellation Charge (취소요금)
예약의 일방적인 취소에 의한 투숙시간의 지연에 따라 그 상당액을 지불하는 제도이다.
captain( 캡틴 )-식당에서 손님의 주문을 받는일을 수행하며,waiter,waitress와 함께정해진 서비스구역을 책임지는 조장격의 종사원.check In( 체크 인 )-호텔에 도착하여 투숙 수속을 하는 것을 말함.
Check Out( 체크 아웃 )-숙박했던 호텔을 떠나고자 숙박료를 지불하고 퇴숙 하는절차를 말함.
Cloak Room( 클로크 룸 )-식당이나 연회장등에서 고객이 코트 또는 휴대품을 맡기는 임시 보관소를 말하며,check Room이라고도 함.
Cloak Room (클락 룸) 투숙객이나 기타 호텔 시설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수하물을 보관하는 장소.
Complaint( 컴플레인 )-호텔에서 제공한 제반 서비스에 대하여,만족스럽지못한 점이나,느낌을지적하여 말하는 고객의 불평을 말함.
Complimentary( 컴플리멘터리 )-호텔홍보나 선전,판매촉진등 특별한 접대목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일부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약자로
콤프(comp)라고도함.
Complimentary (무료) 호텔의 객실 및 식음료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
Connecting Room( 커넥팅 룸 )-객실과 객실사이에 통용문이있어 서로가 열쇠없이 왕래할 수 있는 연결문이 있는 객실을말함.
Connecting Rooms (통용객실)
인접한 객실로 연결된 문이 있는 것으로 객실과 객실 사이에 통용문이 있고 서로 열쇠가 없이 드나들 수 있는 통용객실로서 가족 여행이나 단체 여행에 편리를 도모한다.
continental Breakfast( 컨티넨탈 브랙퍼스트 )-커피나홍차 등의 음료와 쥬스,그리고 간단한 빵종류로 하는 간단한아침식사로 유럽식 아침식사라고한다. Continental Breakfast (콘티넨탈 브렉퍼스트) 유럽에서 성행하고 있는 아침식사로서 호텔에서는 이미 객실 요금에 아침 식사요금이 포함되어 지불된다. 이 식사에는 계란 요리가 제공되지 않고 커피와 빵 정도로 간단히 식사를 대응한다.
Corkage Charge( 코키지 차아지 )-호텔의 식당이나 연회장에서 그곳의 술을 사서마시지 않고,고객이 외부로부터 술을 가져와마실경우 그 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해야하는요금을 말함.
Corkage Charge (콜케이지 챠지) 호텔 식당에 있어서 그 식당의 술을 구매치 않고 고객이 가지고 온 술을 마실 때 마개 뽑는 봉사료를 말한다.
Coaster( 코스타 )-음료를 서비스할 때 음료잔(glass)을 받치는 천이나 종이로로된 받침.
Cnape( 카나페 )-작은 빵조각이나 토스트,크레커 위에 정어리,치즈,엔쵸비,등을 얹어서만든 식욕 촉진제의 일종으로 식전음료에 제공되는 술안주를 말함.
C.R.T( 씨.알.티 )-전산자료의 입력을 위한 장치로써 Cathod ray of Tude의 약자임.
Cart( 카 트 )-물건을 실어 나를수있는 바퀴달린 모든 운반기구의 총칭.
Room Service Cart,Bell Man Cart,구매용cart등)
Confirm( 컨 펌 )-호텔의 객실,식당,연회장등의 이용에 관해 예약된 사항을 다시한번 확인하는것을말함.
Chafing Dish( 챠핑 디쉬 )-연회장 행사시나 부페식당에서 뜨거운 음식이 식지않도록 하기 위해 알코올이나,전기로 열을 가하면서 뜨거운 음식을 담아제공하는 용기.
Chafing Dish (샤핑디쉬) 음식을 계속 보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용기, 보통 Buffe시 더운 음식을 서어브할 때 쓰인다.
door Man( 도어 맨 )-호텔에 도착하는 고객의 자동차의 문을 열어주고 닫아주는 서비스를하는 현관 종업원.
Door Man (도어맨) 호텔에 도착하는 고객을 현관 앞에서 마중하여 짐을 내리거나 차를 주차장에 옮기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 고객에게 좋은 첫인상을 주기 위하여 핸섬하고 체격이 좋고 화려한 복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Duty Free Shop( 듀티 후리 샵 )-외국인 관광객을위한 면세물품을 판매하는 상점.면세점이라고함.
Door Prize (도아 프라이즈)- 행사에 참가한 고객에게 추첨등에 의해 제공되는 선물이나 경품을 말함.
Do Not Disturb Card (두낫디스터브 카드)- 호텔의 객실에서 고객이 종업원의 출입을 제한하기위하여,문손잡이에걸어두는 표지판으로 (방해하지말라)는 문구가 씌여있음..흔히 D/D카드라고함.
European Plan (유로피안플랜)- 객실요금에 식사대금을 포함시키지않는
숙박요금제도로,American Plan과 정반대의 개념.
European Plan (유럽식 요금제도) 서구식 경영방식으로서 숙박요금에 식사요금을 포함시키지 않고 숙박요금과 식사요금을 각각 구분하여 계산하는 요금 계산방식으로 호텔 이외의 다른 곳에서 자유로이 식사를 할 수 있으므로 고객들이 선호하는 방식이다
Espresso Coffee (에스프레소 커피)- 이탈리아식 특제 커피로서 커피원두를 즉석에서간다음,증기압축기를사용하여,뽑아낸 진한커피.
family Plan (패미리 플랜)- 반드시 부모와 같이 같은 객실을 사용할 때에 14세미만의 어린이에게적용하는 제도로서,Extra Bed를 넣어주고
요금을 받지않는 것을 말함.
flush Valve (플러쉬 밸브)- 변기를 씻기위해 물통의 물을 내리는 손잡이.front style (프론트 스타일)- 고객앞에서 직접 요리하여 제공하는,서비스방법의 일종.
F.I.T (에프아이티)- 단체여행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원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외국인 개인여행을 뜻하는 것으로서,Foreign Independent Tour의 약자.현재호텔에서는 개별여행자,개인 여행자의 의미로도 쓰이고있음.
F/O Cashier (에프오 케셔)- Front Office에 근무하는 수납원.
F/B Cashier (에프 엔비 케셔)- Food & Beverage 식당이나 바에 근무하는 수납원
Flambee` (프람베)- French Service기법 중의 하나로 음식에 술의 향과 맛이 베게하면서,고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위해 ‘브랜디’나 ‘리큐르’ 같은 특정한 술을 사용해서 불꽃을 만들어 보이면서 고객앞에서 직접 조리하는 것을 말함.
General Manager (제너럴 메니저)- 호텔영업을 총괄 관리,감독하는 사람을 가리키며,총지배인이라고하고,약자로 GM이라고함.
Give away (기브어웨이)- 판매촉진을 위한 경품이라든가 무료증정품을 말함. House Use Room (하우스 유즈 룸)- 업무상 부득이한 사정으로 호텔종업원이공무로 사용하는 객실.
Hold Room Charge (홀드룸 차아지)- 고객의 개인 사물을 객실에 놓아둔채 단기간 여행이나,지방에다녀오는경우,또는 실제 고객이 도착하지않은 상태에서,객실을 고객의 성명으로보류하여 둔 경우에 적용되는 추가요금. Hotel Day (호텔데이)- 요금 계산기준이며,우리나라에서는 12:00부터 다음날 12:00까지임. In Bound (인 바운드)- 국내로 들어오는 외국 관광객.Incentive Tour (인센티브 투어)- 포상 여행. Key Rack (키렉)- 각 객실의 열쇠를 보관하는 선반. Late Arrival (레이트 어라이벌)- 예약시간보다 늦게 도착한 고객 Lost & Found (로스트 앤 파운드)- 고객분실물 습득 및 신고센타. Mail Clerk (메일 클럭)- 우편물을 고객에게 전해주고 퇴숙한 손님의 우편물을 보관 또는 운송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호텔종사원. Make Up (메이크 업)- 고객이 객실에 등록되어 있는 동안 침대의 린넨을 교환하거나 정리정돈을 하는 것.
Morning Call (모닝 콜)- 호텔에 투숙한 고객이 다음날 아침,시간을 정하여 전화로 깨워줄 것을 부탁할경우 그 시간에 전화벨을 신호로 고객을 깨워주는 전화서비스를 말하며,일명,wake up call이라고도 함.
Night Auditor (나이트 오디터)- 야간 회계감시자라고 하며,야간에 영업이 종료되면,일일영업 매출을 심사하여 확정시키는 업무를 담당한다.
No Show (Guest) (노쇼우 )<게스트>- 예약을 해놓고 아무 연락없이 나타나지않는 것, 또는 그런 고객.
Out Bound (아웃 바운드)- 국외로 나가는 국내 관광객.
Organized Tour (오가나이즈 투어)- 여행사 또는 기타 단체가 기획,주관하는 여행으로서 통상 단체 여행을 말함.
Outside Room (아웃사이드 룸)- 거리의 정원,호수 등 전면에 장애물이 없이 전망이 트인 객실 Ocupancy(rate) (오큐펀씨)- 호텔의 객실경영에 있어서 객실의 실제가동 상태를 가리키는 지수로서객실점유율이라고 함.
*판매객실수/판매가능실수 X 100=객실점유율(%)
On Change (온 체인지)- 객실 정돈중이라는 표시.
Out of Order (아웃오브 오더)- 객실고장.보수등으로 판매가 불가능한 객실.(고장이라는뜻)
Optional Rate (옵셔널 레이트)- 미결정요금,즉 객실예약상 정확한 요금을 결정지을수 없을 때 적용되는요금제도.
Optional Tour (옵셔널 투어)- 임의관광 즉 미리 계획하지않고 필요에따라 선택하는 관광.
Order Taker 오더 테이커 호텔의 식당이나 룸서비스에서 고객의 주문을 받는 종업원을 말함.
Profit and Loss Statement(P/L) (프로핏 앤 로스 스테이먼드)- 기업의 활동을 수치적으로 표시한 재무제표중에서 일정기간동안 기업이영업활동을한 결과가 손해인가 이익인가를 나타내는 표를 말함.
Reception (리셉션)- 손님을 맞아 들이는 곳.check-in등록을 받는곳.
Restaurant Cashier (레스토랑 캐셔)- 식당 수납원
Reservation Clerk (레저베이션 클럭)- 예약업무를 담당하는 종업원
Repeat Guest (리피트 게스트)- 다시 방문하는 고객.
Reservation Rack (레저베이션 랙)- 예약카드를 보관하는 선반.
Registration Card (레지스트레이션 카드)- 숙박등록카드를 말하며,대 호텔명, 주소, 카드번호, 고객명,객실번호주민등록번호,요금,도착시간,
출발예정시간,취급자명등이 기재됨.보통 regi카드라고 말함.
Room Clerk (룸 클럭)- 객실의 예약,판매 등 현관실무를 담당하는 종업원.Room Rack (룸 랙)- 고객의 카드를 각층별,객실번호순으로 정리하여 넣어둔 선반. Room Service (룸서비스)- 객실에 투숙 중인 손님의 요청으로 식사,음료 등을 객실에 운반,서브하는호텔식음부서의 영업기능 또는 식당을 말함. Rooming list (룸잉 리스트)- 단체고객의 예약에 따른 여행사에서 호텔에 사전 제출하는 고객명단. Off Season Rate (오프 시즌 레이트)- 비수기에 적용되는 할인된 객실요금.single Rate (싱글 레이트)- 할인요금의 일종으로,예약은 Single로 되어 있으나,당일 해당룸이 없는관계로 Double Bed Room을 제공하고 객실 요금은 single요금을 받는 것.
Skipper (스키퍼)- 호텔숙박요금을 지불하지않고 몰래 도망가는고객 또는 식음업장에서,해당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도망가는 고객을 말함.
Sleeper (슬리퍼)- 사무착오로 인하여,Room Rack에 투숙중으로 되어 있는 빈 객실을 말함.
Staff Canteen (스텝 캔틴)- 종업원 식당.
Studio Room (스튜디오 룸)- 낮에는 응접소파로 사용하고 밤에는 침대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특수침대(studio bed)가 있는 객실.
Single Room (싱글룸)- 1인용 침대 1개만 있는 객실.
Sleep Out (슬립아웃)- 객실은 사용하지만 거기서 취침하지않는 객실 또는 고객을 말함.
Suite (스위트)- 특실을 총칭한 말.
Steward (스튜워드)- 주방에서 접시,식기등을 저장,운반,세척하는 일을 는 종업원.
Table D`hote (테이블 돗데)- 정식 코스 요리를 말하며,A la Carte(일품요리)와 반대되는 개념. Tax Free 텍스 프리 면 세 (免稅)
Tip (To Insure Promptness) [팁] 빠른 서비스를 보장받기위하여 서비스맨에게 베푸는 고객의 호의.(봉사료)
Turn Away [턴어웨이] 객실부족사정으로 인하여 고객을 더 이상 유치할수없어,예약된고객을 빈객실이 있는 다른 호텔로 안내하여 보내는 것을 말함. Tariff [테리프] 호텔에서 공표(公表)한 정규요금을 지칭.
Turn Over (rate) [턴 오버] ⓐ일정기간 동안 재고량이 몇번 순환되는가를 나타내는 재고 회전(율).
b.식사시간에 식당좌석이 몇번 사용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좌석회전율.
Twin Bed Room [트윈 베드룸] 1인용 침대가 2개들어 있는 객실.
Up Grading (업 그래이딩)- 고객이 예약한 등급의 객실이 부족하거나,기타 호텔사정에의해 예약객실보다 등급이 높고 바싼 객실에 예약 가격으로 투숙시키는 것을 말함.
v.I.P (비 아 피)- Very Important Person의 약자로 귀빈이나 특별히 정중하게 모셔야할사람이나 要人을 말함.
Vacant (베이 컨트)- 투숙하지 않은 객실,판매 가능한 청소된 객실을 말함.Walk-In Guest (워크 인 게스트)- 당일 예약없이 들어오는 고객을 말함.(객실,식당) Waiting List (웨이팅 리스트)- 이미 예약이 滿員되어 있는 있는 식당의 좌석이나 객실을 예약하기위하여이미 예약된 것중 취소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대기자 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