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시공
3.1 설계
3.1.1 일반사항 가. 커튼월 공사에 대한 성능 및 설계기준으로서 설정된 성능치를 만족하고, 제작, 시공 및 사용상의 지장이 없도록 설계한다. 나. 이 시방에서 언급한 바가 없는 경우에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3.1.2 설계기준 가. 수축팽창 : 커튼월은 외부기온의 연중 변화온도(최고 45℃, 최저 -25℃)에 대하여 충분한 수축팽창 여유를 갖도록 설계하여 이로 인한 좌굴이나 유리의 응력 접합부 시일재의 파손, 기타 구조상의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나. 설계풍압 : 설계풍압은 공사시방에 따라 설계해야 하나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건설교통부령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커튼월 부재의 처짐에 대한 규정은 공사시방에 따라야 하나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아래의 조건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1) 수직방향에 대한 휨은 L/175 또는 19mm 이하의 두 개의 값 중 작은 값을 선택해야 한다. 단, 캔틸레버 보의 경우는 2L/175 이하이어야 함(L: 지점간의 거리) 2) 처짐은 유리물림깊이(glass bite)가 원계획 치수의 최소 75% 이상을 유지향 하며, 부재와 유리 모서리 사이의 유여깊이가 3.2mm 이상 유지되어야 하고, 유리 자중에 의한 처짐은 3.2mm 이하이어야 한다. 다. 수밀성 1) 커튼월 부분의 수밀성능은 커튼월 부재 또는 면적을 근거해 실내측에 누수가 생기지 않는 한계의 압력차로 표시하고 그 단위는 ㎏/㎡로 한다. 2) 수밀성능에 의한 시험방법은 공사시방에 따라 실시한다. 라. 기밀성 1) 기밀성능은 압력차 1㎏/㎡에 대한 단위벽면적, 단위시간당의 통기량에 의해 표시하고, 그 단위는 ㎥/㎡·min으로 한다. 2) 기밀성능 및 시험방법은 공사시방에 따르나,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1.57P.S.F.(시속 40km 7.8kgf/㎡) 압력차에서 공기유출량은 고정창의 경우 0.06 C.F.M/ft2(0.0183㎥/㎡·min) 이하이어야 하고, 개폐창의 경우에는 0.5 C.F.M/ft(0.0481㎥/㎡·min)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다. (주 : P.S.F = Pound per Square Feet, C.F.M. = Cubic Feet per Minute) 마. 차음 및 단열성 1) 차음 및 단열성능은 건축공사표준시방서 유리공사 및 단열공사에 따르고 단열성능은 열관류 저항에 의해 표시하며, 그 단위는 ㎡·h·deg/kal로 한다. 2) 차음 및 단열성능에 의한 시험방법은 공사시방에 따른다. 3) 단열 성능값 R는 표준적인 시험에 의해 산정하나,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아래의 식에 의해 산정할 수 있다.
R = Ro + Ri + [ Ra + Σ(d/λ)i ]
Ro : 외기측 열전달 저항(㎡·h·deg/kal) Ri : 실내측 열전달 저항(㎡·h·deg/kal) Ra : 공기층의 열저항(㎡·h·deg/kal) d : 층 구성재의 두께(m) λ: 층 구성재의 열전도율(kal/㎡·h·deg)
4) 차음성능은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음의 평균 투과손실률이 40dB 이하로 설계한다. 바. 지진계수 :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건설교통부령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사. 결로방지 1) 커튼월은 설정된 실내외 온도차, 실내습도에 의해 커튼월의 실내측 및 벽체 내에 유해한 결로가 생기지 않도록 설계한다. 또한 유해한 결로수가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는 적절한 처리기구를 도입하여 설계한다. 2) 커튼월은 결로수에 의한 녹이나 동결등에 의해 성능저하와 기구상의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설계한다. 아. 보수·청소작업의 배려 1) 준공 후 보수할 필요가 생길 것이 예상되는 부분과 청소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러한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배려한다. 2) 청소용 및 보수공사용 기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커튼월은 그 구조내력·기구 등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설계한다. 자. 접촉부식 1) 이종금속 등이 접촉에 의한 부식이 생겨 미관이나 그 밖의 성능에 결함이 생길 우려가 있는 경우는 그 부분에서의 누수, 결로수 등의 발생 혹은 해당부분과의 접촉이 없도록 설계한다. 2) 위와는 관계없이 부식이 생길 염려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의 절연처리 혹은 해당부분의 방청처리를 실시하도록 설계한다. 차. 클리어런스에 의한 성능저하 방지 제작, 제작오차, 구체의 변형, 커튼월 부재의 열변형 등에 대한 처리로서 부재간에 클리어런스를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 부분에 의해 단열·차음·수밀·기밀·내화 등의 각 성능이 저하할 염려가 있을 경우 그 정도에 따라 성능저하 방지를 위한 처리를 설계한다. 카. 내구성 1) 커튼월은 통상의 청소 및 보수를 행하는 것에 의해 공사시방에 나타난 기간 또는 소요성능을 유지하도록 설계하고,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점검통로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2) 예측되어진 환경조건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이 있도록 표면마감을 행한다. 타. 소음·마찰음 방지 커튼월은 예상되어진 풍압력, 구체의 변형, 외기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생기는 변형에 의한 소음·금속마찰음 등의 발생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파. 열 안정성 커튼월은 예상되는 온도변화에 의한 부재의 변형이 각부의 파손 혹은 성능 저하를 가져오지 않고, 또한 미관상으로도 지장이 없도록 설계한다. 하. 내화성능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커튼월의 내화성능은 건축법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과 건설교통부 고시의 "통상 화재시 견디는 시간"에 따라 설계하고 화재시 탈락이 없어야 하며, 부착용 철물도 동등한 내화성능을 유지하여야 한다. 갸. 부재단면의 최소치수 커튼월의 줄눈부분에 상당하는 끝면의 최소 치수는 1차 시일재·내화줄눈재(부재가 내화피복재를 겸하는 경우), 감압공간 및 2차 시일재가 소정의 위치에 무리없이 설치될 수 있는 값으로 한다. 냐. 배연 커튼월에 설계하는 배연구의 위치, 크기, 개폐방법 등은 관련 법규에 적합하도록 설계한다. 댜. 건조수축 균열의 제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커튼월 부재는 건조수축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아래의 각항에 따라 설계한다. 1) 부재의 주위구속은 강하지 않게 하고 부재는 가능한 한 평면상태로 한다. 부득이 리브형 부재로 할 경우에는 리브로 둘러싸인 평판부의 면적을 크기 않게 한다. 2)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변단면부(邊端面部)에서는 예각상의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을 가능한한 피한다. 3) 부재 중의 철근 혹은 용접철망의 간격은 부재두께의 1.5배 이하로 한다. 랴. 인양용 철물 인양에 사용되는 철물류는 자중 이에도 충격하중을 고려한다. 또한 제작·적재 운반 및 설치과정에 따라 예상되는 하중상태에 따라 산정된 응력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3배 이상 안전율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먀. 부대공사 부재설치용 선부착 철물 부대(付帶)공사 부재설치용의 선부착 철물은 그 용도에 적합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뱌. 선부착 철물의 위치 커튼월에 선부착되어진 각종 철물류는 소정의 내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3.1.3 금속 커튼월의 실물 모형 실험(mock-up test) 가. 성능시험 시행여부·규모·시험종목 및 판정기준은 공사시방에 따르고,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다'항에 따른다. 나. 성능시험용 도면은 담당원이 지정하는 부분에 대하여 작성하며, 본 건물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하여 담당원이 인정하는 시험소에서 성능시험을 할 수 있도록 보고서를 작성하여 담당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성능시험을 실시한다. 다. 시험종료 후 각종 시험에 관련된 시험결과를 담당원에게 제출해야 하며, 성능 시험 관련사항은 아래와 같다. 1) 시험소 ; 담당원이 지정하는 국내·외 시험소에서 실시한다. 2) 시험종목 가) 예비시험 설계풍압력의 50%를 일정시간(30초) 동안 가압하여 시험장치에 설치된 시료의 상태를 일차적으로 점검하여 시험실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나 실시하는 예비시험이다. 나) 기밀시험 지정된 압력차(공사시방에 정한바가 없을 때에는 1.57P.S.F.(시속 40km 7.8kgf/㎡) 아래서 유속을 측정한 뒤 시험체에서 발생하는 공기 누출량을 측정하고, 설계기준의 기밀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다) 정압수밀시험 설계풍압력의 20% 압력 아래에서 3.4ℓ/min·㎡의 유량을 15분 동안 살수(water spray)하여 실시하며, 시험장치에 설치된 시료의 바깥에서 누수상태를 관찰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라) 동압수밀시험 규정된 압력의 상한값까지 1분동안 정압으로 예비로 가압한 뒤에 시료의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시료 전면에 4ℓ/min·㎡의 유량을 균등히 살수하면서 규정된 압력에 따라 KS 규준 맥동압을 10분동안 가한 상태에서 누수가 없어야 한다. 마) 구조시험 (1) 설계풍압력의 100%를 단계별로 증감(대개 50%, 100%, -50%, -100%의 4단계로 구분함)하여 설계풍압력 ±100% 아래에서 구조재의 변위와 측정 유리의 파손여부를 확인하고, 설계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설계풍압력의 150%에 대해 (1)항과 같이 실시하며, 잔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해 0㎏/㎡로 압력제거시 변위를 측정하여 L/1000 이하이어야 한다.(L: 지점간의 거리)
3.2 제작
3.2.1 일반사항 공장 가공, 조립 착수전 승인된 시공 상세도면과 진행중이거나 진행완료된 구체공사의 시공오차 여부에 대한 검측을 담당원 입회하에 실시하여, 검측결과에 대한 담당원과의 협의 조정된 최종 시공상세도면과 공사시방에 의거 가공, 조립한다.
3.2.2 금속 커튼월 제작 가. 제작도 작성 공사 착수전 설계도면과 시방을 기준으로 하여 제작, 설치를 위한 세부제작, 시공 상세도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각층 평면도 및 주단면도 2) 방위별 입면도 3) 부위별 단위평면도, 입면도, 단면상세도 4) 수직, 수평부재 및 부재간의 접합부 상세도 5) 익스팬션 조인트 단면상세도 6) 보강 부분의 보강 상세도 7) weather stripping 재료 및 방법 8) 결로수 배수처리방법 및 상세도 9) 하드웨어 재질, 형상, 설치위치 10) 유리끼우기 및 고정방법 11) 단열재의 설치 및 고정방법 12) 타 공종과의 연관 부분에 대한 상세도 13) 고정에 따른 시험계획서 및 작업계획서 14) 긴결철물 상세 및 위치도 15) 시공·설치 순서도 16) 기타 담당원이 지정하는 부분의 단면상세도 나. 부재의 접합 표면에 노출된 일체의 부재 접합부의 가공은 시각적으로, 구조적으로 결함이 없어야 하며, 누수가 되지 않는 구조로서 정확한 치수와 강도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다. 공장조립 커튼월 각 부재와 이에 부속되는 각종 부속철물은 공장에서 조립하여 철저히 사내검사와 담당원의 검사를 받아서 현장 조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라. 이종금속 접촉부에 대한 보호대책 상호 접촉에 따른 부식의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이종금속의 접촉면에는 이종금속의 상호 접촉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피막제를 도포하거나 시일재 또는 비닐시트 등 적절한 재료로 보호조치한다. 마. 용접 일체의 용접은 공사시방의 규정에 따라 실시하고 용접 종류, 형태, 간격 등은 상세도면에 표시해야 하며, 용접에 의한 부재표면의 뒤틀림이나 퇴색현상이 없도록 주의한다. 용접부위가 표면에 나타나는 곳은 디스케일링(descaling)이나 연마(grinding)하여 터치업(touch up) 마감을 한다. 바. 절단면 접합부의 누수방지 누수방지를 위하여 모든 절단면 접합부위는 조립시 내부에서 시일재를 시공하고 스크류(screw) 조립 작업후에는 그 위에 반드시 시일재를 도포한다. 사. 가스켓 및 부속재 부착작업 가스켓는 가스켓 홀(hole)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부착하고, 이음부위는 강력접착제로 완전히 고정시키며 외기와 접하는 부위는 열에 의한 자가 융착방식이 가능한 것을 사용토록 하여 정확히 부착한다. 아. 유니트(unit)별 조립작업 부속재의 부착 및 시일재가 완료된 부재를 이동식 조립테이블에 놓고 조립용 공구로 1,2차 조임을 하여 스크류를 완전 조립후 누수되지 않도록 시일재를 마감한다. 자. 포장 및 운반 조립이 완료된 제품은 철저한 사내검사를 거쳐 비닐보호막으로 개별 포장하여 출하하고, 운송 도중에 변형 또는 파손이 없도록 목재 또는 스펀지 등으로 보호처리하여 운송한다.
3.2.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커튼월 제작 가. 형틀의 제작 및 조립 1) 형틀은 진동, 타설 등 연속작업 및 반복사용에 형태, 치수가 정확히 유지되어야 하고, 조립, 탈형이 용이하며 예상되는 외력 및 양생조건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 조립한다. 2) 형틀은 녹물에 의해 콘크리트나 마감재가 변색되지 않도록 유지 관리한다. 나. 철근의 가공 및 조립 1) 사용 철근의 보관은 비, 바람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공장에서 보관하고 지상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철근은 규격별로 보관한다. 2) 가공 및 조립 철근의 가공조립은 배근도에 의하여 배근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철근 절단, 가공, 조립용 틀을 제작, 작업하고, 구조적으로 중요한 부분은 용접 후 용접슬래그를 제거하며, 조립된 철근은 유형(type)별로 보관하여 사용한다. 3) 조립철근의 형틀내 조립 마감재의 배열 및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된 후 조립완료된 철근을 형틀 내에 조립한다. 조립완료된 철근을 형틀내에 정확히 조립하기 위하여 간격재를 소정의 피복두께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설치하고, 결속선의 끝이 마감재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다. 매입철물 설치 1) 각종 매입철물은 소정의 위치에 볼트로 형틀과 긴결시키고 콘크리트 타설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2) 매입철물은 사전에 안전성의 확인을 행하고 인양용 철물은 탈형, 또는 설치용 철물과 병용하지 않도록 하며, 매입철물 설치시 철물주변을 보강하여 구조를 보강한다. 매입철물 설치의 경우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고, 매입철물의 나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라. 마감재 1) 마감재의 반입, 보관 및 장내 소운반 가) 마감재 공장에서 받침대(pallet) 적치된 상태로 운반된 마감재를 반입하여 소정의 장소에 규격별로 정리하여 보관한다. 나) 공장내 운반은 지게차로 하고 보관시에는 받침대 적치된 상태로 보관한다. 또한, 마감재의 각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급에 주의하며,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에는 마감재 보호용 쿠션재를 넣도록 한다. 다) 마감재 보관은 시트로 덮어서 눈, 비, 바람, 먼지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2) 마감재 작업장 설치 마감재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의 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작업물량이 대규모일 때는 마감재 작업장을 2개소 이상 설치한다. 가) A 작업장 : 마감재를 반입, 규격별로 보관하고 마감재 배면처리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마감재 규격, 오염상태, 건조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마감재에 한하여 B 작업장으로 반출한다. 나) B 작업장 : 마감재 규격, 오염상태, 건조상태가 기준치 이상인 마감재를 반입하여 배면처리, 쉬어 코넥터(shear connector) 설치 및 규사 도포작업을 하고, B 작업장에는 배면처리제 배합장소, 규사의 2일 사용량 이상 보광 장소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커튼월 생산 수량을 고려한 작업장을 확보한다. 겨울철의 경우에는 반입된 자재를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여 보온·양생에 주의한다. 3) 마감재의 배면처리 마감재의 배면처리 작업전에 오염 및 건조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이상이 없는 마감재는 작업대 위에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작업을 실시한다. 가) 매스킹 테이프 접착 나) 앵커홀 청소 및 그라우팅 다) 배면처리제 400g/㎡ 이상 도포 라) 시어 코넥터 설치 마) 규사 700g/㎡ 이상 도포 배면처리 작업시 외기온도가 5℃ 이하일 경우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실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장 내부의 온도가 5℃ 이상 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4) 마감재의 배열은 형트의 표시선에 맞추어 규정줄눈 규격을 유지하도록 정확히 배열한다. 배열순서는 먼저 패널 외주의 석판을 외측방향으로 밀 듯이 깔고 패널의 외주치수를 확보한다. 수직으로 세워지는 마감재는 형틀의 특성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긴결철물 등으로 형틀에 긴결하여 진동기 사용시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5) 마감재 줄눈부분의 처리 마감재 줄눈은 백업(back-up)재 공구를 사용하여 주의있게 삽입하고, 백업재(발포 폴리에틸렌)를 포함한 주변을 동일하게 배면처리제를 사용하여 도포한다. 마감재와 형틀 사이에는 마감재를 오염시키지 않게 방수 모르터를 조심스럽게 충전한다. 6) 마감재 배열후의 검사 검사는 마감재의 배치, 높이, 수평, 줄눈재 삽입상태, 쉬어 코넥터 설치상태 등에 대하여 검사하며, 불 량한 부분은 즉시 수정하고 수정 불가한 부분은 해체하여 재시공한다. 마. 콘크리트 타설 1) 콘크리트 타설은 담당원이 제시하는 타설순서에 입각하여 작업을 행하고, 선행타설이 확인된 후에 후속타설을 하여 마감재 배면에 공기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형틀내부 구석부분까지 콘크리트가 완전히 충전되도록 하여야 한다. 2) 다짐은 봉상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고 바이브레이터 진동을 과다하게 한다든지, 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브이브레이터봉이 철근, 마감재 앵커, 마감재 배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 작업하고, 특히 바이브레이터 진동으로 인하여 마감재 배치가 이동되거나 백업재(발포 폴리에틸렌)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앵커 하부에 콘크리트가 완전히 충진되어 주요 구조부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타설은 담당직원의 입회하에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소정의 노출부분은 쇠흙손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고 평활하게 마감한다. 5) 콘크리트 타설 및 마감이 완전히 끝나면 형틀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마감재 오염을 사전에 방지한다. 바. 양생 1) 사전양생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증기양생을 시작하기 전에 초기경화에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여름에는 약 2시간, 겨울에는 약 3시간 정도 자연양생을 실시한다. 2) 증기양생 가) 증기양생을 실시할 때에는 먼저 양생시트를 사용하여 제품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완벽하게 덮은 후 증기양생을 시작하되 온도 증가방법은 공사시방에 따른다. 나) 양생시간은 계절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양생개시후 7∼9시간 정도로 하며, 어떠한 경우라도 최고온도가 70℃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되고, 온도상승 및 하강 구배는 15℃/hr 이하가 적절하고, 20℃/hr가 초과하면 안된다. 다) 탈형시 제품온도와 외기온도의 차이는 20℃ 이하를 유지하여 심한 온도차로 인하여 제품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한다. 라) 탈형시에는 양생시트를 서서히 벗겨서 제푸이 급냉하지 않도록 하고 후속공정에 임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양생하여 탈형강도는 공사시방에 규정된 강도의 이상이 되면 탈형을 실시할 수 있다. 3) 자연양생 탈형강도 기준으로 탈형한 후, 마무리 손질 등 소정의 공정을 끝낸 제품은 야적장에 수평유지장치(고임목, 또는 수평대)를 하여 제품을 야적시킨다. 야적된 제품은 자연양생을 하여 소정의 설계강도 이상이 되도록 관리한다. 사. 탈형 1) 탈형은 조립의 역순으로 행하고, 제품, 형틀, 특히 마감재의 손상에 주의한다. 탈형시 제품에 따라 제품앵커를 사용하여 탈형이 곤란한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안전한 지점에 탈형용 훅(hook)을 설치 사용하고, 탈형후 가적시에는 마감재나 제품이 고임목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보양을 하거나 기타 보양재를 끼운 후 적재해야 한다. 2) 탈형 후 제품의 일정한 위치에 제품번호를 표시한다. 3) 탈형시에는 마감재의 파손에 유의하고, 제장비에서 기름 및 오염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점검한다. 아. 마감 및 보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커튼월의 가스켓은 공장에서 설치함을 원칙으로 하며, 가스켓은 모서리부분, 접히는 부분, 직선부분이 정교하게 처리 연결되도록 한다. 가스켓 접착은 콘크리트면의 청소를 깨끗이 한 다음 고무접착제를 사용하여 목공구로 잘 다져서 접착한다. 자. 저장 1) 마감된 제품은 평탄하고 여유 있는 장소에 저장하여 장마철, 동절기에 제품이 오손되지 않도록 한다. 보관방법은 공사시바에 따르며, 저장시에 제품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점의 수평 및 위치를 적절히 조절한다. 2) 초기재령에서 과대한 온도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과도한 건조상태가 되지 않도록 보양한다. 특히, 제품의 모서리 부분은 취급시 마감재가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고무쿠션재로 보양하여 저장한다. 차. 제품 운반 1) 적재방법 가) 적재시 인양지점 수는 4지점 이상으로 하고 사용하는 공기구는 마감재가 오염되지 않도록 사전에 점검한다. 나) 제품과 제품 사이는 받침목을 설치하고 고임목과 제품 사이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무션재를 끼워 마감재를 보호한다. 다) 차량에 제품을 긴결시키는 로프작업시에도 제품의 단부나 모서리 부분, 또는 로프가 직접 닿는 부분에는 쿠션재를 끼워 넣어 제품을 보호한다. 라) 운반 차량에 사용하는 받침목은 각재를 사용하며, 운반 도중 차량의 급정거시 제품의 미끄러짐을 예상하여 제품의 적재에 충분히 주의하고 대비한다. 2) 운반차종 제품의 중량, 형태, 운반경로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차종을 선정한다. 3) 제품의 현장 반입 공장에서 현장으로 출발전에 현장의 설치 담당자와 협의하여 현장 도착시간, 제품의 종류 및 수량 등을 확인해야 한다. 4) 공장에서 현장까지의 도로상황, 차량규제, 거리, 소요시간, 상차 및 하차 소요 시간 등을 충분히 조사하여 현장공정에서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5) 제품의 현장 가적재 제품의 하역요령은 상차시와 동일하고 가적재는 공사시방에 따르되 낙하물, 용접물, 레미콘, 기름, 성토부분, 흙탕물 등을 주의하여 적재하고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3∼4단 이하로 적재하며, 특히 마감재가 오손되지 않도록 보양을 철저히 한다.
3.2.4 복합 커튼월 제작 복합 커튼월 제작은 3.2.2(금속 커튼월 제작)와 3.2.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커튼월)에 따른다.
3.2.5 제품의 치수 허용오차 제품의 치수 허용오차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단,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표2, 표3, 표4에 따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