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은
‘平:평평할 평,
澤:못
택’이라는
글의 뜻에서 보듯이 산이 많지 않고 지형이 평탄하고
호수와 하천이 많고 동남북
삼면으로 낮은 산이 서해를 향해 감싸 안은 모양을 하고 있는 평택은 흔히
경기미로
불리는 평택 쌀의 본고장입니다.
평택의
'평'자가
말해주듯 이곳은 땅 전체가 언덕배기나 들녘으로 이루어져있어 쌀 생산의 본고장이라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부산현으로 불리다가 통일 신라 때에 진위로 그 이름이 고쳐졌다.
평택은
충청도와 경계선이 맞닿아 있는 지형 탓으로 때로는 충청도 땅 이였다가 또 때로는 경기도 땅이 되어 오락가락하다가 1914년에
바로 이웃하고 있던 양성현과 직산 현의 일부를 합쳐서 진위군 이라는 이름으로 경기도 품에 들게 된다.
지금의
평택이라는 이름은 고려시대에 처음 사용되긴 하지만 오늘날의 평택시는 1995년에
송탄시와 평택시 그리고 평택군이
통합되어 시가 되었다.
구석기시대에
이미 사람이 존재하였던 흔적이 최근의 지표조사에서 발굴되기도 하여 그 옛날부터 사람이 살기에는 더없이 좋은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안성과 함께 삼남지방에서 서울에 이르는 한양길목에 자리잡고 있어 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이기도 하였다.
“대추리길”코스
이 코스는
38국도 지하도를 건너면서 부터 노와2리에 이르기까지의 약 4Km의 구간은 평택을 상징하는 소사벌 들판을 끼고 있으며, 청일전쟁 등 많은 역사적
흔적을 담고 있습니다.
평택시청-롯데마트- 38국도 SK충전소 옆
지하도-유천동 한라물류센터-유천3리-안성천 망건다리-성환쪽 안성천 제방-경부철로 지하도-한강홍수통제소-입장천 와룡교-성환읍
와룡2리-와룡3리-노와2리-대추리 이주단지 평화마을-예비군훈련장-대추리 이주단지 행복마을-용화사-미군CPX훈련장-K-6미군기지 정문 앞
쌈지공원
첫댓글 럭비공님 오랫만입니다.
저나 이, 조님께서 요즘 이것저것에 한눈 팔고 있는 바람에 섶길에 소홀했습니다.
섶길만들기의 전반적인 계획 등 여러 문제를 정리하는대로 조만간부터는 집중할 것입니다.
옛 반가운 친구를 만난 느낌입니다.
그리구 다음주 중에 가능한 시간에 답사 같이 하지요.
아참! 그리구 다른 분들도 같이 생각할 수 있게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대추리길에 대한 평가와 제안을 한번 해주시죠?
안녕 하세요
-유천동 물류센터에서 망건리 다리 까지 차도를 걷는 곳이 위험 하오니 우회가 필요함
-평택 지형을 위한 둘레길 이므로 시경계는 지나가되 시경계을 넘지 않도록 하였으면 함
-섶길 리본이 도중에 끊김
-다른지역 둘레길은 그지역 문화제 홍보에 많은 도움이 됨
예
대추리마을까지 다녀왔습니다 길이 멋졌습니다
길 안내 표식인 리본을 따라 걷기에 어려움은 없었는지요?
다른 불편함이나 개선할 점, 또는 느낀 점에 대해 얘기해주신면 참고하겠습니다.
@광우 ㅋ 리본을 못찾아 한참헤맸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