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철나무 겨울눈 ▲ 사철나무 겨울눈
낙목한천(落木寒天), 엄동설한(嚴冬雪寒)의 겨울 나뭇가지엔 겨울눈(冬芽)이 새봄의 희망을 안고 겨울을 견디고 있습니다. 땅에 뿌리를 내리고 하늘을 우러러 사는 나무들은 풍성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꽃을 피었고 열매를 맺었습니다. 대부분의 식물의 줄기는 하늘을 향하고, 뿌리는 땅을 향해 뻗어나가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한 그루의 나무, 한 포기의 잡초도 다 이름이 있으며 그들은 우리 인간들과 공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아(頂芽)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나무는 성장을 계속하다가 얼어 죽는다고 합니다. 식물의 겨울눈은 무더운 여름철부터 만들기 시작하여 늦가을에 완성한다. 우린 식물의 삶을 통해 우리의 삶을 되돌아 보는 지혜를 가져야겠습니다. 굳건한 인내 앞에선 절망도 움처러들고 말 것입니다. 추운 겨울을 지날수록 그해 봄엔 많은 꽃이 핍니다. Fighting입니다. ▲ 사철나무 겨울눈 ▲ 사철나무 겨울눈 ▲ 사철나무 겨울눈 [과학칼럼] '겨울눈' 처럼 단단하고 야무지게 이유미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연구실장
나뭇가지 하나에도 다양한 세상 존재
나무들의 수피를 제대로 볼 수 있는 때도 이즈음이다. 수피(樹皮)에 다이어몬드 모양의 통기구멍-이를 피목(皮目)이라고 부른다-을 가졌다면 은사시나무일 것이고 옆으로 튼 듯한 줄무늬가 있으면 벚나무 집안이다. 거제수나무는 종잇장처럼 벗겨지는 하얀 껍질을, 물박달나무는 너덜거리는 회백색 수피를 가진다.
진짜 중요한 것은 겨울눈 속에 들어 있다. 이러한 눈(芽)의 종류는 많지만 특히 겨울에 보는 눈을 겨울눈, 동아(冬芽)라고 부른다. 눈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 막 터져 돋아나려는 식물의 싹'을 말한다. 어린 싹이, 내년에 가지를 올리고 새로운 꽃이 되고 잎이 되는 미래가 바로 겨울눈 속에 때를 기다리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가장 모진 계절의 겨울눈 속에는 식물에게 있어서 가장 어리고 연한 조직이 들어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 여린 미래는 가장 바깥에 아주 단단한 껍질로 철저히 무장하고 있다. 추위를 막는 역할을 한다. 마치 우리가 겨울에 코트를 입듯이.
흥미로운 것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눈의 껍질이 각기 다르다. 백목련처럼 연회색빛 털코트를 입은 겨울눈도 있고, 물푸레나무처럼 검은색에 가까운 가죽 코트를 입은 겨울눈도 있다. 어떤 코트를 입고 있느냐에 따라 나무마다의 개성이 드러난다.
나무의 종류에 따라 눈의 모습이나 역할이 모두 다른데 그 중에는 꽃으로 피어날 꽃눈(花芽)도 있고, 잎으로 펼쳐질 잎눈(葉芽)도 있고, 이 모두가 차례 차례 한 눈 속에 들어 있는 눈들도 있다. 줄기의 가장 끝에 있으면서 가장 큰 눈은 보통 정아(頂芽)라고 하는데 이변이 없는 한 내년이면 줄기와 꽃 혹은 잎이 될 녀석들이다. 그 옆에도 눈들이 있다. 정아에 문제가 생기면 대신 새 가지로 자랄 예비군인 셈이다. 어려움을 대비해 측아보다 더 작은 눈들이 주변에 있기도 하고, 아예 줄기 껍질 속에 들어가 있다가 위급할 때 터지는 잠자는 눈, 잠아(潛芽)도 있다.
새봄 희망 안고 겨울 견디는 나무들
게다가 내년 봄이 돌아와 일시에 꽃을 피워 세상을 환하게 만들어 주목을 받고 싶은 진달래나 개나리같은 꽃나무들은 이미 꽃으로 피워낼 꽃눈의 분화를 마친 상태로 겨울을 난다. 봄이라는 가장 아름다운 계절을 자기들의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아주 부지런히 노력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물론 나무 중에는 그냥 겨울을 견뎠다가 봄이 오고 나서 서서히 조직을 분화하는 나무들도 있다. 하지만 이들의 잎 혹은 꽃들은 이미 지상에 지천인 초록에 묻혀 버리기 십상이다. 결코 새 시대의 주인공이 될 수 없다.
낙엽도 지고 난 메마른 가지 하나에도 이렇게 다양한 세상이 숨어 있다. 세상살이는 계절의 변화처럼 변화무쌍하여 화려한 단풍잔치 다음엔 모진 겨울이 기다리며, 그 어려운 계절의 나뭇가지엔 새봄의 희망이 숨어 있다. 또 그 희망은 어려운 시간을 어떻게 견디고 노력하고 준비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이야기한다. 혹시 지금 어렵다면, 지나치게 잘 나간다면 모두 이 겨울을 앞둔 나뭇가지 하나가 하는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보아야 한다.
출처: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110000&newsId=20091029000190
▲ 사철나무 겨울눈 ▲ 사철나무 겨울눈 식물의 눈은 봄에 나올 나무의 어린 잎과 꽃술이 차곡차곡 접혀져 아린(芽鱗)이라는 물질에 싸여 겨울 동안 추위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그 중 가지의 제일 끝에 달린 눈을 정아(頂芽)라고 하는데, 이는 줄기가 더이상 자라지 못하게 억제한다. 정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나무는 성장을 계속하다가 얼어 죽는다. 물론 겨울눈이라고 모두 아린으로 싸여 있는 것은 아니다. 칠엽수 종류는 겨울눈에 끈근한 부동액을 발라 어는 것을 방지하며, 붉나무 종류는 솜같은 털로 두껍게 덮어 보호한다. - 북극곰이 흰색인 이유 / 과학동아 편집실 저 에서 ▲ 사철나무 겨울눈 ▲ 사철나무 겨울눈 낙엽활엽수들은 잎을 모두 떨어뜨리고 나목(裸木)으로 겨울을 나지만 상록수들은 수분함량을 최대한 적개하고 잎을 단 채로 겨울을 나지요. ▲ 사철나무 겨울눈(2011/12/18) ▲ 달맞이꽃 식물은 종류마다 겨울을 나는 모습이 조금씩 달라요.
달맞이꽃은 로제트(Rosette)로 겨울나기를 하지요. 잎이 겨울에도 죽지 않고 뿌리를 보호하지요. 지표에 접하여 근출엽을 확대하여 월동하는 생육형의 식물을 로제트식물(rosette plant)이라고 하지요. 달맞이꽃, 망초, 냉이, 민들레, 질경이 등이 있지요. 가을에 미리 싹이 트는 풀, 이런 풀은 뿌리에서 난 잎을 땅바닥에 방석처럼 펼치고 겨울을 나지요. 그렇게 겨울을 잘 견디면 봄에 다른 풀들보다 빨리 자라고 꽃이 필 수 있지요. 달맞이꽃, 민들레, 냉이, 엉겅퀴 등은 잎과 뿌리로 겨울나기를 한다. 튤립, 달리아, 수선화, 글라디올러스 등은 줄기와 잎은 모두 죽고 알뿌리로 겨울나기를 한다. 감자, 나리 등은 땅속 줄기를 이용한 겨울나기를 한다. 고무나무, 야자수 등은 아예 편하게? 온실에서 자란다(온실식물). 상록수는 절개를 지키며 잎이 붙은채로 겨울나기를 한다.
미기후(microclimate)를 아시나요? 라운키에르의 생활형을 아시나요? 식물관찰에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 미기후(微氣候, microclmate) ♣
밭의 두렁과 두렁 사이, 움푹 들어간 곳이 밭고랑이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두렁은 우뚝 솟아 있기에 볕을 잘 받지만 고랑은 하루 종일 두렁의 그늘이 지는 응달이다. 둘은 서로 온도가 다르다. 그래서 눈 온 뒤에도 두렁의 눈은 태양을 받아 곧바로 녹아 버리지만 고랑의 것은 여간해서 녹지 않는다. 밭이랑 하나를 두고도 두렁과 고랑 사이에 이렇게 온도차가 난다. 일조(日照), 바람받이 등의 환경에 따라 생기는 아주 작은 기후의 변화를 ‘미기후(微氣候)’라고 한다. 예를 하나 더 들어 보자. 눈이 마당에 수북이 쌓여 있다. 이때 온도계를 들고 나가서 공기 중과 눈 속의 온도를 쟀을 때 온도차가 날까? 당연히 눈 속의 온도가 높다. 이것도 하나의 미기후다. 마당에 떨어진 가랑잎 밑을 잰 것과 흙 속의 온도 또한 다르다. 한 건물에서도 앞마당과 뒤뜰의 온도는 천양지차가 난다. – 자연에는 생명의 어울림으로 가득하다 / 권오길 저 /청년사 에서
라운키에르의 생활형 [Raunkier's life form]
식물의 생활 모습을, 그 생활 환경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한 식물생활양식의 형태이다. 덴마크의 식물생태학자 C.라운키에르가 제시하였다.
생물은 같은 종(種)이라도 환경에 따라 별도의 생활형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완전히 계통적으로 다른 종이라도 유사한 생활형을 가지는 것이 있다. 생활형은 역사적으로 1806년 훔볼트가 식물을 분류한 뒤 여러 차례 제창되어 왔지만, 1907년 라운키에르가 세운 체계가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된다.
라운키에르의 생활형은 기후에 대한 식물의 반응에 기초를 두어 한기(寒期)·건기(乾期)가 포함되는 생활 불량계절에 견디어내는 눈, 즉 겨울눈의 높고 낮은 위치에 따라 고등식물을 30가지의 생활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식물의 생활형을 크게 지상식물, 지표식물, 반지중식물(半地中植物), 지중식물, 1년생식물로 나누었다. 그 중 불량계절을 경과하는 겨울눈이 토양 표면 2m 이상의 높이에 있는 모든 식물을 지상식물이라 하였다.
지상식물 가운데 겨울눈이 2∼8m에 있으면 소형 지상식물, 8m 이상이면 중형 지상식물, 25m 이상이면 대형 지상식물, 그리고 눈이 지표면상 25㎝∼2m에 있는 식물은 왜형 지상식물이라 하였다. 또 토양면에서 25㎝ 사이에 눈이 있는 것은 지표식물, 눈이 지표면에 접하여 있는 것을 반지중식물, 토양 속에 있는 지하경(地下莖), 괴경(塊莖), 구경(球莖) 등은 지중식물, 겨울눈이 종자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1년생식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이 식물을 겨울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상, 지표, 지중식물 등으로 체계를 세운 라운키에르의 생활형은 생태지리학에 새 지평(地平)을 열어 주었다.
[출처] 라운키에르의 생활형 [Raunkier's life form ] | 네이버 백과사전 ▲ (인도)고무나무 인도고무나무이지요. 고무나무도 대만고무나무, 떡갈잎고무나무, 벤자민고무나무, 스트리이트고무나무 등 여러종이 있지요. 온실에서, 가정집 거실에서 별 걱정없이 겨울나기를 하지요. ▲ 목련 겨울눈 회갈색의 긴 솜털로 덮여 있지요. 유난히 큰 겨울눈을 가진 목련과의 식물들은 겨울눈을 이해하기 가장 쉬운 녀석인 것 같습니다. ▲ 목련 겨울눈 ▲ 목련 겨울눈 ▲ 목련 겨울눈
▲ 모란 겨울눈
▲ 모란 겨울눈 ▲ 모란 봄이 왔을 때 나무가 새로운 잎을 내고 어린 가지를 키우고 꽃을 피우는 곳은 모두 겨울눈입니다. 나무에게 있어서 겨울눈은 아주 중요하지요. 풀은 눈을 만들지 않지요. 나무와 풀의 다른점이죠. ▲ 수양벚나무 겨울눈
▲ 회양목 겨울눈
▲ 회양목 겨울눈
▲ 회양목 ▲ 회양목 ▲ 회양목(도장나무)
▲ 진달래 겨울눈 ▲ 진달래 겨울눈 ▲ 진달래 겨울눈 ▲ 진달래 겨울눈 ▲ 진달래 겨울눈 진달래는 비늘잎으로 겨울눈을 보호하지요. 산철쭉은 끈끈한 점액으로 겨울눈을 보호하구요. ▲ 영산홍 겨울눈 ▲ 수양버들 겨울눈 ▲ 소나무 겨울눈 소나무의 잎은 2년 정도 달려있지요. 소나무는 상록침엽수, 동백(나무)는 상록활엽수.... ▲ 소나무 소나무 바늘잎이 아마도 2년이 되었나 봅니다. 상록수의 잎들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시들어 떨어지지요. 바늘잎은 넓은 잎에 비해 단면적이 적기 때문에 수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지요. 경상도 방언 중에 "갈비"란 말이 있지요. 소나무 밑에 떨어진 솔잎(낙엽)들을 "갈비"라 불렀지요. 우리 조상들은 늙어 떨어진 솔잎은 긁어다 땔감으로 사용하였구요. ▲ 소나무 겨울눈 ▲ 침엽수의 겨울나기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의 잎은 추운 겨울을 견디기 위해 '리놀렌산' 이라는 물질을 만든다. 리놀렌산은 두꺼운 겨울옷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 소나무 겨울눈
▲ 보리
▲ 보리 보리는 싹이 튼 채로 겨울을 나지요. 옛날에는 웃자랄 경우 냉해를 입을까봐 보리밟기를 해주기도 하였는데... 요즘은 보리, 벼를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지요. 학교 화단에 관상용 내지 교육용으로 심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벼 쌀나무?... 벼는 한해살이 식물로서 겨울눈이 없는 대신 가을에 씨를 남기고 죽지요. 해바라기, 봉선화, 코스모스 등도 상동이지요. ▲ 소나무 겨울눈 ▲ 백송(白松) 겨울눈
▲ 소나무 겨울눈
▲ 모과나무 겨울눈 ▲ 동백나무 겨울눈 ▲ 동백나무 겨울눈
▲ 동백나무 겨울눈 따뜻한 난대지방에서는 잎을 떨어뜨리고 휴먼할 필요성이 악하므로 겨울에 잎을 유지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 상록수 잎에는 기름이 많아서 날씨가 추워도 엽록소가 파괴되지 않아 겨울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지요. 그래서 단풍이 들거나 잎이 떨어지지 않는 답니다. ▲ 동백나무 겨울눈 ▲ 동백나무 겨울눈 ▲ 동백나무 매화, 동백, 대나무를 세한삼우라 하지요. ▲ 주목 겨울눈 ▲ 주목 겨울눈 ▲ 주목 겨울눈 ▲ 주목 ▲ 주목(나무) ▲ 산수유나무 겨울눈
▲ 산수유나무 겨울눈 ▲ 산수유나무 겨울눈
▲ 산수유나무 겨울눈 식물의 겨울눈은 무더운 여름철부터 만들기 시작하여 늦가을에 완성한다. 월동준비를 여름철부터 한다니 대단하네요. 감동입니다. ▲ 산수유나무 겨울눈
▲ 무궁화 겨울눈 ▲ 무궁화(나무) 겨울눈 ▲ 국화 국화, 옥잠화, 작약, 접시꽃 등 여려해살이 꽃들은 잎과 줄기는 말라 죽더라도 뿌리는 말라 죽지 않고 월동한 후 봄에 싹이 나와 성장하지요. ▲ 꽃사과나무 겨울눈 ▲ 꽃사과나무 겨울눈 ▲ 꽃사과나무 겨울눈 ▲ 꽃사과나무 겨울눈 ▲ 꽃사과나무 겨울눈 ▲ 꽃사과나무 겨울눈 ▲ 때죽나무 겨울눈 ▲때죽나무 겨울눈 ▲ 때죽나무 겨울눈 ▲ 벽오동(나무) 단풍 단풍과 낙엽은 겨울을 나기위한 식물의 생존전략이죠. 나뭇잎은 초록빛을 내는 엽록소가 파괴되어 없어지면 양분을 만들수 없기 때문에 잎을 떨어뜨려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주어야 되죠. 그래서 단풍을 만들고 낙엽이 우수수 떨어 지는 것이지요. 겨울엔 햇빛이 약해 광합성을 하기 어렵고 땅이 얼어붙어 물을 빨아들이기 어렵지요. 나무들이 겨울이 오기 전에 미리 잎을 떨어뜨리는 것도 수분 소모를 막기 위해서이지요.
▲ 라일락 겨울눈 ▲ 라일락 겨울눈 ▲ 라일락 겨울눈 ▲ 구기자나무 겨울눈 ▲ 구기자나무 겨울눈
▲ 박태기나무 겨울눈 ▲ 박태기나무 겨울눈 ▲ 박태기나무 겨울눈 ▲ 박태기나무 겨울눈 ▲ 박태기나무 겨울눈
▲ 명자나무 겨울눈
▲ 명자나무 겨울눈 ▲ 명자나무 겨울눈 ▲ 오리나무 키큰 녀석들은 겨울눈을 관찰하기가가 힘들지요.
▲ 낭아초 겨울눈
▲ 낭아초 겨울눈
▲ 고욤나무 겨울눈 ▲ 고욤나무 겨울눈 ▲ 감나무 겨울눈 ▲ 감나무 겨울눈 ▲ 배(나무) 겨울눈 ▲ 커피나무 겨울눈 ▲ 개나리 겨울눈 철모르고 피는 개나리꽃...
▲ 개나리 겨울눈
▲ 후박나무 겨울눈 ▲ 쥐똥나무 겨울눈 ▲ 쥐똥나무 겨울눈 한겨울의 매서운 추위에도 굽히지 않고 꿋꿋하게 버틴다고 해서 겨울눈을 저항아(抵抗芽)라고도 한다. ▲ 당매자나무 겨울눈 ▲ 당매자나무 겨울눈 ▲ 당매자나무 겨울눈 ▲ 은행나무 겨울눈 ▲ 은행나무 겨울눈 ▲ 은행나무 겨울눈 ▲ 은행나무 겨울눈 ▲ 은행나무 겨울눈 ▲ 박주가리 씨앗 박주가리, 민들레는 바람에 씨를 날려 퍼뜨리죠. ▲ 사데풀 씨앗 씨앗으로 겨울나기 나팔꽃은 줄기, 잎 등이 모두 말라 죽은 후 씨앗으로 겨울을 나지요. ▲ 나팔꽃 열매 ▲ 나팔꽃 씨앗 ▲ 자귀나무 겨울눈 ▲ 자귀나무 겨울눈 ▲ 아왜나무 겨울눈 ▲ 두릅나무 겨울눈 ▲ 두릅나무 겨울눈 ▲ 담쟁이덩굴 ▲ 화살나무 겨울눈 ▲ 화살나무 ▲ 화살나무 겨울눈 ▲ 화살나무 겨울눈 ▲ 화살나무 겨울눈 미사일 발사대 ???
▲ 화살나무 겨울눈
▲ 잣나무 겨울눈 ▲ 잣나무 겨울눈 ▲ 전나무 겨울눈 ▲ 산수국
▲ 메타세콰이어 겨울눈
▲ 메타세콰이어 겨울눈
▲ 오동나무 겨울눈 열매 모양의 솜털옷을 입고 있지요. 재미있게 생긴 녀석이죠.
▲ 오동나무 겨울눈(꽃눈)
▲ 오동나무 꽃 ▲ 구상나무 겨울눈 ▲ 구상나무 겨울눈
▲ 생강나무 겨울눈
▲ 졸참나무 참나무 가족 중에 잎이 가장 작은 녀석이 졸참나무지요. 겨울눈의 이미지로는 부족하네요... 단풍, 낙엽, 식물의 겨울나기의 의미로 올려봅니다. 참나무, 밤나무, 단풍나무 등에서는 잎이 떨어지지 않고 겨울눈을 덮어 따뜻하게 보호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지요.
▲ 떡갈나무 겨울눈 떡을 쌀 만큼 잎이 넓은 참나무 가족의 떡갈나무 ▲ 신갈나무 겨울 눈 ▲ 만병초 겨울눈
▲ 벚나무 겨울눈 ▲ 아까시(아카시아)나무 와~ 이럴수가... 넘 심했죠. 식물들은 엄동설한(嚴冬雪寒)의 서릿발에서도 말없이 각자의 노하우로 겨울나기를 하고 있습니다. 우린 식물의 살아가는 모습에서도 삶의 지혜를 배워고 좀더 외유내강(外柔內剛)해져야겠습니다. "내힘들다"를 거꾸로 하면 "다들힘내"입니다. 아무리 힘든 상황에 처해 있어도 마음이 통하는 사람 한 명만 찾는다면 길이 보일 것입니다. 힘이 되고 위로가 되어 주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감사와 긍정은 언제나 담 뒤에 숨어있다고 합니다. Everything will be all right. ▲ 서릿발 나무야 나무야 겨울 나무야... 나무들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순응하며 양지에서도 응달에서도 묵묵히 제자리를 지키며 겨울을 견디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식물의 겨울나기에서 우리들이 겨울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를 알게 됩니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을 배웁니다.
나무 줄기에 둘러 준 짚에 겨우내 해로운 벌레들이 모이면 이른 봄에 짚을 불에 태워 벌레를 없앤다. 추위에 약한 나무가 겨울을 잘 나도록 볏짚으로 외투를 입혀 주면 좋지요.
▶ 나비나 잠자리는 추운 겨울을 어떻게 보내나요? 나비나 나방은 번데기 속에서 겨울을 나고, 잠자리 애벌레는 물 속에서 겨울을 보내지요. 한편 무당벌레는 어른벌레 상태로 나뭇잎이나 바위 밑에서 겨울잠을 잔답니다. 동물들은 겨울잠(반달가슴곰, 박쥐, 고슴도치, 다람쥐, 곤충, 개구리, 뱀)을 자거나 털갈이(개, 고양이)로 추운 겨울에 적응하지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