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jesus_love 원문보기 글쓴이: 다니엘박
엑셀을 사용하면서 자주 접하게 되는 함수들을 총정리해 보았습니다.
함수의 간단한 설명과 함께 사용예제를 정리했습니다. 아래 정리한 함수 정도만 사용해도 엑셀을 이용한 업무는 거의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ㅇ YEAR 함수
- 설명 : 날짜에서 ‘연도’만 추출해 내는 함수
- 형식 : =YEAR(날짜 or “날짜서식”)
- 사용 예 : =YEAR(“2013-04-05”) → 2013
ㅇ MONTH 함수
- 설명 : 날짜에서 ‘월’만 추출해 내는 함수
- 형식 : =MONTH(날짜 or “날짜서식”)
- 사용 예 : =MONTH(“2013-04-05”) → 4
ㅇ DAY 함수
- 설명 : 날짜에서 ‘일’만 추출해 내는 함수
- 형식 : =MONTH(날짜 or “날짜서식”)
- 사용 예 : =DAY(“2013-04-05”) → 5
ㅇ HOUR 함수
- 설명 : 시간에서 ‘시’만 추출해 내는 함수
- 형식 : =HOUR(시간 or “시간서식”)
- 사용 예 : =HOUR(“04:05:06”) → 4
ㅇ MINUTE 함수
- 설명 : 시간에서 ‘분’만 추출해 내는 함수
- 형식 : =MINUTE(시간 or “시간서식”)
- 사용 예 : =MINUTE(“04:05:06”) → 5
ㅇ SECOND 함수
- 설명 : 시간에서 ‘초’만 추출해 내는 함수
- 형식 : =SECOND(시간 or “시간서식”)
- 사용 예 : =SECOND(“04:05:06”) → 6
ㅇ WEEKDAY 함수
- 설명 :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 번호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WEEKDAY(날짜 or “날짜서식”, 유형)
- 유형 1(생략) : 일요일→1, 월요일→2, 화요일→3, ... 토요일→7
- 유형 2 : 월요일→1, 화요일→2, ... 일요일→7
- 유형 3 : 월요일→0, 화요일→1, ... 일요일→6
- 사용 예 : =WEEKDAY(“2013-04-02”,1) → 3(화요일을 의미함)
ㅇ DAYS360 함수
- 설명 : 두 날짜 사이에 경과한 날짜수를 구하는 함수(1년은 360일 기준, 1개월은 30일 기준)
- 형식 : =DAYS360(시작날짜, 종료날짜, 계산방법)
- 계산방법 FALSE(생략) : U.S.(NASD)식
- 계산방법 TRUE : 유럽식
- 사용 예 : =DAYS360(“2013-01-01”,“2013-12-31”) → 360
ㅇ DATE 함수
- 설명 : 특정한 날짜를 표시하거나 계산하기 위한 함수
- 형식 : =DATE(년, 월, 일)
- 사용 예 : =DATE(2013,4,5) → 2013-04-05
ㅇ TIME 함수
- 설명 : 특정한 시간을 표시하거나 계산하기 위한 함수
- 형식 : =TIME(시, 분, 초)
- 사용 예 : =TIME(16:21:25) → 4:21 PM
ㅇ NOW 함수
- 설명 :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표시해 주는 함수(컴퓨터 시계 기준)
- 형식 : =NOW()
- 사용 예 : =NOW() → 2013-04-05 11:15 (현재 날짜 및 시간 표시)
ㅇ TODAY 함수
- 설명 : 현재의 날짜를 표시해 주는 함수(컴퓨터 시계 기준)
- 형식 : =TODAY()
- 사용 예 : =TODAY() → 2013-04-05 (현재 날짜)
ㅇ IF 함수
- 설명 : 특정 조건을 지정하여 해당 조건에 만족하면 ‘참’에 해당하는 값을 표시하며, 그렇지 않으면 ‘거짓’에 해당하는 값을 표시
- 형식 : =IF(조건, 참일 때 표시할 내용, 거짓일 때 표시할 내용)
- 사용 예 : =IF(A2>=60, “합격”, “불합격)
[링크]엑셀 IF함수, 다중IF함수, AND함수, OR함수 사용법
ㅇ 다중 IF 함수(중첩 IF 함수)
- 설명 : IF 함수의 조건이 2개 이상일 때 IF 함수를 여러 개 사용하여 ‘참’에 해당하는 값을 표시하며, 그렇지 않으면 ‘거짓’에 해당하는 값을 표시
- 형식 : =IF(조건1, 참일 때 표시할 내용, IF(조건2, 참일 때 표시할 내용, 거짓일 때 표시할 내용))
- 사용 예 : =IF(A2>=80,“우수”,IF(A2>=70,“보통”,“저조”))
- 값(A2)이 80 이상이면 ‘우수’, 71~79 이면 ‘보통’, 그 외는 ‘저조’
ㅇ NOT 함수
- 설명 : 조건식의 사용할 때 결과를 반대로 표시
- 형식 : =NOT(조건식)
- 사용 예 : =IF(NOT(A2>=80),“불합격”,“합격”)
- 값(A2)이 80 이상이면 합격, 그 외는 불합격
ㅇ AND 함수
- 설명 : 모든 조건을 만족하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에 해당하는 조건을 만들 때 사용하는 함수
- 형식 : =AND(조건1, 조건2, ... 조건30)
- 사용 예 : =IF(AND(A2>=40,B2>=40,C2>=40,D2>=60),“합격”,“불합격”)
- 1과목(A2)이 40점 이상이면서, 2과목(B2)이 40점 이상이면서, 3과목(C2)이 40점 이상이면서, 평균(D2)이 60점 이상이면 합격, 그 외는 불합격
ㅇ OR 함수
- 설명 : 한 개의 조건이라도 만족하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에 해당하는 조건을 만들 때 사용하는 함수
- 형식 : =OR(조건1, 조건2, 조건30)
- 사용 예 : =IF(OR(A2<40,B2<40,C2<40,D2<60),“불합격”,“합격”)
- 1과목(A2)이 40점 미만이거나, 2과목(B2)이 40점 미만이거나, 3과목(C2)이 40점 미만이거나, 평균(D2)이 60점 미만이면 불합격, 그 외는 합격
ㅇ TRUE 함수
- 설명 : 논리값을 TRUE로 표시
- 형식 : =TRUE()
- 사용 예 : =IF(A2>3,TRUE,FALSE) → TRUE(A2의 값이 3보다 클 경우)
ㅇ FALSE 함수
- 설명 : 논리값을 FALSE로 표시
- 형식 : =FALSE()
- 사용 예 : =IF(A2>3,TRUE,FALSE) → FALSE(A2의 값이 3보다 크지 않은 경우)
ㅇ LEFT 함수
- 설명 : 문자열의 왼쪽에서 특정수만큼의 문자를 표시해 주는 함수
- 형식 : =LEFT(문자열, 추출할 문자의 수)
- 사용 예 : =LEFT(“메모리스트의 상상노트”,5) → 메모리스트
ㅇ RIGHT 함수
- 설명 : 문자열의 오른쪽에서 특정수만큼의 문자를 표시해 주는 함수
- 형식 : =RIGHT(문자열, 추출할 문자의 수)
- 사용 예 : =RIGHT(“메모리스트의 상상노트”,4) → 상상노트
ㅇ MID 함수
- 설명 :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수만큼의 문자를 표시해 주는 함수
- 형식 : =MID(문자열, 추출할 위치, 추출할 문자의 수)
- 사용 예 : =MID(“메모리스트의 상상노트”,3,4) → 리스트의
ㅇ LOWER 함수
- 설명 : 영문자열 중 대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변환시키는 함수
- 형식 : =LOWER(문자열)
- 사용 예 : =LOWER(“MEMORIST”) → memorist
ㅇ UPPER 함수
- 설명 : 영문자열 중 소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시키는 함수
- 형식 : =UPPER(문자열)
- 사용 예 : =UPPER(“memorist”) → MEMORIST
ㅇ PROPER 함수
- 설명 : 영문자열 중 첫 문자만 대문자로 변환시키는 함수
- 형식 : =PROPER(문자열)
- 사용 예 : =PROPER(“dream note of memorist”) → Dream Note Of Memorist
ㅇ TRIM 함수
- 설명 : 단어 사이의 공백을 한 칸만 남기고 모두 삭제하는 함수
- 형식 : =TRIM(문자열)
- 사용 예 : =TRIM(“dream note of memorist”) → dream note of memorist
ㅇ RANK 함수
- 설명 : 수의 목록 중 어떤 수의 순위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RANK(순위를 구하려는 수, 데이터 범위, 순위 결정 방법)
- 순위 결정 방법 0(생략) : 내림차순
- 순위 결정 방법 0 이 아닌 값(1, 2, 3 ...) : 오름차순
- 사용 예 : =RANK(A2,$A$2:$A$10) → 순위(숫자)
ㅇ COUNT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에서 숫자(날짜 포함)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COUNT(셀 범위)
- 사용 예 : =COUNT(A2:A10) → 5(숫자 데이터 개수)
ㅇ COUNTA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에서 공백을 제외한 모든 셀(문자, 숫자, 논리값 등)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COUNTA(셀 범위)
- 사용 예 : 사용 예 : =COUNTA(A2:A10) → 5(공백을 제외한 모든 셀 데이터 개수)
ㅇ COUNTBLANK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에서 공백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COUNTBLANK(셀 범위)
- 사용 예 : =COUNTBLANK(A2:A10) → 5(공백 셀의 개수)
ㅇ COUNTIF 함수
- 설명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COUNTIF(조건이 들어있는 셀 범위, 조건)
- 사용 예 : =COUNTIF(A2:A10, “합격”) → 5(A2:A10 셀에서 “합격”이라고 입력된 셀의 개수)
ㅇ SUMIF 함수
- 설명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SUMIF(조건이 들어있는 셀 범위, 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
- 사용 예 : =SUMIF(A2:A10, “합격”, B2:B10) → 5([A2:A10] 영역 중 “합격”이라는 내용이 있는 셀의 [B2:B10] 합)
ㅇ SUM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SUM(셀 범위)
- 사용 예 : =SUM(A2:A10) → 5([A2:A10]셀의 합계)
ㅇ AVERAGE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의 평균(숫자)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AVERAGE(셀 범위)
- 사용 예 : =AVERAGE(A2:A10) → 5([A2:A10]셀의 평균)
ㅇ AVERAGEA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의 평균(숫자, 문자, 논리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AVERAGEA(셀 범위)
- 사용 예 : =AVERAGEA(A2:A10) → 5([A2:A10]셀의 평균(숫자, 문자, 논리값))
ㅇ MAX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의 최대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MAX(셀 범위)
- 사용 예 : =MAX(A2:A10) → 5([A2:A10]셀의 최대값)
ㅇ MIN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의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MIN(셀 범위)
- 사용 예 : =MIN(A2:A10) → 5([A2:A10]셀의 최소값)
ㅇ MEDIAN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의 중앙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MEDIAN(셀 범위)
- 사용 예 : =MEDIAN(A2:A10) → 5([A2:A10]셀의 중앙값)
ㅇ LARGE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에서 특정 번째로 큰 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LARGE(셀 범위, 숫자)
- 사용 예 : =LARGE(A2:A10,2) → 5(2번째로 큰 값)
ㅇ SMALL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에서 특정 번째로 작은 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SMALL(셀 범위, 숫자)
- 사용 예 : =SMALL(A2:A10,2) → 5(2번째로 작은 값)
ㅇ MODE 함수
- 설명 : 지정된 셀 범위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빈도수가 높은) 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MODE(셀 범위)
- 사용 예 : =MODE(A2:A10) → 5(빈도수가 가장 높은 값)
ㅇ VAR 함수
- 설명 : 표본 분산을 구해주는 함수
- 형식 : =VAR(셀 범위)
- 사용 예 : =VAR(A2:A10) → 1.4(표본 분산)
ㅇ STDEV 함수
- 설명 : 표본 표준편차를 구해주는 함수
- 형식 : =STDEV(셀 범위)
- 사용 예 : =STDEV(A2:A10) → 1.2(표본 표준편차)
ㅇ ROUND 함수
- 설명 : 지정한 자릿수로 반올림하는 함수
- 형식 : =ROUND(반올림할 수, 반올림할 자릿수)
- 사용 예 :
=ROUND(55555.5555,3) → 55555.556
=ROUND(55555.5555,2) → 55555.56
=ROUND(55555.5555,1) → 55555.6
=ROUND(55555.5555,0) → 55556
=ROUND(55555.5555,-1) → 55560
=ROUND(55555.5555,-2) → 55600
=ROUND(55555.5555,-3) → 56000
ㅇ ROUNDUP 함수
- 설명 : 지정한 자릿수로 올림(0에서 먼 방향으로 올림)하는 함수
- 형식 : =ROUNDUP(올림할 수, 올림할 자릿수)
- 사용 예 :
=ROUNDUP(44444.4444,3) → 44444.445
=ROUNDUP(44444.4444,2) → 44444.45
=ROUNDUP(44444.4444,1) → 44444.5
=ROUNDUP(44444.4444,0) → 44445
=ROUNDUP(44444.4444,-1) → 44450
=ROUNDUP(44444.4444,-2) → 44500
=ROUNDUP(44444.4444,-3) → 45000
ㅇ ROUNDDOWN 함수
- 설명 : 지정한 자릿수로 내림(0에 가까운 방향으로 내림)하는 함수
- 형식 : =ROUNDDOWN(내림할 수, 내림할 자릿수)
- 사용 예 :
=ROUNDDOWN(66666.6666,3) → 66666.666
=ROUNDDOWN(66666.6666,2) → 66666.66
=ROUNDDOWN(66666.6666,1) → 66666.6
=ROUNDDOWN(66666.6666,0) → 66666
=ROUNDDOWN(66666.6666,-1) → 66660
=ROUNDDOWN(66666.6666,-2) → 66600
=ROUNDDOWN(66666.6666,-3) → 66000
ㅇ INT 함수
- 설명 : 소숫점을 버리는 함수
- 형식 : =INT(값)
- 사용 예 :
=INT(12345.6789) → 12345
=INT((12345.6789/1000)+0.5)*1000 → 12000
=INT((12345.6789/100)+0.5)*100 → 12300
=INT((12345.6789/10)+0.5)*10 → 12350
=INT(12345.6789+0.5) → 12346
=INT((12345.6789*10)+0.5)/10 → 12345.7
=INT((12345.6789*100)+0.5)/100 → 12345.68
=INT((12345.6789*1000)+0.5)/1000 → 12345.679
ㅇ TRUNC 함수
- 설명 : 지정한 자릿수만큼 버림하는 함수
- 형식 : =TRUNC(값, 버림할 자릿수)
- 사용 예 :
=TRUNC(12345.6789) → 12345
=TRUNC(12345.6789,3) → 12345.678
=TRUNC(12345.6789,2) → 12345.67
=TRUNC(12345.6789,1) → 12345.6
=TRUNC(12345.6789,0) → 12345
=TRUNC(12345.6789,-1) → 12340
=TRUNC(12345.6789,-2) → 12300
=TRUNC(12345.6789,-3) → 12000
ㅇ MOD 함수
ㅇ SQRT 함수
ㅇ ABS 함수
ㅇ POWER 함수
ㅇ FACT 함수
ㅇ EXP 함수
ㅇ PI 함수
ㅇ RAND 함수
ㅇ VLOOKUP 함수
- 설명 : 특정 값을 찾아 지정한 열에서 같은 행에 있는 값을 표시하는 함수
- 형식 : =VLOOKUP(찾을 값, 셀 범위, 열 번호, 찾을 방법)
- 찾을 방법 TRUE(생략 또는 1) : 정확한 값이 없을 경우 비슷한 값(근사치)을 찾음
- 찾을 방법 FALSE(0) :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 표시
- 사용 예 : =VLOOKUP(A2, $D$2:$G$10, 2, TRUE)
ㅇ HLOOKUP 함수
- 설명 : 특정 값을 찾아 지정한 행에서 같은 열에 있는 값을 표시하는 함수
- 형식 : =HLOOKUP(찾을 값, 셀 범위, 행 번호, 찾을 방법)
- 찾을 방법 TRUE(생략 또는 1) : 정확한 값이 없을 경우 비슷한 값(근사치)을 찾음
- 찾을 방법 FALSE(0) :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 표시
- 사용 예 : =HLOOKUP(A2, $D$2:$G$10, 2, 0)
ㅇ INDEX 함수
- 설명 : 셀 범위에서 행 번호와 열 번호가 교차하는 값을 구해주는 함수
- 형식 : =INDEX(셀 범위, 행 번호, 열 번호)
- 사용 예 : =INDEX(A1:C5,2,3) → 5(지정된 범위에서 2번째 행, 3번째 열의 값)
ㅇ CHOOSE 함수
- 설명 : 인수 목록에서 번호에 해당하는 값을 찾아주는 함수
- 형식 : =CHOOSE(번호, 값1, 값2, ... 값29)
- 사용 예 : =CHOOSE(MID(A2,8,1),“남”,“여”,“남”,“여”) → 주민등록번호(A2) 문자열의 8번째 값이 1이나 3이면 “남”, 2나 4이면 “여”를 표시
ㅇ DSUM 함수
- 설명 :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들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DSUM(데이터베이스, 필드 제목, 조건범위
- 사용 예 : =DSUM(A1:E10,D1,G1:G2) → 데이터베이스(A1:E10)에서 부서가 ‘기획부’(G1:G2)인 사원의 급여(D열)의 합계
ㅇ DAVERAGE 함수
- 설명 :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DAVERAGE(데이터베이스, 필드 제목, 조건범위)
- 사용 예 : =DAVERAGE(A1:E10,D1,G1:G2) → 데이터베이스(A1:E10)에서 부서가 ‘기획부’(G1:G2)인 사원의 급여(D열)의 평균
ㅇ DCOUNT 함수
- 설명 :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들의 셀 개수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DCOUNT(데이터베이스, 필드 제목, 조건범위)
- 사용 예 : =DCOUNT(A1:E10,D1,G1:G2) → 데이터베이스(A1:E10)에서 부서가 ‘기획부’(G1:G2)인 사원의 급여(D열)의 셀 개수
ㅇ DCOUNTA 함수
- 설명 :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들의 공백을 제외한 셀 개수를 구하는 함수
- 형식 : =DCOUNTA(데이터베이스, 필드 제목, 조건범위)
- 사용 예 : =DCOUNTA(A1:E10,D1,G1:G2) → 데이터베이스(A1:E10)에서 부서가 ‘기획부’(G1:G2)인 사원의 급여(D열)의 공백을 제외한 셀 개수
ㅇ DMAX 함수
- 설명 :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들의 최대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DMAX(데이터베이스, 필드 제목, 조건범위)
- 사용 예 : =DMAX(A1:E10,D1,G1:G2) → 데이터베이스(A1:E10)에서 부서가 ‘기획부’(G1:G2)인 사원의 급여(D열)의 최대값
ㅇ DMIN 함수
- 설명 :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들의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
- 형식 : =DMIN(데이터베이스, 필드 제목, 조건범위)
- 사용 예 : =DMIN(A1:E10,D1,G1:G2) → 데이터베이스(A1:E10)에서 부서가 ‘기획부’(G1:G2)인 사원의 급여(D열)의 최소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