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등장한 사회문제중의 하나가 장기요양 및 보호가 필요한 노인의 증가이다.
하지만 산업화 및 핵가족화 등으로 가족보호기능의 약화로 노인부양문제는 사회문제로 인식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되었다. 2008년 7월1일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요양시설의 운영전반에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다. 가장 큰 변화는 시설이용대상자와 시설운영 재정조달방식의 변화로 생각되어진다.
과거 노인요양시설은 선택적복지로 기초생활수급자나 저소득층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이제는 보편적인 복지로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재원조달방식도 과거 국고보조금지급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수가청구와 이용자 자부담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변화되어 노인요양시설이 다수의 고객유치가 중요한 과제가 되어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와 선호도 분석과 파악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을 찾을 때 어떠한 욕구와 선호도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여 시설운영주체들에게 수요자가 선호하는 시설의 공급방향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여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기초자료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대상자는 강원도 강릉시에 거주하는 40대 이상 ~ 70대 미만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2010년10월초 25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227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15부를 기초자료로 “SPSS18”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이 어떠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 인지를 알아보았는데 치매인 경우 45%,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33.9%로 시설이용인식은 비교적 올바르게 인식을 하고 있었다.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관심도는 74%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노인요양시설의 직 ․ 간접 이용경험은 무려 70%정도였고 경험자의 이용만족도는 86%이상이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욕구에서는 꼭 이용함 20.9%, 거의 이용할 것임 46.4%, 50%정도 이용 가능함이 28.6%로 90%이상의 매우 높은 이용욕구를 가지고 있고 이용사유에서는 전문적인 요양을 위해서 54.1%, 가족에게 부담을 주기 싫어서가 43.9%로 나타났다. 노인요양시설 불이용 사유에서는 자식의 체면과 경제적인 부담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요양시설의 선호도에서 먼저 위치와 접근성의 선호부터 살펴보면 1시간이내의 방문이 용이한 경치․공기가 좋은 지역과 고향 등 친숙한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운영주체 및 운영자 선호에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선호가 59.7% 사회복지법인 32.1%선호되었고 운영자는 사회복지사76% 의료인 12.8%순으로 나타났다.
시설규모 선호는 입소정원으로 구분 지어 조사하였는데 30인 이상 100인 미만 선호가 53.1%, 30인 미만 36.7%, 10명 미만이 9.2%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 시설이용비용, 시설이용 접근성, 요양시설의 규모, 설치운영기관의 공신력, 여가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 의료 ․ 재활서비스수준, 내부 환경과 분위기, 주변경관, 종교생활관 항목 5점의 리커드척도로 조사해보았는데 모든 항목에서 평균이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재활서비스 수준, 설치운영기관의 공신력, 내부 환경과 분위기를 가장 고려정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선호에서 일상생활서비스, 건강증진서비스, 간호서비스, 종사자관련선호로 조사하였는데 일상생활서비스 항목에서는 대소변 및 목욕수발을 가장 선호하였고, 건강증진서비스에서는 영양관리와 재활운동을 선호하였고, 간호서비스에서는 응급간호와 투약주사관리를 선호하였고, 종사자와 관련되어서는 전문성보다는 친절성을 가장 선호하였다.
- 연구저자 이미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