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제 |
*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국어의 학문적 체계 ( 6학년)이름 홍 민주 |
서론 |
이번에 세종대왕께서 만든 훈민정음과 그와 같이 우리말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알고 있을 국어에 대한 강의를 듣게 되었다. 훈민정음의 창제원리는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더욱 깊고 정확하게 알아내기를 위해서 지금부터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더불어 국어의 학문적 체계를 논술하여 보겠다. |
본론 |
훈민정음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이름이자 항상 사용하는 글이다. 국어의 기본적이자 기본인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에는 국민들을 사랑하는 세종대왕의 깊은 마음이 들어가 있다. 훈민정음이라는 말은 백성을 가르친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우리나라 글도 없기도 해서 양반만 글씨를 쓰게 되어 있었다. 그러면 그럴수록 백성들은 양반이 글을 쓰면 대단한 것이라도 되는 것처럼 보이게 되어서 더더욱 양반을 따르게 되었었다. 대부분의 양반이 이러하였기 때문에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만드셨을 때에 양반들의 거센 반대가 있었었을 것이다. 하지만 세종대왕께서는 조선을 창조한 6대 조상의 업적을 담은 ‘용비어천가’를 한글로 지으셨기 때문에 훈민정음을 반대한다면 세종대왕의 조상도 반대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왕이 최고였던 그 당시에는 왕을 반대하면 역적이라는 큰 죄로 몰리기 때문에 양반들도 결국 훈민정음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훈민정음은 없어진 글자들이 조금 있어서 28자에서 24자로 줄었는데 24자 중에서 발음을 하지 못하는 글자 또는 소리가 하나도 없는 위대한 글자들이 되었다. 훈민정음은 자음과 모음으로 만들었는데 자음은 닿소리라 하고 모음은 홀소리라고 한다. 닿소리란 모음이 닿아야만 자음에서 소리가 나는 소리이고 홀소리는 말 그대로 홀로서도 소리가 나는 소리이다. 모음이 소리가 혼자서도 나는 이유는 ㅇ에는 음가가 없는데 모음에는 항상 ㅇ이 붙어있기 때문이다. 이 훈민정음까지도 모두 다 포함한 것이 국어인데 국어에는 크게 훈민정음 국문학 국어학이 국문학이란 글자의 의미를 해석해서 가치를 두는 것이다. 즉 훈민정음에서 탄생을 했다. 또한 국어학이라는 것은 언어화 하는 것 즉 글자와 말과의 관계 소리의 관계를 말한다. 이것과 같이 비교해서 전체의 틀을 만들어 내는 것을 국어의 체계를 뜻한다. |
결론 |
저번에 배우곤 정말 많은 것을 알게 되었던 자음접변의 원리와 모음조화의 원리처럼 훈민정음의 창제원리 그리고 국어의 학문적체계도 나에게 많은 것을 알 수가 있도록 하였다. 국어는 지금도 우리가 사용 하고 있는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는 일상이다. 이런 국어에 대해서 우리는 좀더 친숙해질 수가 있도록 노력을 해야만 할 것 같다. |
첫댓글 훈민정음에 대해 간단하게 써서 알아듣기가 쉬웠어.
훈민정음에 대해 간단하고 자세하게 써서 이해하기가 좋았어
그리고 국문학과 국어학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잘 썼고
국어의 학문적 체계에 대해서도 잘 설명했어
훈민정음이 무엇인지 잘 알것 같다..
엄청 길게~! 그리고 엄청 잘썼다
훈민정음의 뜻을 잘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