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속의 섬, 그리고 그안의 또다른 섬 "비양도"
제주도에는 두 개의 비양도가 있다.
제주의 비양도라 하면 한림읍 협재 해수욕장 건너 제주도의 8개 유인도중 6번째로 큰 섬을 가리킨다.
그러나 섬 속의 섬 우도는 제주에서 가장 큰 섬으로 그 속에 또 다른 작은 섬이 있다.
작지만 많은 이야기를 간직한 섬이 바로 비양도 이다.
제주에는 '영등할망'이라 불리는 "바람의 신"이 있다.
이 신은 음력 1월경 제주의 서쪽 해안으로 들어와 음력 2월이면 이곳 우도의 비양도를 거쳐 육지로 떠나게 된다.
지금은 행사가 사라졌지만, 음력 2월 보름이 되면 이곳 비양도에 제주지역의 심방(무속인)들이 모여 '영등환송회'를 거창하게 올리는 장소이기도 했다.
이곳 비양도는 12시간은 육지가 되었다가 12시간은 섬으로 변하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좁지만 승용차가 진입하는데 무리가 없는 도로가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펜션도 1개동이 있다.
그러나 지금도 파도가 심할 때는 매우 위함할 것 같았다.
거친 피도가 도로를 덥치는데 웬만한 힘으로 파도를 막아내기는 어려울 것 같아 보였다.

비양도 입구에 조가비로 탑을 쌓아두었다.

비양도로 들어가는 길목...바다를 메워 도로를 만들었다.
안내지도에는 진입금지 표시가 있으나 현장에서 보니 모두 출입하고 있다.
멀리 보이는 주택이 유일한 펜션이다.

아낙네가 파도로 밀려 온 다시마를 걷어 말리는 작업중이다.
돈, 돈, 돈, 이다.

비양도 길을 지나 뒤돌아 보았다. 파도와 구름사이 노란 길이 조화롭다.
거센 파도에 밀려든 다시마가 도로를 덥고 있다.

바닷가에 올레꾼들이 모여 담소를 나누고 있다.

비양도....펼쳐진 초원. 점점이 보이는 것은 들꽃이다.

파도가 부서지는 비양도 해변

비양도에서 바라 본 우도 등대

비양도 등대

비양도 등대를 배경으로

해변 길을 돌아 다시 돌아 본 비양도 초원

난파선.
파도소리, 바람소리만 들릴뿐 적막하다.
한폭의 그림이다. 스케치 하고픈 충동이 일었다.

비양도를 돌아나와 바라 본 모습이다.


세계 모형범선 전시관과 그네. 올레꾼들이 잠시 쉬며 즐겁기만 하다

우도 등대와 식당가

범선 전시관앞에서 우도등대 전경을 보았다. 거친 파도가 부서진다.
아침 배편 시간에 맞추어 서두르다 보니 아침에 운전하며 빵한개 먹은게 전부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이곳에서 점심을 먹고 기운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