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스마트폰을 사용해 온 30대 직장인 김모씨는 얼마 전 요금 폭탄을 맞고 깜짝 놀랐다. 통화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갑자기 수십달러가 넘는 요금이 추가로 부과된 것이다.
처음엔 ‘혹시 유료 문자메시지를 많이 주고 받았나’ 싶었지만 고지서를 확인한 후에야 자신이 요청한 적도 없는 서비스에 가입돼 있음을 알게 됐다. 매달 휴대전화 요금을 크레딧 카드로 자동 납부하는데다 고지서 역시 종이 대신 이메일로만 수신해 뒤늦게야 이같은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김씨에게 추가된 서비스는 ‘환경 경보’와 ‘타로 카드 경보’ 등으로 각각의 요금은 9.99달러였다.
김씨는 “크레딧 카드 사용 내역서에 금액이 꽤 큰 생소한 지출이 있어 무엇인지 한참 생각했다”면서 “인터넷에 들어가 통신사 요금 내역을 본 후에야 ’이게 뭔가’ 싶어 통신사에 직접 확인 전화를 했다”고 말했다.
통신사측에서는 “인터넷 광고를 클릭하거나 문자 메시지에 답장을 했을 때 등 자동으로 서비스에 가입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며 “원치 않으면 바로 해지해주겠다”고 답변했다.
통신사에 따르면 김씨 처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부과 서비스에 가입해 다달이 돈을 내는 사람들이 상당수다. 특히 고지서를 꼼꼼히 살피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많다는 것.
김씨는 “앞으로는 종이 고지서를 우편으로 받아보기로 했다”며 “아무리 많아도 고지서는 꼭 항목별로 확인하는 습관을 기를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런가 하면 각종 스팸 문자로 골머리를 앓는 이용자도 늘고 있다.
40대 공무원인 또 다른 김모씨는 심심할만 하면 울려대는 스팸 문자 탓에 짜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언젠가 인터넷상에서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경품으로 아이패드를 준다는 광고를 보고 참가했다가 그 때부터 스팸 문자가 몰려와 후회만 할 뿐이다. 문자 내용은 ‘융자금을 낮춰주겠다’, ‘월마트 상품권에 당첨됐다’, ‘설문조사를 하면 아이폰 기계를 무료로 준다’ 등 다양하다.
미국은 문자 메시지 수신시에도 송신과 마찬가지로 건당 평균 50센트를 내야 하기 때문에 원치않는 문자는 불청객과 마찬가지다. 일정 금액을 내고 문자 100~200개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정액제가 아니라면 경제적으로 부담되는 것이 사실이다.
문자 몇개만 받아도 금새 몇 달러의 요금이 추가로 부과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친구나 지인 등 외에 휴대전화 번호 노출로 각종 광고 문자에 시달리는 경우가 김씨 외에도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작년 한해 동안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받은 스팸 문자수는 무려 45억건에 이른다. 이는 지는 2009년 22억건에서 두배 이상 늘어난 숫자다.
연방통신거래위원회 관계자는 ”원치않는 문자 메시지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며 “그러나 일일이 막기 힘들어 소비자들이 적극적으로 스팸 문자를 신고하는게 가장 좋은 방지법”이라고 설명했다.
스팸 문자는 ‘7726(SPAM)’번으로 전달하면 신고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스팸 문자가 올 경우 확인하지 말고 바로 지울 것을 당부했다.
‘메시지를 더 받는 것을 원치 않으면 ‘NO’ 또는 ‘STOP’을 보내라’는 경우에도 아예 답장을 하지 않는 게 좋다. 실제로는 문자 송신을 그치게 만드는게 아니라 이를 통해 자신의 번호가 실제 사용되고 있음을 노출시키거나 혹은 서비스에 자동으로 가입시키는 빌미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유승림 기자
첫댓글 중앙님도 받아보세요... 모든 자격증에 대한 자료를 무료로 받을수 있네요..
60가지가 넘는 자격증 무료자료받기
제 아이디를 클릭하시어 제 블로그로 들어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