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약물요법
항생제 예민검사를 하여 잘 듣는 항생제를 선택한다.
2. 처치
1) 흉막천자법(thoracentesis ; needle aspiration ; pleural tapping)
: 진단 목적과 치료 방법으로 쓴다. 대개, 농흉의 초기인 삼출성 농흉일 때가 적합하다. 그 이후는 선택된 소수의 환자에서만 가능하고, 흉막천자만으로 고름을 빼내기가 어럽다고 판단뢰면 곧장 흉강삼판술을 실시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조기 판단이 필요하다.
2) 폐쇄성 흉강삽관술(closed thoracotomy)
: 이의 적응증은 흉막천자로 농이 농축하여 배농이 불충분할 때 실시한다. 주로 농기흉(pyopneumothrax)과 기관지 흉막루가 형성된 농흉, 상당한 섬유막이 형성된 농흉, 포도상구균 폐렴예 병발 또는 속발한 급성 농흉 어린이 환자에게 실시한다. 삽관 부위는 흉부 X선 사진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판단하며, 흔히 중앙이나 후액와선(posterior axillary line)상에서 농흉강의 최하단에 삽관한다. 술법은 보통 지혈겸자법(hemostatic forceps)과 트로카(trocar)법이 있다. 그리고 흉관(chest tube)을 넣고 워터실병(water seal bottle)을 연결한 뒤 보통 -10~16cmH2O의 음압을 유지한다.
3) 개방성 흉강삽관술(open thoractomy ; rib resection thoracotomy)
: 늑골절제 흉강삽관술이라고도 한다. 이는 흉막천자·폐쇄성 흉강삽고나술로도 배농이 충분하지 않은 농흉에서 실시한다. 또는 다발피포성 농흉(multiple encapsulated empyema) ·혈액응고(blood clotting)·피브린(fibrin)응고·농 응고물, 드물게는 늑간이 좁아 흉관이 늑간신경을 압박하여 늑간신경통이 발생한 농흉에 실시한다. 이의 장점은 충분한 크기의 흉관을 적당한 위치에 넣을 수 있고, 농흉강 안의 병리를 육안으로 자세히 관찰할 수 있으며, 흉관배농을 방해하는 응고물질을 깨끗이 씻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4) 기관지 흉막루를 동반한 농흉 (empyema associated with bronchopleural fistula) :
이는 특수한경우로 매우 주의해야 한다. 즉,기관지 흉막루를 통해 농(고름)이 양쪽 기관지계로 계속 유입되어 기침이 잦고 가래침이 계속 유입되어 기침이 잦고, 가래침이 계속 나오며 폐조직까지도 손상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2차 감염이 유발되기도 한다. 치료면에서도 농의 배출과 폐의 팽창이 잘 안되어 적극적인 배농법과 조기에 폐박피술을 실시해야 할 경우가 있다.
5) 폐박피술(lung decortication)
: 주로 만성 농흉에 실시한다. 흉막표면을 덮어 폐를 압축시키고 흉벽·횡격막을 고정시켜 농흉강을 형성하는, 두껍고 단단한 섬유화 기질막(peel)을 박리제거한다. 농흉의 농양을 제거하고 폐를 부풀리고, 동시에 고정되어 있는 흉벽·횡격막을 풀어 주어 다시 호흡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는 폐호흡 기능을 정상으로, 또는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키는 데 목적이 있는 우수한 수술치료법이다. 그러나 농흉의 염증병변이 활성적이면 항새제의 전신투여와 항생제를 섞은 생리적 식염수를 흉관에 연결한 Y관을 통해 계속 주입하여 농흉강을 씻어 낸 뒤 폐박피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
6) 흉곽성형술(thoracoplasty)
: 농흉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흉벽늑골을 골막아래쪽으로 여러 개 절재하고, 농흉강 외부흉벽을 농흉강 안으로 함몰시켜 농흉강을 폐쇄시키는 수술법이다.예전에 많이 실시하였는데, 심한 흉관 기형을 남기게 되고, 늑간신경통 등을 유발되므로 현재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 가장 이상적이 치료 방법은 일단 농흉으로 진단되면 우선 삼출액을 뽑아 균의 종류를 알아낸 다음, 이 균에 가장 잘 듣는 항생제를 사용하면서 폐쇄성 흉강삽관술과 폐피박술을 실시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