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라면의 기적'…배고파 먹던 라면이 한국 배불렸다
'꿀꿀이죽 충격'서 시작된 K라면의 기적…무서운 인기에 이런 트집까지© MoneyToday 해외에서 K라면의 인기가 뜨겁다.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올해도 고속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18일 농식품수출정보(KATI)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수출액은 7073만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34.2% 증가했다. 1~2월 누적 금액은 1억3224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9.8% 늘었다. 한국 전체 수출이 5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 비상 상황이란 점을 감안하면 효자 상품이다. 라면의 지난해 수출액은 사상 최대치인 1조원에 육박한다. 관세청 수출입실적 기준 지난해 라면수출액은 전년대비 13.5% 증가한 7억6541만달러(1300원 기준, 약 1조원)를 기록했다. 5년전 3억8100만달러에서 2배 이상 성장했다. 코로나19(COVID-19)로 간편식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난 점은 라면산업 성장에 큰 동력이 됐다. 여기에 영화 '기생충'과 '오징어게임', BTS 등 한류문화 확산과 '파이어 누들 챌린지'의 유행 등은 해외시장에서 한국 라면에 날개를 달아줬다. 2019년 4억6699만달러였던 국내 수출액이 2020년 6억357만달러로 급등한 이후 줄곧 고공행진을 하는 배경이다. 해외 현지 공장에서 생산되는 라면은 수출에 잡히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외에서 팔리는 라면은 연간 2조원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해외공장 4곳을 가진 농심은 북미에서 매출 4500억원, 중국에서 2000억원을 기록했고, 러시아에 공장을 운영하는 팔도는 3000억원을 현지에서 판매했다.
'꿀꿀이죽 충격'서 시작된 K라면의 기적…무서운 인기에 이런 트집까지© MoneyToday
■ 라면 탄생 6년만에 해외 첫 발
인스턴트 라면은 대만계 일본인인 안도 모모후쿠가 개발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전부터 라면 개발의 시도는 꾸준했지만 그가 1958년 내놓은 '치킨라면'이 면을 튀긴 후 건조시킨 현대의 라면과 가장 유사하다. 이 라면을 내놓은 닛신식품(일정식품)은 이후 일본 최대 식품기업으로 성장했다. 국내에서 처음 생산한 라면은 1963년 9월 출시된 삼양라면이다. 기업가인 전중윤씨가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박정희 정권에 5만달러를 빌려 일본 묘조식품(명성식품)에서 제조설비를 수입해 생산한 것이 라면사업의 시작이다. 일본에서 기술을 가져온 라면이지만 수출은 비교적 빨랐다. 1969년 베트남에 150만달러를 수출한게 처음이다. 월남 파병 군인들에게 라면만큼 적절한 보급식량이 없었던 것도 영향을 미쳤다. 라면 종주국 일본에도 소량(2만달러)이지만 수출을 시작했다. 후발주자인 농심(당시 롯데공업)도 1971년부터 미국 LA지역에 교포를 대상으로 라면을 수출했다. 1984년 삼양식품에 이어 1988년 농심도 수출 1000만달러를 넘어섰다.
해외 라면공장이 처음 만들어진 곳은 의외로 브라질이다. 1972년 교민들이 설립해 운영하다 경영난에 빠지자 정부가 나서 삼양식품의 인수를 종용했다. 하지만 43만 달러의 투자에도 경영정상화가 어렵자 삼양식품은 3년만에 지분을 매각하고 철수했다. 직접 지은 첫 해외공장은 1984년 미국 LA에 지은 삼양식품 공장이다. 당시 흔치않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농심은 1998년 중국 칭다오를 시작으로 2002년까지 모두 3개의 공장을 짓고 중국시장을 공략했다. 러시아에서 용기면 도시락으로 성공을 거둔 팔도는 2002년 현지법인을 세우고 공장도 지었다.
'꿀꿀이죽 충격'서 시작된 K라면의 기적…무서운 인기에 이런 트집까지© MoneyToday
■ 135개국 수출...中美日 3강속 필리핀·네덜란드 급상승
2000년대 들어 국내 라면기업의 수출확대전략이 본격화되면서 K라면의 영토는 지속해서 넓어졌다. 현재 1위 라면기업 농심이 약 100여개국, 삼양식품이 90여국에 수출 중이다. 전세계 135개국에서 한국 라면이 팔린다. 국가별 수출규모도 커졌다. 연 1000만달러(약 130억원) 이상 수출하는 국가는 2017년 11개국에서 지난해 18개국으로 늘었다. K라면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 미국, 일본이다. 지난해 기준 중국이 1억8892만달러(약 2500억원)로 전세계 수출물량의 24.6%를 차지한다. 뒤이어 미국이 7616만달러, 일본이 6062만달러로 3강을 형성한다. 수출 다변화로 인해 4위권 경쟁도 치열해졌다. 필리핀이 3133만달러, 태국이 3086만달러, 네덜란드가 3002만달러로 막상막하다. 5년 전인 2017년 라면 수출국 순위는 필리핀 9위, 네덜란드 16위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만큼 현지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는 의미다. 동남아에서 K라면 인기는 한류 영향이 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필리핀의 경우 코로나19를 거치면서 간편식 수요가 증가한데다 K콘덴츠에 자주 등장하는 라면에 대한 소비자 증가로 급성장했다. 네덜란드의 경우 건강식인 아시안 음식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현지 최대 슈퍼마켓 '알버트 헤인'에 신라면과 불닭볶음면이 입점하는 등 유통채널 확대 영향이 컸다. 농심 관계자는 "라면이 출시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수출한 도전의 DNA로 해외에서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다"며 "설령 한류문화가 시들해진다 해도 한번 현지인의 입맛이 길들면 퇴보하지 않는 식품 특성상 K라면의 인기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꿀꿀이죽 충격'서 시작된 K라면의 기적…무서운 인기에 이런 트집까지© MoneyToday
"K라면 수입 중단" 석연찮은 트집…대만·태국·중국의 속내는
'꿀꿀이죽 충격'서 시작된 K라면의 기적…무서운 인기에 이런 트집까지© MoneyToday 지난 1월 대만 보건당국은 농심의 수출용 라면 제품인 '신라면 블랙 두부김치 사발'에 대해 유해물질 검출을 이유로 수입을 금지했다. 비슷한 시기 태국 정부도 같은 제품에 대해 유통금지 조치를 취했다. 식품업계에선 K라면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주요 라면 소비국의 견제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업계에 따르면 대만과 태국의 식품 기준은 인체에 유해한 EO(에틸렌옥사이드)와 상대적으로 안전한 2-CE(2 클로로에탄올)를 합산해 표기한다. 미국 기준을 따르는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이 분리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수출 라면에 포함된 에틸렌옥사이드는 기준치를 밑돌지만 2 클로로에탄올과 합산하는 방식을 취하다보니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런 기준으로 대만 당국은 최근 수입 라면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수입라면에 에틸렌옥사이드 검출 사례는 인도네시아 제품이 13건으로 가장 많고, 일본과 베트남, 필리핀이 각각 7건, 한국이 3건이다.
'꿀꿀이죽 충격'서 시작된 K라면의 기적…무서운 인기에 이런 트집까지© MoneyToday 대만의 라면 검역 강화는 자국 기업 보호 측면이 크다는 평가다. 세계라면협회(WINA)에 따르면 대만의 라면 소비규모는 2021년 기준 연간 9억개 정도로 16위 라면 소비국가지만 1인당 연간 라면소비량은 38개로 9위다. 자국내 식품 1위 기업 퉁이그룹(통일기업, 유니 프레지던트)이 라면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최근 수입라면이 늘어나면서 위협받는 상황이다. 실제 한국라면의 대만 수출액은 2017년 2000만달러였지만 지난해 3000만달러로 증가세다. 태국 역시 K라면의 성장을 주시하는 국가 중 하나다. 태국의 연간 라면소비량은 36억개로 세계 9위 라면소비국이다. 1인당 연간 라면소비량은 52개나 된다. 베트남(88개), 한국(73개), 네팔(55개)에 이어 4번째다. 태국은 라면을 '마마'라고 부르는데 현지기업인 타이 프레지던트 푸드가 마마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K라면의 태국 수출액은 2017년 1900만달러에 못미쳤지만 지난해 3000만달러를 훌쩍 넘겼다.
'꿀꿀이죽 충격'서 시작된 K라면의 기적…무서운 인기에 이런 트집까지© MoneyToday 해외 다른 국가들의 K라면에 대한 견제는 비단 검역에서만 드러나지 않는다. 지난해 중국에선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의 유통기한이 한국 내수용 제품보다 2배 긴 1년으로 표기했다며 문제삼았다.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에서 유통기한을 넘긴 제품을 중국에 판매한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삼양식품은 국가별 식품안전규정에 맞게 신선도를 관리하면서 생긴 오해라고 설명했지만 상당한 후유증을 겪은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은 전세계에서 라면 소비 1위국이다. 홍콩을 포함해 연간 439억개를 소비한다. 윤아리 삼양식품 품질안전센터장은 "안전에 문제가 없지만 여러 국가에서 문제를 삼는 것은 결국 K라면의 인기에 대한 견제"라며 "앞으로 견제는 더 늘어나겠지만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