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선생님이 기압과 기온은 반대라고 하셨는데, 그럼 고기압은 기온이 낮고 저기압은 기온이 높은건가요? 지학사 교과서에서는 저기압이 온도가 낮다고 나와있는데; 잘 모르겠어요ㅜㅜ
A.
고기압이 기온이 낮고, 저기압이 기온이 높은 것이 아닙니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상대적인 것입니다. 주위보다 기압이 높을때 고기압이 되는 것이고, 주위보다 기압이 낮으면 저기압이 되는 것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6/48_cafe_2007_06_19_01_36_4676b497700bb)
일단 온난전선이 통과하고 나면, 따뜻한공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기온이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따뜻한 공기가 위로 상승하게 되어 지표근처의 공기의 양이 적어져서 기압이 낮아진다는 것이지
저기압이 된다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한량전선이 통과하고 나면, 찬공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찬공기는 무거워 아래로 내려오니, 공기덩어리가 누르는 힘이 커져서 기압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 역시 고기압이 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단순한 기압의 높고 낮음의 변화가 고기압, 저기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고기압이 온도가 낮은 경우도 있고, 온도가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랭고기압의 경우 시베리아 고기압(겨울철)이 대표적 입니다.
대륙이 냉각되어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차가워 지면서 형성되는 것입니다.
온난고기압의 경우 북태평양 고기압(여름철)이 대표적 입니다.
이것은 하강기류가 일어나기 때문에 날씨가 맑고 온난한 것입니다.
중3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기 때문에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대체적으로 고기압에서는 하강기류가 발생하여 날씨가 맑고 따뜻한 편이라고 기억하시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8/13_cafe_2007_06_19_01_48_4676b7491bd2a)
전선 통과후 기온과 기압의 변화는 반드시 숙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첫댓글 아....이제 알겠어요 선생님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