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년(太陽年) _ 태양이 황도(黃道) 위의 춘분점(春分點)을 지나 다시 춘분점에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
* 절기(節氣), 절후(節候) _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구분된 것이기에 음력 날짜는 일정하지 않다.
24절기는 양력으로 보아 일정하게 매월 상순에 드는 것을 절기(節氣)라고 하고, 중하순에 드는 것을 중기(中氣)라고 하는데, 태양력과 태음력의 날수 차이로 인하여 반드시 절기가 음력 월초에 들고 중기가 음력 중순에 드는 것은 아니다. 한 해는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열두달로 이루어져있고, 한 달은 하나의 절기와 하나의 중기 즉 두개의 절기(節氣)로 되어있다.
한 해를 음력으로 보면, 음력11월 자(子) · 음력12월 축(丑) · 음력1월 인(寅) · 음력2월 묘(卯) · 음력3월 진(辰) ·음력4월 사(巳) · 음력5월 오(午) · 음력6월 미(未) · 음력7월 신(申) · 음력8월 유(酉) · 음력9월 술(戌) · 음력10월 해(亥) 월이다.
음력 각 월마다의 절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陰曆 | 地支 | 節氣 | 陽曆日字 | 黃經
| 氣候變化 |
1월 | 寅
| 입춘 立春 | 2월 4일경 | 315˚ | 봄의 시작 |
우수 雨水 | 2월 19일경 | 330˚ | 눈과 얼음이 녹고 비가 내린다 |
2월 | 卯 | 경칩 驚蟄 | 3월 5일경 | 345 | 겨울잠에서 동물들이 깨어나고 싹이 튼다 |
춘분 春分 | 3월 20일경
| 0˚ | 춘분점. 밤낮의 길이가 같은날. 춘분 이후로 낮이 길어진다 |
3월 | 辰 | 청명 淸明 | 4월 4일경 | 15˚ | 날씨가 쾌정해지고 진달래가 피어난다. 한식. 식목일. |
곡우 穀雨 | 4월 19일경 | 30˚ | 농사에 필요한 비가 내리고 찻잎이 돋아난다 |
4월 | 巳 | 입하 立夏 | 5월 5일경 | 45˚ | 여름의 시작 |
소만 小滿 | 5월 20일경 | 60˚ |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의 생장이 왕성해진다 |
5월 | 午 | 망종 芒種 | 6월 5일경 | 75˚ | 까끄라기 곡식 파종을 마무리 한다 |
하지 夏至 | 6월 21일경 | 90˚ |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북반구를 기준으로 낮이 가장 길다 |
6월 | 未 | 소서 小暑 | 7월 7일경 | 105˚ | 한여름 무더위, 초복 더위와 장마 |
대서 大暑 | 7월 22일경 | 120˚ | 폭염, 중복 더위 |
7월 | 申 | 입추 立秋 | 8월 7일경 | 135˚ | 가을의 시작 |
처서 處暑 | 8월 23일경 | 150˚ | 더위가 물러가고 서늘한 바람이 스친다 |
8월 | 酉 | 백로 白露 | 9월 7일경 | 165˚ | 밤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에 흰이슬이 맺힌다 |
추분 秋分 | 9월 22일경 | 180˚ | 추분점. 밤낮의 길이가 같은 날. 추분 이후로 밤이 길어진다 |
9월 | 戌 | 한로 寒露 | 10월 8일경 | 195˚ | 날이 차가워지고 찬이슬이 맺힌다
|
상강 霜降 | 10월 23일경 | 210˚ | 서리가 내리고 단풍이 물든다. 추수 마무리 |
10월 | 亥 | 입동 立冬 | 11월 7일경 | 225˚ | 겨울의 시작 |
소설 小雪 | 11월 22일경 | 240˚ | 날이 추워지고 첫눈이 내린다. |
11월 | 子 | 대설 大雪 | 12월 7일경 | 255˚ | 큰 눈이 내리고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
동지 冬至 | 12얼 21일경 | 270˚ | 겨울의 정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다. 동지팥죽 |
12월 | 丑 | 소한 小寒 | 1월 5일경 | 285˚ | 일년 중 가장 추운 시기. 폭설이 내린다 |
대한 大寒 | 1월 20일경 | 300˚ | 일년 절기력의 마무리. 해넘이. |
▲ 24절기표 - 음력 양력 - 선교총림 선림원.
2020년 경자년 24절기의 음력과 양력 날짜와 절기가 드는 시각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 2020 경자년 절기, 음력 양력 - 선교총림 선림원 제작.
황도(黃道 ecliptic)란 1년 동안 별자리 사이를 움직이는 태양의 경로. 다시말해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궤도가 천구(天球)에 투영된 것이다. 황도는 천구 적도면에 대해 약 23.5° 기울어져 있으며 황도와 적도면의 두 교차점을 춘분점(春分點)과 추분점(秋分點)이라고 한다. 황도좌표계(黃道座標系)에서는 황경을 춘분점으로부터 황도를 따라서 동쪽으로 각도 단위로 재고, 황위는 황도의 지름으로부터 북쪽 또는 남쪽 각도 단위로 재는 결과 황극은 천구의 극과 23.5° 기울어져 있다.
절기(節氣)를 시령(時令) · 절후(節候)라고도 하는데,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春分)에 지나는 춘분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黃道: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이 1년 동안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길)에 따라 동쪽으로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이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하여, 15° 간격으로 24절기의 날짜가 구분된다.
#24절기 #24절기양력음력 #양력 #음력 #태양력 #태음력 #황도 #황경 #춘분점 #별자리 #천구 #추분점 #황도좌표계
#선도 #선도수행 #생활속의 선도수행 #생활선도 #선도공법 #한국의 선도 #선교수행 #선교 #仙敎
※ 본 콘텐츠는 저작권과 관련합니다. 무단복사 편집을 금합니다.
※ 내용출처1. 취정원사님 "24절기-생활속의 선도수행" 선교총림 강의내용
※ 내용출처2. 선교 정기간행물 [仙敎] "생활속의 선도수행(2008~)"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