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이 편
1.벗은 누구인가? 고대의 논어 주석가인 포함包咸은 동문同門이라고 했다.
다산 정약용은 붕朋이란 추구하는 뜻이 같아 의기투합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서운해하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人不知而不縕이면 不亦君子乎아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2."군자는 근본에 충실해야 한다. 근본이 정립되어야 도道가 자란다. 효제孝第라는 것은 인仁을 행하는 근본이다."
君子는 務本이니 本立而道生하나니 孝第也者는 其爲仁之本與인저
군자 무본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3.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서질 않는다. 이러면 배운 것도 견고하지 못하다."
子曰君子不重卽不威니 學卽不固니라
자왈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4.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음에 있어서 배부르게 먹기를 추구하지않으며 거처함에 있어서 편안하게 살기를 추구하지 않는다. 일할때 민첩하고 말할 때 신중하며 도덕을 지키고 받드는 마음이 있는 인사를 찾아가 옳고 그름을 질정質正한다면 진정 배움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다."
子曰君子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敏於事而愼於言이요
자왈군자식무구포 거구무안 민어사이신어언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니라
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
위정 편
5.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子曰君子는 不器니라
자왈군자 불기
6.자공이 군자에 대해 질문했다.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먼저 그 말할 것을 실행하고, 말은 나중에(행동을) 따라오게 하라."
子貢이 7問君子한대 子曰先行其言이요 而後從之니라
자공 문군자 자왈선행기언 이후종지
7.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관점이) 두루 넓으면서 편협하진 않다.
소인은 편협하기만 하고 넓지 못하다."
子曰君子는 周而不比하고 小人은 比而不周니라
자왈군자 주이불비 소인 비이부주
팔일 편
8.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승부를 다투는 일은 없으나 활쏘기 실력을 겨루는 것만큼은 피하지 않는다. 겸손하게 절하고 올라갔다가 내려와서는 술을 마신다. 겨루는 모습이 참으로 군자로다."
子曰君子無所爭이나 必也射乎인저 揖讓而升하여
자왈군자무소쟁 필야사호 읍양이승
下而飮하나니 其爭也君子니라
하이음 기쟁야군자
9.위나라 의儀읍에서 출입을 담당하는 관리가 공자에게 뵙기를 청하면서 말했다. "군자가 이곳을 지날 때 내 일찍이 만나보지 않은 적이 없었습니다." 종자가 그를 공자에게 데리고 갔다. 그가(공자를 만나본 뒤)나와서 말했다. "여러분, 자리를 얻지 못해 천하를 떠돌아다닌다고 상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천하에 도道가 사라진 지 오래되었습니다. 하늘이 장차 선생님을 목탁으로 삼으실 겁니다.
儀封人이 請見曰君子之至於嘶也에 吾未嘗不得見也로라
의봉인 청현왈군자지지어시야 오미상부득견야
從者見之한대 出曰二三子는 何患於喪乎리오
종자현지 출왈이삼자 하환어상호
天下之無道也久矣라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리라
천하지무도야구의 천장이부자 위목탁
이인 편
10. "군자는 식사하는 잠깐 동안엗 인仁을 어김이 없다. 절박하고 구차한 순간에도 반드시 인仁에 의거하며 넘어지고 자빠지는 그 순간에도 반드시 인仁에 의거한다.
君子無終食之間을 偉仁이니 造次에 必於是하며 顚沛에 必於是니라
군자무종식지간 위인 조차 필어시 전패 필어시
11.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천하의 일을 함에 있어서 무조건 긍정하면서 행하는 것도 없고 무조건 부정하면서 안 하는 것도 없다. 언제나 의義와 함께할 뿐이다."
子曰君子之於天下也에 無適也하며 無莫也하여 義之與比니라
자왈군자지어천하야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
12.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덕德을 생각하고, 소인은 거처의 편안함을 생각한다. 군자는(잘못했을 때 받게 될)처벌을 예상하고 소인은 허물을 용서해주는 그런 은혜를 기대한다."
子曰君子는 懷德하고 小人은 懷土하여 君子는 懷刑하고 小人은 懷惠니라
자왈군자 회덕 소인 회토 군자 회형 소인 회혜
13.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의義에 밝고, 소인은 이익利益에 밝다."
子曰君子는 喩於義하고 小人은 喩於利니라
자왈군자 유어의 소인 유어리
14.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는 말은 어눌하지만 행동은 민첩하게 하려고 한다."
子曰君子는 欲訥於言而敏於行이니라
자왈군자 욕눌어언이민어행
공야장 편
15.선생님이 자천에 대해 말씀하셨다. "이 사람은 군자로다. 노나라에 군자가 없었다면 이 사람이 어디서 이와 같은 덕을 취할 수 있었겠는가?"
子謂子賤하사대 君子哉라 若人이여 魯無君子者면 斯焉取斯리오
자위자천 군자재 약인 노무군자자 사언취사
옹야 편
16.선생님께서 자산에 대해 말씀하셨다. "군자의 네 가지 도道를 가진 사람이다. 그 몸가짐이 공손했고 윗사람을 섬길 때
공경스러웠으며 백성부양하기를 은혜롭게 했고 백성에게 일을 시키기를 의義에 하방하게 했다."
子謂子産하사대 有君子之道四焉이니 其行己也恭하며
자위자산 유군자지도사언 기행기야공
其事上也敬하며 其養民也惠하며 其使民也義니라
기사상야경 기양민야혜 기사민야의
첫댓글 와우~~ 약속을 지키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수료하기 힘든 깐깐한(?) 열행입니당?!
孝第也者 >> 孝弟也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