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함께 하면 주차장에 차를 넣어야하니 내내 뒷문으로만 들어간다.
이번엔 정문에서 내려 당당히 앞으로 들어갔다.
박물관 건물안에는 사람이 바글바글 해도 이렇게 우리처럼 밖에서 부터 들어가는 사람은 별로...
오전에 야외전시물을

2005년에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

함께 한 사람들.

건물 구조.
우리 전통건축원리에 지은 건물이다.
YTN에서 촬영나왔다.
우리 모습도 한 컷 들어갈수도 있다.

이게 뭘까?
광주 태봉초등학교에 대해 말했었다.
태봉초등학교 졸업했다는 친구가 있었다.
태봉이 뭐야?
궁예가 세운 나라...
광주의 태봉은 그 태봉이 아닌디...

국보 1호 남대문 국보 2호는?
보물 1호 동대문 보물 2호는?
2등은 안알아주는 더러운 세상...
보물 2호 보신각 종이다.

왕들은 왜 종을 만들어 달았을까?

나주 서문 석등이다.
서울에서 전라도 사람 만나면 반갑다.
나주출신 석등.
왜 석등을 만들었을까?

우리 최고 발명품.
인류 최고의 글자. 훈민정음 - 한글.
유엔에서 세게 문맹퇴치의 공훈이 있는 이에게 주는 상이름이 "세종상"이다.

이건 뭐?

돌덩어리를 손에 든 정으로 잘라내어 만든 석조물이다.

염거화상 부도.

부도에 대해 말하다.
점심먹고.
다시 실내전시관.
1층 시대순 관람하고

구석기 주먹도끼

신석기 그릇.
그릇이 있음으로 생활의 변한다.
어떻게..

농경문 청동기.
하마터면 용광로속에 들어가 영영 우리앞에 안나타날뻔한...

미송리식 토기.
미송리는 뭐야?

삼한 사람들은 새모양의 토기를 만들었다.

고구려 벽화.
벽화에서 뭘 볼까?
북한에 있다.
북한에도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게 있을까?
두 개 있다.
개성에 하나. 평양에 하나.

백제 무령왕릉.

백제는 예술의 나라다.
이런 모양의 벽돌 아니면 보도블럭을 사용한 나라라면...

신라 사람모양 토기.
이것과 함께.. 다른 유형의 것이 교체 전시되곤 한다.

금관.
바닥을 치면 흔들린다는 말을 했더니
쿵쿵 난리다.

건너가는 길목.
경천사지 10층 석탑.
일본에서 11년을 살았던 탑이다.

발해에 대해.

발해 궁성터에서 발견된 용머리 장식이다.
이런 장식이 건물 계단에 설치되었다고 상상해보자.
그 건물의 규모며 위상은 ...

고려 말
공민왕, 노국공주,

정몽주.
정도전과 정몽주는...

태조 이성계.

마패.

호패.

흥선대원군의 척화비.
2층으로 올라가자.
서화실.
서화실의 전시주기가 제일 짧다.

등뒤로 해서 앞에 앉혀놓고
뒤돌아보세요...
"와~~~ "
거대한 부처님 그림이다.
괘불이라고 한다.
3층으로...

청자중 제일 좋아하는...
향로.

분청사기,

달항아리.
계속봐도 또 보고 싶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관 방을 차지하는 유물이 2개있다.
그 하나가 신라금관
또하나가 바로 여기.
국보 78호와 83호를 번갈아 전시한다.
사람크기와 비교하려고 혜리 도현이 사진 넣었는데
유물이 너무 작아보인다.
보이는 것보다 더 크다. 높이는 80cm.
----------------
박물관만 둘러보고 오는 것도 재밌다.
담번에도 계획하련다.
담번엔 3층 공예실을 좀더 알차게 돌아봐야겠다.
첫댓글 다시가고싶어요 ~~~너무 알찬 내용이었어요 도자기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유혹이 들 정도로~~
그러게요.. 1층 시대순 배열은 이제 식상하고, 2층 3층의 주제관이 땡기지요~~~~ 주제관은 시간대별로 해설하는게 있을거예요. 언제 서울가면 그 시간 맞춰서 함 가보시면...
처음 보는 야외 전시유물들 멋졌어요.
큰 일입니다. 가도가도 또 가고 싶고....
넘 이른시간? 아님 늦은시간?. . .광주박물관 야외전시도 괜찮습니다. 가끔은 꿩대신 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