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끄럼베어링 Oil Whip에서 특징 중에 'Oil Whip은 한번 일어나면 그 이상 회전속도를 올려도 정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라고 되어 있는데요.
1) 회전속도를 '올려도'가 아니라 '낮춰도'가 맞는 게 아닌가요?
2) '올려도'가 맞다면 회전속도를 낮추면 Oil Whip이 사라지는 것인지요?
제 개인적인 생각은 위험속도를 공진이 발생했을때의 속도를 말하는 것인데
오일 휩이 발생하면 그 구간을 벗어나야 합니다. 속도를 낮추어 위험구간을 벗어나면 당연히 오일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는 경제적으로 따지면 속도를 낮추는 것보다 올려서 벗어 나는게 이득인거 같습니다.오일 휩이 발생하였을 경우 예를 들면 발전소라고 합시다. 오일 휩의 진동구간을 벗어나야 하는데 발전소가 정지하여 오일휩을 제거 한다는 것은 많은 경제적 손실이 생깁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손실 발생을최소화하기 위해서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고, 오일휩을 제거하는 좀더 경제적인 방법으로 회전속도 변경, 부하 변경, 베어링 윤활유 압력 또는 온도 변경등 회전체의 운전조건을 변경시켜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휩은 휘감기의 뜻.
충분히 윤활된 미끄럼 베어링에서 축을 고속으로 회전시켰을 때,
위험속도 2배에 이르면 축에 격심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
오일휩은 미끄럼 베어링을 이용한 고속의 회전기계에 많이 발생하는 진동으로 매우 심한 진동을 일으키고, 베어링을 소손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베어링의 유막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축의 자려진동이다. 특징으로는 ① 발생하기 시작하는 회전수는 로터(rotor) 1차 위험속의 2배 이상이다. ② 진동수는 로터의 위험속도(회전수에 대한 최저차의 고유진동수)와 동등하다. ③ 축의 흔들리는 방향은 회전방향과 일치한다. ④ 발생회전수와 소멸회전수는 회전수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달라진다. ⑤ 진동이 한번 발생되면 회전수를 상승시켜도 감소하지 않는다. ⑥ 돌발적으로 발생, 소명한다 등이 있다. 대책은 ① 베어링 축을 메운다. 베어링 중앙에 홈을 만든다. 얼라이먼트의 조정 등으로 베어링의 면압을 증가시키는 방법 ② 기름의 종류를 바꾼다. 유량을 낮추고 온도를 높이는 등, 유막의 점성을 낮추는 방법 ③ 2원호, 다원호, 틸팅패드 베어링 등, 오일휩을 일으키기 어려운 베어링으로 바꾼다 등이다.
오일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발생 원인에 따라다양하며, 진동분석을 통해 회전체 평형 조정, 축정렬 조정, 베어링 설치 높이 조정, 베어링 간극 조정베어링 형상 변경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원인별최적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첫댓글 친절한답변 감사드립니다 이제이해가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