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냥 정리해 봤습니다. 사회화 이론 정리중 교육 파트라 여러 소논문 정리중에 발췌 하여 정리 하였는데 아이를 잘 컨트롤 하고 싶으시면 함 보셔도 좋겠네요. 반드시 함께 생각 해야할 대상자의 욕구 및 동기 그리고 현재의 내재된 정서 상태 및 유전적 발달상의 특질 등을 고려 하여야 합니다.
작성자 : 이성수 목차
1장. 사회 학습이론
첫째,강화와 처벌 1~3p 둘째,코칭 4p 셋째 관찰 학습에 대한 설명 4p~10p
2장.역할이론 10p
3장. 준거 집단 이론 10p
예제- 왕따 학생 k군 11p 스포츠 사회화이론에의 사례 접목 12p 총론 12p
참고 문헌
스포츠 사회화 이론 1장 . 사회 학습이론 Leonard(1980)의 사회학습이론은 개인이 어떻게 사회적 행동을 습득하고 수행하는 가를 밝히려는 이론인데 , 여기에서는 스포츠 역할 학습의 이해에 접근하기 위하여 강화reinforcement , 코칭 coaching , 관찰 학습observation learning 의 3가지 개념을 주로 사용한다. 여기서 말한 강화에 대한 여러 가지를 자세히 알아보자.
첫째. 강화와 처벌 1. 강화와 처벌 강화reinforcement 와 처벌punishment은 선수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스포츠 지도자들이 널리 쓰고 있는 기법이다. 보상이나 처벌을 통해 행동을 바꾸는 전략은 행동주의 심리학자인 B. F. Skinner(1953) 의 강화의 원리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 원리를 조작적 조건형성이라고도 한다. 첫째, 강화란 어떤 행동이 나타난 다음에 자극을 제시함으로 미래의 반응을 나타낼 확률을 높여주는 것을 말한다. 이때 제시되는 자극을 강화물reinforcer 이라고 부른다. 강화에는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 어떤 반응의 빈도를 높이기 위해 제시되는 자극) 와 부적강화(negative reinforcement- 불쾌 하거나 고통스런 자극을 제거시킴으로써 바람직한 반응의 확률을 높이는 자극) 가 있다. 둘째, 처벌 punishment 은 어떤 행동이 나타날 확률을 감소시키는 자극을 의미한다. 처벌에는 정적 처벌 positive punishment - 어떤 행동이 나타난 다음 에 불쾌하거나 고통스런 자극을 제시하거나 부여해 줌으로써 그 반응의 빈도를 낮추는 것이다. 선수가 잘못했을 때 고함을 질러 그 동작을 못 하도록 하는 것이 정적 처벌의 예이다. 부적 처벌negative punishment 은 금지형 처벌로 어떤 반응이 나타날 확률을 감소 시키기 위해서 제거 되거나 박탈되는 자극을 말한다. 1)강화와 처벌의 구분 - 처벌은 어떤 행동을 못하도록 하는 것이며, 강화는 어떤 행동을 반복하도록 동기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문제 : 다음을 4가지 강화와 처벌로 분류 해 보기 정답을 맞추시면 열공 부모님으로 인정 합니다 ㅋㅋㅋ ① 연습할 때 실수를 많이 해서 운동장 돌기를 했다. ② 팀 전체가 분발한 결과로 연습 후에 운동장 뛰는 것을 안했다. ③ 멋진 다이빙 캐치를 해내자 코치 선생님이 “잘했다”고 말한다. ④ 연습과 이전 시합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한 선수를 주장으로 임명한다. ⑤ 선수가 잘못하면 눈살을 찌푸리고, 잘하면 미소를 지어준다. ⑥팀의 훈련 규칙을 위반한 선수를 연습시간 내내 벤치에 앉혀 둔다.
2) 강화와 처벌의 조화 강화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면 처벌은 부정적이다. 강화를 자동차의 엑셀레이터로 비유 한다면 처벌은 브레이크라고 할 수 있다. 되도록 엑셀을 많이 밟아야지 브레이크를 너무 많이 밟으면 동기를 잃어 버릴 수 있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가 분명해야 할 것이다. (전략, 기술 분석, 지도 방법) 1.
2, 긍정적 강화의 방법 처벌이 강력한 행동 수정의 효과를 갖고 있다고 스포츠 지도자들은 생각하지만 선수들은 자신의 참여 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코치의 일관성 있는 칭찬과 격려인 것이다. 1)효과적인 강화물 찾기 어떤 형태의 강화가 가장 효과적인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외향적인 선수는 여러 선수 앞에서 칭찬 받는 것이 뿌듯하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내향적인 선수는 당황해 할 수도 있다.
2) 바람직한 행동 찾아 강화하기
학습해 가는 동안 부분적인 완성도에 따라서 강화를 해주는 방법이 행동조성shaping 이다. 행동조성의 단계 1)바람직한 행동 과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정의하고 구체적으로 적는다. 2) 바람직한 행동에 점차 근접 하도록 동작을 여러 단계로 나눈다. 3)바람직한 행동을 지도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통제할 상황을 설정한다. 4)주요 강화물과 처벌물을 찾아낸다. 5)바람직한 행동에 점차 근접하도록 강화물과 처벌물을 적용한다. 6) 수행의 변화를 촉진시키도록 시범이나 신체적 안내를 사용한다. 7) 바람직한 행동과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빈도를 조사하여 효과를 확인한다.
3) 강화의 빈도와 시점 초기 단계에서는 강화를 자주 해주고 후기 단계에서 강화의 빈도를 줄이면 최상의 동기와 수행에 이르게 할 수 있다.
4)결과지식 제공하기 넓은의미의 피드백에 해당하며 정보기능( 현재 어떻게 하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강화기능(결과에 대한 정보 자체가 강화 기능을 함) 동기유발(결과 지식을 얻는 것 자체로 더 열심히 하는 동기유발) 2.
3. 행동 수정의 효과 1) 바른 동작의 빈도 향상 강화를 해 주었을 때 나타난 바른 동작의 빈도는 처벌을 했을 떄 보다 2~4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강화가 처벌 보다 바른 동작을 하는데 더 좋은 영향을 미친 것이다. 2) 팀분위기 개선 연습시 슈팅에 집중하고 선수끼리 비난 하는 것을 막기위해 행동수정 기법을 적용 1) 자유투성공률 37%에서 51% 로 상승 2) 연습당 10~12회 상호 격려 하던것이 프로그램종료후 80회 이상으로 상승 3) 출석률 상승 행동조성 기법의 적용 첫째단계에서는 단지 출석여부만을 게시판에 표시 둘째단계에서는 연습시간에 맞춰 정시에 출석 해야만 체크 셋째단계에서는 정시에 출석을 해서 연습을 완료 해야만 출석으로 인정 되었다. 목표행동에 점차 근접하도록 하는 행동조성 기법이 학생들의 행동에 강한 영향을 끼쳐서 45%이던 출석률이 100%에 도달하였다.
4. 선수처벌과 체벌 우리나라 교육및 스포츠 상황에서는 언어적 형태인 처벌뿐만 아니라 체벌도 빈번하게 이용되었다. 체벌은 신체적인 고통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고통까지 포함한다. 선수들은 체벌에 대해 강한 반발감을 갖고 있고 체벌이 필요 하다는데 반대 한다. 1)처벌의 부정적 영향 첫째, 체벌을 포함한 처벌은 실패공포를 불러 일으키고 승패 결과에 너무 집착하는 나머지 당면한 과제에 주의집중을 못하게 된다. 둘째 , 처벌 위주의 지도는 기능 향상을 오히려 방해 할 수 있다. 셋째 , 처벌의 효과는 예측 가능성이 낮다. 보상은 어떤 행동을 계속하라는 메시지를 주지만 처벌은 하지마라라는 지시만 할 뿐 대안을 제시해 주지 못한다. 2) 처벌지침 처벌은 10~20%만을 사용하고 80~90%는 칭찬과 긍정적인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처벌의 규칙 ①동일한 규칙위반에 대해서는 동일한 처벌, 일관성을 지킨다. ②사람이 아니라 행동을 처벌 ③규칙위반에 관한 처벌 규정을 만들 때 선수의 의견을 반영한다. ④신체 활동(운동장돌기 등)을 처벌로 이용하지 않는다. ⑤개인적인 감정으로 처벌 하지 않는다. ⑥연습중에 실수한 것에 대해서는 처벌하지 않는다. ⑦전체 선수나 학생앞에서 개개 선수에게 창피를 주지 않는다. ⑧처벌을 자주하는 것은 좋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단호함을 보인다. 3. 위의 강화와 처벌은 사회화 교육자(부모, 교사 , 코치등)의 교육과정에서 피교육자의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 가는 학습의 기법이다.
둘째 , 코칭 코칭의 기본 철학은 너무나 간단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가능성과 잠재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고 있으며, 코치와 함께함으로써 이를 더 쉽고 빨리 찾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자신이 그토록 고민하던 문제가 무심코 던진 친구의 말 한 마디나 책의 한 귀절에서 실마리를 얻어 풀렸던 기억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자신의 시각에만 고착되어 있던 것이 다양한 해결의 가능성을 찾게 된 경우입니다. 코칭도 이와 같은 이치입니다. 우리는 파트너가 있어서 경청해주고, 적절한 질문을 통해 다양한 시각을 열어주고, 스스로 탐색하며 정리해나갈 때 좀 더 창조적일 수 있습니다. 1. 컨설팅: 코칭는 컨설팅에서처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코칭는 코치받는 사람이 스킬업하거나 변화, 또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컨설팅적 해결이 필요한 경우 코칭은 함께 파트너십을 이루어 문제를 해결해나갑니다. 컨설팅이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코칭은 그 해결책을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추후 그 해결책을 스스로 재생산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공유하고, 그 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컨설팅이 무엇(what)에 집중하는 반면, 코칭은 누구(who)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2. 카운셀링, 테라피: 코칭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사람의 과거를 여행하거나, 당시의 행동에 대해 지나치게 연구하지 않습니다. 코치는 그러한 것들을 코치받는 사람의 몫으로 남겨두고 단지 그들이 그 사실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그들이 한걸음 앞으로 나가 개인적, 직업적 목표들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카운셀링이나 테라피가 과거 지향적인 면이 많은 반면, 코칭은 철저히 미래 지향적입니다. 코칭철학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코칭의 대상은 치료의 대상이 아닙니다. 3. 멘토링: 멘토링이 최근 비즈니스 분야에 본격 진출하면서 좀 더 구조화되고, 수평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코칭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차이점은 멘토링은 멘토와 멘티의 관계에서 있어서 수직적이며, 상호간의 인격적 개입이 더 깊이 일어난다고 하는 점입니다. 코칭은 수평적 파트너십이며, 깊숙한 개입이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코치와의 관계에 의해 직접적인지도를 통해 학습자에게 동기부여
셋째,관찰학습에 대한 설명 사회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은 보상이나 처벌의 조작결과로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4.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한 결과로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Bandura & Walters, 1963, 김성희 외 재인용)
대표적인 학자로는 반듀라를 들 수 있으며, 그는 모방과 관찰학습을 강조하였다.
지금까지는 모방과 관찰학습이란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해 왔으나, 반듀라는 이 두 용어의 구분이 아주 중요하다고 하였다. 관찰학습에는 모방이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였다.
( 예: 운전 중에 차 앞에 웅덩이가 있는 것을 보고, 이것을 관찰하여 차가 손상되지 않고 웅덩이를 피하기 위해서 차를 비껴가게 운전할 것이다. 이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관찰로부터 학습은 했으나, 관찰한 것을 모방하지는 않았다. 반듀라에 따르면, 운전자가 학습하는 것은 인지적인 처리를 거친 정보이며, 이롭다고 생각되는 방식으로 실행하였다. 그러므로 관찰학습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흉내내는 단순한 모방 이상의 복잡한 것이다.)
사회학습이론과 행동주의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행동주의자들이 철저하게 관찰 가능한 외현적 행동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진 반면, 사회학습이론가들은 인간의 내적 과정을 인정함으로써 인간학습의 인지론적 경향을 함께 수용하였다.(홍순정, 1997)
반듀라의 연구(1981, 1986)에서 사회학습이론의 조망을 확대시키고 있다. 그에 의하면, 사람들은 어떤 행동이 자신과 타인에게 주는 효과를 관찰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고 미래의 성공 여부를 가늠한다고 보았다. 만약에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기대가 성립되면 필요한 행동을 수행하려는 결정을 내린다. 이것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 확신감으로서 반듀라는 자기효율성(self-efficacy)이라고 불렀으며, 개인의 자기효율성은 반복된 과제관련 경험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발달한다. (김성희 외 1998)
학습과 실행에서 반듀라는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정보는 그렇게 할 만한 이유가 있을 때 즉, 필요성이 있을 때에만 실행에 옮겨진다고 하였다. (예: 우물이 어디에 있는지를 잘 알고 있지만, 목이 마를 때만 그 정보를 실행에 옮긴다.)
2. 인지적 사회학습이론의 원리
1) 관찰학습
학습과 실행간의 구분은 반듀라의 연구에서 잘 드러난다.
이 실험에서 4세 아동에게 커다란 인형을 때리고 차는 모델이 등장하는 영화를 관찰하게 하였다. 반듀라의 이론에서는 정보를 줄 수 있다면 어떤 것도 모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경우, 영화에서는 공격성의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1) 한 집단은 공격성에 강화를 받은 모델을 보았고, (2) 또한 집단은 공격적 행동을 처벌받는 모델을 보았다. (3) 세 번째 집단은 공격성 때문에 처벌이나 강화를 받지 않는 중립적인 모델을 보았다. 영화를 본 후, 세 5. 집단의 아동 전원에게 인형을 주고,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공격성을 강화 받은 모 델의 영화를 본 아동이 가장 공격적이었으며, 공격적 행동을 처벌받는 모델의 영화를 본 아동의 공격성이 가장 덜 하였고, 중립적 모델에 노출 된 아동의 공격성은 중간 정도였다.
☞ 이 실험을 통해서 간접적 혹은 대리 경험으로도 아동의 행동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즉 다른 사람의 경험을 관찰한 것이 아동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아동들은 모두 모델의 공격적인 반응을 학습했으나 모델이 강화 받느냐 처벌받느냐, 중립적인 결과를 보이느냐에 따라 다르게 행동했다. (인간의 학습과정은 직접적인 강화에 의한 경험을 통하여 학습되는 행동도 있지만,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직접적인 강화를 받지 않더라도, 다른 아동이 보상이나 벌을 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강화 받기 때문에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설명한다. 그래서 관찰학습을 대리 학습(Vicarous learning)이라고도 한다. 2). 관찰학습의 네 가지 구성 요소 *반듀라(1977)는 관찰 학습에 영향을 주는 네 과정을 제시하였다. (1). 주의 집중 (attentional) 단계 어떠한 행동이 관찰을 통해서 학습되려면 그 행동이 관찰자의 주의를 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델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주의 대상을 결정하는지에 대해 생각 해 볼 필요가 있다. ( 인간의 감각 능력이 주의 대상에 영향을 준다. 과거의 강화가 관찰자의 선택적 주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델의 특성 역시 주의의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2). 기억(파지)(retention) 단계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보유(기억)해야 한다. 정보가 상상이나 언어의 두 가지 방식으로 상징적으로 저장되어야 한다. 관찰 학습과 파지는 쉬운 형태로 저장되도록 정보의 대부분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상징적 부호에 의해 촉진된다. 정보가 인지적으로 저장되면, 관찰 학습이 일어난 후 오랫동안 내적으로 보유, 강화 될 수 있다. (3). 운동 재생(motor reproduction) 단계 기억되고 있는 모델의 행동을 외현적으로 재생산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즉, 이 과정에서 학습된 것을 실행으로 전환시키는 정도가 결정된다. 반듀라는 모든 신체적 기제가 반응을 하기에 적절하게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관찰자의 행동이 모델 행동과 일치되기 전에 인지적 반복 기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모델링 경험을 상징적으로 보유함으로써, 이것은 자기 관찰과 자기 수정을 통해 자신의 행동과 모델의 행동을 일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피드백 고리를 형성하게 한다.
(4). 동기화(motivational processes) 단계 동기, 강화과정의 요소로, 이 요소는 처음에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요소로서도 중요하나, 관찰 된 것을 행동으로 재현시키는 데에 필요한 요인으로서 동기와 강화가 중요하게 된다. 강화의 주된 기능은 , 관찰자처럼 행동한다면, 모델이 강화를 받았듯이 자신들도 강화를 받으리라는 기대를 갖게 해준다는 점이다. 그리고 학습을 실행에 옮기게 하는 동기의 역할을 해준다. 6. 주의집중과정
모델의 행동에 집중하고, 정확하게 지각한다. 기억과정
이전에 관찰 된 모델의 행동을 기억한다.(장기간 보유) 운동재생과정
모델의 행동을 상징적으로 부호화해서 기억한 것을 새로운 반응 유형으로 해석한다. 동기적 과정
만약 정적강화(외적, 대리적, 자기강화)가 주어지게 되면 모델의 행동을 수행한다. 반듀라는 학습자는 자신의 행동이나 타인의 행동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정보를 획득한다. 관찰자가 획득한 정보는 필요성이 있을 때,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가 있다. 행동은 부분적으로, 실행의 내적 표준에 의해 결정되는 예측된 자기 반응과 스스로 지각된 자기 효율성 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요약해서 말하면, 관찰 학습에는 주의, 파지, 운동 능력과 동기 과정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관찰 학습이 일어나지 못하면, 관찰자가 모델의 관련 행동을 관찰하고, 그것을 파지하고, 신체적으로 수행할 수 없거나, 수행으로 이끌만한 것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반듀라는 대리적 강화와 자기 강화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대리적 강화란 자신이 아닌 모델이 받은 강화를 관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강화를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어떤 행동에 대해 강화를 받는 모델이 벌을 받는 모델보다 관찰학습 될 가능성이 높다. 자기 강화란 자기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기 스스로 내리는 평가로서 자신이 갖고 있는 기준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강화해 줌으로써 그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듀라는 아동의 행동발달은 주위 사람들이 아동에게 주는 직접적인 강화나 벌은 물론 아동 스스로가 자기 자신에게 가하는 강화나 벌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반듀라의 이론은 현재에도 아동의 사회적 발달에 대한 많은 연구를 이끌어내고 있는데 이 이론에서는 관찰학습에서 인지 또는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아동이 듣고 기억하고 관찰한 행동들로부터 일반적인 규칙을 추론해 내는 아동의 능력이 모방과 학습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반듀라의 최근 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점차 선택적으로 모방을 하게 되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수준에 의해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아동은 행동에 대한 자신의 기준, 그리고 자신의 능력과 특성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발달시키게 된다. ( 예: 한 어머니가 “ 이 일이 상당히 힘든 일이었는데도 내 자신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이 일을 해낼 수 있어서 나 스스로 참 기쁘다.” 라는 말을 자주 들은 자녀는 이러한 행동이 모델링 될 가능성이 높다.
7.
3). 상호결정주의로서의 사회학습
심리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질문은, “ 사람들은 왜 그렇게 행동하는 것일까? ” 에 관한 것이다. 이 질문에 때한 설명에 따라, 환경론(경험론), 생득자론, 인본주의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스키너와 같은 환경론자 들은, 행동은 환경의 강화 우연성의 함수라고 말하며, 강화 우연성을 변화시키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생득론자들은 유전된 기질, 특성이나 사상등을 강조하였다. 인본주의자들은, 사람들은 자신이 하려고 선택한 것을 한다는 자발적인 선택을 강조한다. 따라서, 이 질문에 대한 인간의 행동은 여러 가지의 관점에서 얘기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환경이나 어떤 특성이나 기질 혹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유 의지의 함수라는 점들을 주장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듀라는 위의 것과는 조금 다른 범주 속에서 기술하고 있다.
반듀라는 인간과 환경 그리고 인간의 행동 자체가 인간의 연속된 행동을 낳기 위해 상호작용 한다고 하였다 이 세 요소 중 어떤 것도 인간 행동을 결정하는 다른 요인과 분리되어 설명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행동은 인간과 환경에 영향을 주고 인간이나 환경 역시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하였다.
반듀라는(1986) 인간 발달은 “ 능동적인 ” 개인, 그 사람의 행동, 그리고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는 상호 결정론(reciprocal determinism)개념은 제안했다. 개인들, 행동들, 환경들 사이의 관계는 양방향적(bidirectional) 이라고 제안했다. 요약해서 말하면, 인지학습이론가들은 인간발달을 아동과 아동의 환경 사이의 연속적인 호혜적 상호작용(reciprocal interaction)으로 기술하였다. 아동이 경험하는 상황이나 환경은 아동에게 영향을 주고 마찬가지로 아동의 행동도 환경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은 아동들이 자신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환경을 만드는데 능동적으로 개입한다는 것을 시사한다.(송길연 외2001) 4). 교육의 시사점
교육에 있어서의 모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주고 있다. 모델링이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 해야한다. 모델링에는 많은 형태가 있다.
또한 사회학습이론가들은 행동은 사람이나 살아 있는 모델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고, 대중매체에서 제시되는 모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봉정 1999)
김남성(1993)은 교육 실천을 위한 시사점으로 유아는 어른의 행동을 모방한다는 것으로 시범을 사용하라고 하였으며, 행동 변화는 인지의 변화가 원인일 수 있으며, 인지변화를 위한 행동적 방법. 즉 행동적 방법에 의하여 인지가 변하면, 그 변한 인지 때문에 행동이 변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가능한 한 행동을 자기 규제하게 하라고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우종하 2000) 발달에 내적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신분석학적 이론과는 대조적으로,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대부분의 행동이 외적 환경의 사건들, 특히 강화(보상과 벌)와 모델링에 의 8. 해 학습되고 조성된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다. 어떠한 행동에 대한 보상체계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행동이 외부의 통제나 조정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많은 이론가들에 의해 비난을 받고 있으나, 사회학습이론가들은 외적 조정에 의해 형성 된 행동반응이라도 반복된 학습경험을 통해 결국은 자신의 보상과 벌을 스스로 조정 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특히, 모델링이나 모방은 사회학습이론의 기본 개념이 된다. 사회학습이론가들은 직접적 강화 없이도 모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을 통해 사회적 행동이 획득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듀라(1974)는 부모와의 동일시는 부모의 행동과 어린이의 모방이 조직적으로 일치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부모는 유아기의 중요한 강화의 분배자 일 뿐만 아니라, 일관성 있는 행동의 모델로서 어린이의 사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반듀라는 " 자기 조절의 과정"으로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어린이는 여러 가지 사회적 원천 (예: 양육 경험, 모델링, 언어적 지시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사회에서 어린이에게 적합하다고 여기는 행동에 대한 개념을 형성한다고 한다. 정보를 통하여 비난 받을만 하거나 칭찬 받을 만한 행동의 기준을 형성함과 동시에 어린이는 이 기준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즉 자기조절 과정을 통하여 어린이는 목표를 정하고 이 기준 이상으로 행동했을 때는 스스로 보상하지만, 이에 미치지 못했을 때는 스스로 벌한다. 반듀라는 자기조절의 과정이 장기적인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어린이에게 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행동전략이 된다고 주장한다.
5). 논의점
사회학습이론가들은 실험실 연구에 매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그들의 원리와 결과가 일상 생활 상황에 얼마나 잘 적용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확신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반듀라의 이론이 환경론적이라는 점에 비추어서 외적 환경이 상당한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동들은 적당히 신기한 사건에 대해서 내적인 흥미로부터 자발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과소 평가하였다.(예, Bobo 인형의 공격성 비디오에서 몇몇의 아이들이 아무런 강화도 없었는데 쉽게 공격적인 행동들을 모방했다.) 때로는 강화 받지 않은 자발적인 모방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듀라의 이론에서 보면 인지구조나 단계의(발달 단계, 인지적 수준)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하였다. 인간발달의 설명을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단순화 한 것으로 보고, 각각 사람의 개별성이나 개인차의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6).정리(요약).
반듀라의 사회학습 이론은 계속 되는 행동, 인지 구조, 환경의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심리적인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행동과 환경적인 힘의 상호 작용, 즉 인간 활동의 조직과 규제에 있어서 인지적 요인이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유동적. 역동적인 과정이 중시된다. 9.
반듀라의 주요 이론적 개념은 모델링, 즉 관찰을 통한 학습의 개념이다. 그 기본 과정은 모델형성의 영향력이 주로 정보적 기능을 통하여 학습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즉, 학습에 대한 인지적 특성을 강조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찰 학습은 네 가지 관련 요인 : 주의(attentional), 기억(retention), 운동 발생(motor reproduction), 동기 형성 과정(motivational processes) 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관찰 학습에서의 강화(reinforcement)에 관한 반듀라의 해석은 인지적 경향성을 나타낸다. 사회학습에서 외적 강화는 흔히 개인에게 정보와 유인(incentive)의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 그 뿐만 아니라 대리적 강화(다른 사람이 강화를 받는 것을 관찰하는 것), 자기 강화(자기 자신이 스스로 강화하는 것)를 강조한다.
자기 규제(self-regulation), 즉 사람이 어떻게 그들의 행동을 규제 할 것이냐 하는 것 역시 사회학습이론의 중요한 특징이다. 자기 규제에서는 자기 관찰, 판단, 자기 평가가 중요시 된다. 자기 규제의 과정에 있어서 자기 평가와 자아 개념의 역할 등에 대해서 얘기한다.
2장. 역할이론 역할이론(role theory)은 개인이 사회적 과정을 통하여 기능적 구성원이 되는 것을 설명하려는 것으로, 사회적 요소를학습하는 것은 타인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가정함으로써 사회화 과정이 진행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스포츠 집단은 각 조직에서 역할이 뚜렷하게 정해져 있다. 선수와 코치의 역할이나 경기 중에는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조화를 꾀하고 있다. 야구를 통해 보면 팀내에서 자기 역할을 수행하며, 팀 동료와의 관계, 타협, 문제해결 등을 통한 경험들은 중요한 사회화 과정의 기능을 가진다.
3장. 준거집단이론 준거집단이론(reference group theory)은 판단이나행동의 기준으로 삼는 집단을 말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누구나 준거 집단의 표준에 따르고자 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스스로 어떤 집단이나 타인에게 적응하고, 이들의 행동 . 태도. 감정등을 자신의 행동이나 태도, 감정 형성을 위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는 준거의 척도로 삼는 다는 것이다. 준거집단은 몇 가지 특징을 갖는데, 먼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려 할 때 평가기준을 제시해준다. 준거 집단의 선택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준거 집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 박탈감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데 이것은 비교집단을 어떤 집단으로 삼느냐에 따라 상대적으로 경험되는 것 이라는 것이다.하나의 준거 집단이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집단에 속한 구성원이 어느정도 동일시 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10 예제) 그러면 3가지 이론이 실제로 어떤 방법으로 적용되느지를 논문 한가지를 통하여 간단히 조명해 보기로 하자. 동료교육에 의한 댄스 프로그램이 소외아동의 학교 생활에 미치는 영향 ‘ 친구들에게 소외되는 학생(친구들은 “왕따”라 부른다.) k 군은 서울시 강남구 d초등학교에 6학년으로 재학중인 소외아동이다.11세의 k군은 신경계이상으로 인한 행동장애 증세를 갖고 있다. 초등학교4학년(10세) 부터는 양팔을 쳐들며 한쪽무릎을 굽히는 증세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신경계이상은 평상시엔 발견되지 않지만 자신에게 주의가 집중될 때에 나타나게 된다. k 군은 체육 수업을 제외한 모든 학과 수업이 정상적이었으며 체육 수업에서도 정교한 동작이 요구되는 운동이나 협응력이 요구되는 운동을 제외 하면 정상적인 참여가 가능하였다. 학업성적은 상위권이었으며 특히 컴퓨터와 수학과목에 특출한 성적을 나타냈다. 급우들이 평가하는 k 군은 극도로 이기적이라는 평가와 잘난 척을 한다는 것이다. 특히 컴퓨터를 잘 알고 있으며 많은 게임이 있으나 함께 게임을 하지 않고 우위성만 자랑하여 많은 학우들로부터 소외를 당하였다. 짝이 되겠다는 여학생도 없고 등 , 하교 길이나 휴식시간에도 혼자 있는 경우가 많았다. 짝이 없는 심각한 문제 중에 하나는 수업중에 심하게 다리를 떠는 습관적인 행동과 수업중에 크-큭하는 목메인 소리를 내는 일이 있기 때문이었다. k 군에게 힙합댄스 프로그램을 적용한 가장 큰 이유는 k 군을 도울 수있는 급우들이 힙합댄스에 흥미를 갖기 때문이었다 , k 군에게 힙합댄스를 가르치는 방법으로 친구들에 의한 교육하는 친구교습방법을 사용하였다. k 군과 함께 힙합댄스를 연습하는 친구들은 8명이며 이 가운데 4명은 k 군을 포함한 친구들을 교대로 지도하였다. 힙합댄스를 배우는 과정에서 친구들과 교우 관계가 형성 될수 있고 , 공연을 통해 k 군의 이미지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프로 그램 참여 이전과 참여 이후에 k 군의 학급 생활태도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느껴졌다. 특히, 남학생들은 k 군의 생활 태도가 프로그램 참여이후 크게 높아졌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k 군의 변화를 여학생들은 크게 느끼지 않았다. k 군의 생활 태도 변화에 관한 성별 차이는 k 군에게 적용된 힙합댄스 프로그램은 남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종목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적용한 친구에 의한 교육방법이나 k 군 주위에 엘리트 집단이 나타나 k 군을 돌봐주는 듯한 광경은 남학생들은 큰 관심거리가 되었지만 여학생들에게는 하찮은 일로 보였으리라고 사려 된다. 양적연구결과 이 연구에서 k 군의 학급생활 태도에 관한 이미지는 k 군에게서 느껴지는 긍정적이고 선량한 이미지를 강화 시킬 때 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연구에서 엘리트 친구집단의 이용 및 힙합댄스가 인기가 높다는 것은 생각하였으나 남학생에게만 인기가 높다는 사실을 고려 하지 않았다. 공연을 통하여 여학생에게 인기가 생길 것이라 생각하였으나 공연이 일부 여학생에게는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 하였다. 차후에는 성별의 차이나 부정적인 감정 유발에 대하여 고려해야 할 것이다.“
11.
스포츠 사회화이론에의 사례 접목
첫째 사회학습이론 처럼 강화된 것은 급우들에게 배우면서 함께 어울리고 자신의 우월감만 내세우는 것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함께 연습 후 음식 사먹기 영화보기 등을 통하여 이루었고 친구들을 통한 코칭행동으로 인하여 빠르게 힙합댄스를 습득하여 공연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또 엘리트 친구들과의 잦은 교류로 친구들의 동작을 모방하며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확립해 나가기 시작 하였다.
둘째 역할이론은 친구들과 힙합을 함께 하며 어울리며 배우는 피교육자와 교육자의 역할로 K 군과 엘리트 학생들 모두 유기체 적인 사회화를 조금이나마 경험 했으리라 사려된다.
셋째 준거 집단 이론은 K 군의 모델링이 된 인기 있는 엘리트 학생들이 모델이 되어 이기적이고 우월감을 내세우려고 하는 모습들이 많이 감소하고 엘리트 학생들과 동일시 되며 점차 나은 생활 태도를 가졌다.
총론 이 연구의 강점은 사회화를 돕는 프로그램으로 기획 되었고 또한 친구코칭 방법등 또래간 상호작용에 의한 학습의 극대화등 다양한 시도가 좋았고 거기에 스포츠라는 자신감 획득 기회가 많은 연구기제와 양적연구에 의한 신뢰도 ,타당도,가 높은 점이 명료해 보여서 좋았다.
맹점은 연구자가 적은 대로 성별에 따른 취향 고려 그리고 부정적 정서 의 고려 와 더불어서 행동주의입장에서 보는 사회화만이 아니라 신경계의 작은 이상이 틱장애 처럼 약간의 행동장애를 겪으며 성장했을 K 군의 정서적 자아 존중감 이나 잘못 고착된 사회화 (잘난체, 우월감등- 그것은 부모의 자녀 양육 패턴에서 기인 했을 수도 있고 또는 자신의 핸디캡에 대한 방어기제, 아니면 어린시절의 애착장애로 인한 정서장애 그도 아니라면 선천적 유전적인 기질 일텐데) 에 대한 원인분석 부분이 세가지 이론만 으로는 해명하기 힘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오히려 질적연구법으로 면접(가족) 및 상담등을 통한 좀더 많은 사전 검사와 K 군의 정서상의 문제를 연구자에게 전이해서 원인을 명확히 좁힌 후에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했다면 더 많은 해결점을 찾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12. 참고문헌 강신욱 (1998). 운동선수 신체적 학태에 대한 실태 조사. 한국 체육학회지, 37(2) 31-42 김병준 ,김정수 (1998)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이해(2):스트레스 요인)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9(2), 33-50 디지틀 조선일보(1996년2월11일) 만나봅시다 -유영주 선수 이수원외 (1992). 심리학-인간의이해-. 서울 :정민사 함정혜(1997) .중 고등학교 운동선수의활동 및 체벌실태 연구.한국체육학회지,36(4)143,162.
스포츠 심리학의 이해 전청희, 김병준 삼성경제 연구소 Bandura & Walters, 1963, 김성희 외 재인용 홍순정, 1997 김성희 외 1998 송길연 외2001 박찬옥 2002, 유아의 사회적 능력 형성 유아교육학술대회(한국어린이육영회) 한국 유아체육 학회지 제1권 제1호 2000년 2월 PP 33-50 장경호,정경수 동료교육에 의한 댄스 프로그램이 소외아동의 학교 생활에 미치는 영향 Allison, M. G.,& Ayllon, T.(1980).behavioral coaching in the development of skills in football, gymnastics, dan tenni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3, 297-314 Buzas, H. P.,& Ayllon, T.(1987) Differential reinforcement in coaching tennis skills. Behavior Modification, 5,327-385 Horn, T. S. (1987) The influence of teacher-coach behavior on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D. Gould &M. Weiss (Eds.), Advances in pediatric sport science (V ol 2) (pp. 121-142). champaign, IL Human Kinetics. Martin, G.l., & Hrycaiko, D.(1983). Effective behavioral coaching: What's all abou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5, 8-20 McKenzie, T.L. &Rushall, B.S.(1974) Effects of self-recording on attendance and performance in a competitive swimming training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7,199-206 Orlick, T.D., & Botterill , C.(1975).Every Kid can win. Chicago Nelson-Hall. Siedentop, D. (1980). The management of practice behavior .In W.F. Straub (Ed)., sport psychology: An analysis of athletic behavior. Ithaca. NY: Mouvement Publications Skinner, B.F.(1953). Science and human behavior. N.Y.: Macmillan. Smith, R., Zane, N Smoll, F., & Coppel, D.(1983) Behavioral assessment in youth sports: Coaching behaviors and children's attitud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5, 208-214 Smith, R.E, & Smoll, F.L.,(1983) Psychological stress in youth sports: Sources, effect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N,J. Smith (Ed). Sports medicine: Health care for young athletes .Evanston, I.L: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mith, R.E, & Smoll, F.L.,&Curtis, B.(1979) coach effectiveness training :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o enhancing relationship skills in youth sport coache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 59-75 Smith, F.L., & Smoll, R.E ,(1987). sport psychology for yoth sports. Washington, DC: National Federation for Catholic Youth Ministry. Smith, F.L., & Smoll, R.E .Curtis,B., & Hunt, E,(1987).Toward a dimensional model of coach-player relationships. research quarterly,49, 528-541 Weinberg, R.S., & Gould, D.(1995). Foundation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Champaign, IL : Hunan Kinetics.
|
첫댓글 위의 문제 정답을 1번 ---- 2번---- 3번 ---... 이렇게 적어 보시고요 아 그리고 문제의 답은 두개 일 수 있습니다. 열공하세요~~ 한번에 정답을 다 맞히신다면 아주 정확히 이해 하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