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쯔강돌고래科 Lipotidae
◇ 양자강돌고래 : Lipotes vexillifer Miller
► 외국명 : (영) Baiji, Peic’hi, Chinese River Dolphin, Whitefin dolphin, (일) Yousukoukawairuka (ヨウスコウカワイルカ)
► 형 태 : 크기는 전장 2.3~2.5m, 체중 135~230kg 정도이다. 몸이 체색은 대체적으로 푸른 빛을 띄며, 등쪽은 옅은 회색에 배 부분은 흰색을 띄고 있다. 등지느러미는 다른 돌고래와는 다르게 조금 더 작았다. 생김새는 아마존 강에 사는 아마존강돌고래와 비슷하다. 가늘고 긴 부리의 끝이 약간 위로 향했고 위턱 뼈 융기의 발달과 눈이 거의 퇴화했으며 초음파로 물체나 먹이를 확인한다. 이는 각각 30개~36개이다. 가슴 지느러미의 뼈는 사람의 손과 비슷하다. 위는 4실로 되어 있는데 식도 위는 없다.
► 설 명 : 실러캔스와 함께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렸다. 양쯔강 돌고래가 양쯔강에 살기 시작한 것은 2천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멸종한 동물이기 때문에 양쯔강에 가도 이 돌고래를 보기는 힘들다. 먹이를 사냥할 때를 제외하곤 보통 2~6마리의 작은 무리를 지어 이동한다. 한 번에 7분 정도 잠수하여 2월~4월 사이에 한 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임신 기간은 10개월~12개월이며, 막 태어난 새끼의 몸길이는 평균 1m 미만, 몸무게 4kg 정도이다.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에 최초로 양쯔강 돌고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이때 집계된 숫자도 고작 400마리였다. 1999년 조사 결과는 더욱 절망적이어서 13마리만 집계되었으며, 마지막 발견은 2004년 8월에 있었다. 2006년 중국 정부는 외국 과학자들까지 동원하여 구성된 50여명의 학자들을 동원해 돌고래들을 수색하기 위한 6주 간의 프로젝트에 착수했으며 이는 멸종위기종 동물을 보전하기 위한 영국의 EDGE 프로그램의 지원도 받았다.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2007년 8월, 중국 정부는 양쯔강 돌고래가 멸종되었다고 공식 선언했다. 중국 정부의 주장에 따르면, 2006년부터 50여 명의 유명 학자들이 여러 차례 조사했으나 결국 야생 개체는 멸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싼샤댐 건설과 수질 오염으로 인한 장강 생태계 파괴로 개체수가 급감하다 2004년 8월의 발견을 끝으로 이 종은 실질적으로 멸종을 맞은 셈이 되었는데, 확실히 멸종한 것이 맞을 경우 양쯔강돌고래과(Lipotidae)가 완전히 멸종함은 물론 1974년에 마지막 확인 개체가 살해당해 멸종한 바다사자 이후 30년 만에 수생 대형 포유류의 멸종을 맞은 셈이 되며, 최초로 잘 연구된 고래下目의 종이 인간 활동에 의해 멸종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 종의 멸종은 칼철갑상어(Acipenser dabryanus)와 중국주걱철갑상어(Psephurus gladius)의 소실과 더불어 양쯔강 생태계의 쇠퇴를 증명하는 매우 대표적인 예시가 되었다.
► 분 포 : 중국의 양자강 및 부춘강 하류에만 분포한다.
► 비 고 : IUCN 적색 목록에서 멸종이 아닌 심각한 멸종위기(CR) 등급으로 지정됐다. 오늘날까지도 여러 곳에서 목격담이 많다는 것이 절멸 등급이 아닌 이유이지만 과학자들은 사실상 멸종이거나 일부 개체가 살고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다만 양쯔강 상괭이를 잘못본 거라는 주장도 있다.
► 참 고 : 기원전 3세기경에 쓰여진 중국 사전인 『이야아』에 요우스 황돌고래에 대한 기술이 있으며, 당시 서식수는 약 5,000마리로 추정되고 있다.중국 전통 이야기에서 양자강돌고래는 사랑하지 않는 남자와의 결혼을 거부해 가족에게 익사한 공주의 환생으로 묘사된다. 또한 평화와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져 장강 여신, 즉 장강 여신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