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심혈관질환의 증상과 예방,
혈압과 헌혈의 관계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사망원인 1위인 심혈관질환!
심혈관질환은 추운 날씨나
기온이 급격하게 변하는 환절기에 주로
발생합니다.
심혈관 질환으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심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질환과 증상
"혈관이 막혀 문제가 생기는 질환 -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내부 지름에
콜레스테롤 등 이물질이 쌓여 나타 납니다.
신체활동으로 인해 심장에
많은 영양분과 산소가 필요게 될 때,
좁아진 혈관으로 인해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혈액의 흐름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가슴이 조여 오는 듯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심근경색증은 순환장애로 인해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위험한 질환
입니다.
관상동맥벽에 눌어붙어 있던 기름 찌꺼기가
혈액과 만나면 혈전이 형성되는데
바로 이 혈전이 심장과 연결된
혈관을 틀어막는 질환입니다.
흉골부에 격통을 느끼게 되며
가벼워도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됩니다.
또한 구토와 배변을 동반할 수 있으며
중증일 경우 발병이 내 24시간 이내에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되는 고혈압
최고혈압이 140mmHg 이상,
최저혈압이 90mmHg 이상인 때를
고혈압이라고 말합니다
(최소 2회 이상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
고혈압은 전신에 걸쳐
심혈관 합병증을 불러오는 질환으로,
혈압 측정 전까지 명확히
확인이 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혈압 상태를 방치할 경우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뇌출혈 등의
심혈관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불규칙한 심장리듬박동 부정맥
우리의 심장은 운동, 흥분, 발열 등
상황에서 맥박수는 변하지만
심장 박동의 리듬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 심장 박동의 리듬이
불규칙적으로 빨라졌다 늦어졌다 하는
불규칙적인 상태를 부정맥이라고 합니다.
부정맥은 심근경색, 고혈압 등의 심혈관
질환이나, 담배·술·카페인, 비만,
수면 무호흡증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합니다.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 나트륨은 줄이고 채소는 충분히
나트륨을 적게 먹는 것만으로도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채소를 충분하게 섭취하는 게 좋은데,
채소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섬유소 및
각종 항산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심혈관 질환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규칙적인 운동
비만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더욱 높입니다.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 습관은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HDL 콜레스테롤의 혈중 수치를 높여주고
심혈관 질환 관련 사망 위험을 줄여줍니다.
운동을 할 때에는 심장에 무리가 되지 않는
수준에서 적절한 계획을 세우는 게 좋습니다.
■ 금연과 금주
담배는 혈압을 높이고
뇌졸중 발생의 주요 원인이므로
금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술을 마시게 되면
초기에는 혈관 확장에 의해 혈압이 감소
하지만, 각성 상태가 되면 혈압이 상승
하고 맥박수가 증가하여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과음은 피하도록 합니다.
■ 외출 시 마스크 착용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미세먼지가 심혈관 질환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특히 10㎛ 이하의 작은 먼지들은
신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 몸에 큰 위협이 됩니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에 문제가 있거나,
혈압약을 먹었을 때 헌혈이 가능할까요?
헌혈이 제한되는 경우
혈압 )
수축기 혈압 : 10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 90mmHg 미만 또는 180mmHg 이상
맥박 : 1분간 50회 미만이나 100회 초과
만약 혈압약을 복용했다면 혈압이 정상 범위
이고 합병증이 없으면 간호사 상담 후
헌혈 가능 합니다.
지금까지 심혈관질환의 증상과 예방과
헌혈과 혈압 관계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건강인 거 아시죠?
심혈관질환 예방 생활습관으로
건강 챙기시길 바랍니다!
[참고]
1) 서울의료원 – 심혈관환아내
https://www.seoulmc.or.kr/pms/contents/contents.do?contseqn=371&isSpecializedCenter=Y&decorator=pmsweb&menucdv=01020404&departmentCode=H_CARC
2)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static/alim/paper/oldpaper/202111/sub/03.html
3)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심혈관질한 예방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92499
4)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5946&cid=58572&categoryId=58572
5) 1365 자원봉사포털 - 헌혈 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