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재성(財星)편
재성(財星)은 내가 사회궁(社會宮)을 극하는 자리입니다. 그래서 식상(食傷)이 의식주와 관련된 생존(生存)의 개념이라면 재성(財星)은 소유(所有)에 대한 지배(支配)의 개념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월지가 재성(財星)인 사람은 재화(財貨)를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측면에서 인생을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그러므로 월지의 재성(財星)은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내 재물을 다루는 사람인가 아니면 남의 재물을 다루고 고정수입을 얻는 사람인가로 분류가 됩니다. 만약 월간의 재성(財星)이 있는데 년간에 정관(正官)이 있어서 재생관(財生官)이 되면 이 재성(財星)은 관성(官星)에서 나오는 재물이므로 남의 재산을 관리한다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재물이 관청에서 나온다는 것은 나는 고정급여자로 생활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만약 정재(正財)라면 고정된 수입이 들어오고 편재(偏財)라면 내가 일한 만큼 벌어들이는 성과급(成果給)이 됩니다. 또한 월지의 재성(財星)이 있는데 월간에 비견(比肩)을 함께 가지고 있다면 남의 재산을 관리하는 청지기같은 사람이고 월지(月支)와 일지(日支)에도 재성(財星)이 있게 되면 남의 재산을 관리하다가 내 자산(資産)을 모아 독립하는 사람이라고 보면 됩니다. 만약 월지에 재성(財星)이 있는데 다시 시지(時支)에 편재(偏財)가 있게 되면 고정수익이 있으면서 때때로 재테크에 성공하여 부수입을 올리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식신생재(食神生財)가 되면 내가 직접 영업활동을 하여 재물을 벌어 들이는 사람이고 재생관(財生官)이 되면 다른 사람들이 식신생재(食神生財)하여 벌어 논 재물(財物)을 관리하는 사람이며, 이런 재화(財貨)들을 적합하게 소비하여 관성을 키우고 유지하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재성(財星)은 자연히 할 일이 많은 것이고 내가 극하는 게 많으면 돈이 들어오게 됩니다. 만약 식상(食傷)을 가진 재성(財星)이면 제조업 등의 부가가치(附加價値)적인 사업으로 돈벌이가 되는 것이고 인성(印星)을 가진 재성(財星)은 학문을 연마하여 문서화 된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혹은 정보 공유를 통해 인터넷 유통으로 재물을 벌게 됩니다. 다만 재성(財星)은 내가 극하는 인자(因子)라 적당해야 좋습니다. 만약 재성(財星)이 많아 내가 극할 일이 많게 되면 오히려 수(囚)가 되는 것입니다. 수(囚)라는 것은 곧 일간이 갇힌다는 의미이므로 돈은 되겠지만 몸이 허약하면 내가 감당할 수 없는 것입니다. 도리어 내가 갇히는 신세가 되어 남의 재물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재다신약(財多身弱)이란 용어가 등장했던 것입니다.
【예시】이 사주에서 월지(月支)의 기축(己丑)은 내가 사회궁을 극하는 자리이니 재성(財星)이 된다. 그러므로 재물은 반드시 소유권이 발생하는데 이 재물은 년간(年干) 정관(正官)을 재생관(財生官)하였으므로 남의 청탁(請託)재물을 관리한다고 보면 된다. 왜냐하면 년간(年干)의 정관(正官)은 국가 공인된 사회조직을 말하는 것이므로 그 단체에서 입출금(入出金)으로 내려오는 공동의 자산(資産)을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월간의 정재(正財)와 시간의 편재(偏財)를 관리하였는데 은행대출업(銀行貸出業)에 종사(從事)를 하고 있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편재 | 일간 | 정재 | 정관 | 六 神 |
戊 | 甲 | 己 | 辛 | 天 干 |
|
| 丑 |
| 地 支 |
|
| 정재 |
| 六 神 |
자녀 | 배우자 | 사회궁 | 국가궁 | 宮 星 |
【예시】 이 사주의 주인공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대표이다. 매우 총명하여 을사(乙巳)대운 컴퓨터공학 석사학위를 받고 마이크로소프트에 입사해 능력을 인정받고 2014년에 제 3대 CEO가 되었다. 이 사주는 월지 정관(正官)에서 무토(戊土) 정재(正財)가 투출했다. 재관격(財官格)을 구성하였는데 년지(年支)에 미토(未土) 편재(偏財)가 있다. 또한 년간(年干)에 정화(丁火) 식신(食神)으로 식신생재(食神生財)가 되고 있다. 이것은 년간(年干)의 식신(食神)이 재성(財星)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찍부터 자신의 식신적 재능을 인정받아 공공(公共)의 재화(財貨)를 생산하는데 기여(寄與)하는 사람이 되었다. 또한 미토(未土)편재(偏財)가 정관(正官)을 재생관(財生官)하였므로 그의 재능이 회사의 성장에도 이바지하는 공(功)이 상당하였다. 그러므로 일지궁의 비견(比肩)은 통솔을 의미하는 바, 정관과 비견을 묘신(卯申)암합(暗合)하는 48세에 비견(比肩)들을 통솔하는 CEO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 일간 | 정재 | 식신 | 六 神 |
| 乙 | 戊 | 丁 | 天 干 |
| 卯 | 申 | 未 | 地 支 |
| 비견 | 정관 | 편재 | 六 神 |
| 장성 | 천을겁살 | 화개 | 宮 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