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을 길게뚷고 투명 아크릴 붙이시는 번거로움 보다는 깡통 아래 옆구리에 구멍을 하나 내고 거기에 투명호스를 낑구고 투명호스방향을 위로해서 하시면 투명호스에 유량의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투명호스에 눈금을 표시하셔도 되구요... 예전에 석유보일러 연료통에 투명호스로 유량을 파악하도록 되어 있더군요...
안타깝게도 위에 있는 어떤 것도 등유에 대한 내유성이 떨어집니다. ㅜㅜ 방법은 지난번 공구한 고무판중 얇은 1T 짜리를 개스켓 형태로 태두리에 걸치게 잘라주신 다음 가스켓안쪽에 바싹 순간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이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바깥쪽면은 내유성이 있는 NBR 고무가 등유가 접촉하는 반면 안쪽은 고무팩킹으로 접착제가 등유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구조입니다. ^^*
Loctite5699, 5902 같은 Sealant 가 내유성이 있어 기름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Gasket 대용으로 도포하여 사용되어지며 어느정도 접착력이 있어 두 부품을 붙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두 부품을 볼트로 결합시켜줘야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미도님께서 추전하신 방법이 최선일 것 같습니다.
첫댓글 퀴즈입니까? 상품있어요?
몰라서 묻는것임.
상품은 오프에 만나서 전달합니닼ㅋ
거머리님의 좋은 현장경험이 기대 됩니다~
정확히 어떤 곳에 어떤것을 붙이실 것인지 먼저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경험은 없지만 순간접착제, 본드, 글루건은 오일성분과 만나면 희석되는 성질이 있을 것이고 실리콘 성분은 오일과 친화력이 없기 때문에 내유성이 있을것으로 사료 됨......더 조사 해보면 되는데 제가 조사하기전에 고수분들의 많은 의견이 나올듯.....합니다.
도료의 실리콘 성분햄마톤)은 다른 락카와 절대 용해 되;지 않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선배님. 전 콜맨 가솔린 랜턴 내부에 실리콘성분의 코킹을 발랐다가, 랜턴 하나 날린 경험이 있습니다. 휘발유 성분에 코킹이 녹아서 제네레이터를 막아 버립니다. ㅜㅜ
참 어려운 질문입니다. 초등학교 문제인가요? 에혀
석유에 녹는 제질이 있다라는 사실을 얼마전에 게시물을 통해서 알게 되었는데... 그 이후로는 따지게 되더라구요.
깡통을 좁고 길게 뚫고 투명아크릴을 붙여서 옆에는 눈금을 그린 후 주유기로 사용할겁니다. 누유가 안되게 아크릴 빙 둘러서 무런가를 발라주어야 하는데 석유에 안녹는 접착제를 찾고 있습니다.
깡통을 길게뚷고 투명 아크릴 붙이시는 번거로움 보다는 깡통 아래 옆구리에 구멍을 하나 내고
거기에 투명호스를 낑구고 투명호스방향을 위로해서 하시면 투명호스에 유량의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투명호스에 눈금을 표시하셔도 되구요...
예전에 석유보일러 연료통에 투명호스로 유량을 파악하도록 되어 있더군요...
주유호스나, 눈금호스는 깡통에 구멍을 내서 거기에 고무 패킹을 쓰시면 될듯 싶습니다...
안타깝게도 위에 있는 어떤 것도 등유에 대한 내유성이 떨어집니다. ㅜㅜ
방법은 지난번 공구한 고무판중 얇은 1T 짜리를 개스켓 형태로 태두리에 걸치게 잘라주신 다음 가스켓안쪽에 바싹 순간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이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바깥쪽면은 내유성이 있는 NBR 고무가 등유가 접촉하는 반면 안쪽은 고무팩킹으로 접착제가 등유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구조입니다. ^^*
에국... 내유성있는 접착제가 흔치 않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Loctite5699, 5902 같은 Sealant 가 내유성이 있어 기름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Gasket 대용으로 도포하여 사용되어지며 어느정도 접착력이 있어 두 부품을 붙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두 부품을 볼트로 결합시켜줘야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미도님께서 추전하신 방법이 최선일 것 같습니다.
우리카페에도 박사님이 있었군요..
시간이 걸리더라도 꼭 만들고야 말테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