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횟 수 | 날 짜 | 시 간 | 강 의 내 용 |
1 | 5/10(수) | 10:00~13:00 | 오리엔테이션 |
여성과 인권 | |||
2 | 14:00~17:00 | 여성주의, 섹슈얼리티 강의 | |
3 | 5/12(금) | 10:00~13:00 | 여성폭력과 여성주의 상담 |
4 | 14:00~17:00 | 우리사회의 성문화와 성폭력 | |
5 | 5/17(수) | 10:00~13:00 | 생애주기별 성의식 점검 |
미디어와 성문화 | |||
6 | 14:00~17:00 | ||
성폭력관련법의 이해 및 한계와 법률구조 | |||
7 | 5/19(금) | 10:00~13:00 | |
8 | 14:00~17:00 | 데이트 폭력, 스토킹 | |
9 | 5/24(수) | 10:00~13:00 | 성폭력 사건의 형사처리 과정 |
10 | 14:00~17:00 | 성폭력피해의 의료적 지원 | |
11 | 5/26(금) | 10:00~13:00 | 청소년 성문화의 이해 |
12 | 14:00~17:00 | 아동학대의 실태와 대응방안 | |
13 | 5/31(수) | 10:00~14:00 | 국가에 의한 여성폭력-정대협 수요시위 |
14 | 6/02(금) | 10:00~13:00 | 아동,청소년 성폭력의 실태 |
15 | 14:00~17:00 | 성폭력 상담소의 지원체계 | |
16 | 6/07(수) | 10:00~13:00 | 직장내 성희롱의 이해와 구제과정 |
17 | 14:00~17:00 | 여성주의 자기방어훈련 | |
18 | 6/09(금) | 10:00~13:00 | 장애인 성폭력 상담현황과 지원방법 |
19 | 14:00~17:00 | 성매매와 여성인권 | |
20 | 6/14(수) | 10:00~13:00 | 폭력예방문구 제작 및 캠페인 참석 |
21 | 14:00~17:00 | 여성인권영화 | |
22 | 6/16(금) | 10:00~13:00 | 성적소수자에 대한 이해 |
23 | 14:00~17:00 | 동성간 성폭력상담 | |
24 | 6/21(수) | 10:00~13:00 |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와 트라우마 |
25 | 14:00~17:00 | 성폭력 가해자를 말하다 | |
26 | 6/23(금) | 10:00~13:00 | 성폭력의 이해와 지원 및 쉼터의 역할 |
27 | 14:00~17:00 | 친족성폭력에 대한 이해와 지원방법 | |
28 | 6/28(수) | 10:00~13:00 | 성폭력을 직면하고 다시 사는 법 |
29 | 14:00~17:00 | 여성인권운동과 폭력추방운동의 역사 | |
30 | 6/30(금) | 10:00~13:00 | 상담원리와 기법을 통한 상담실습 |
31 | 14:00~17:00 | 상담원의 역할과 자세 / 수료식 | |
32 | 미정 | 3시간 | 내담자 되어보기 |
33 | 미정 | 3시간 | 법원참관 |
프로그램(100시간) 강의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