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전기자동차 한국 상륙, 렉서스 UX 300e 試乗記.
도요타의 변화된 글로벌 친환경차 전략을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체감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도요타 고급차 브랜드 「렉서스」 가 한국 시장에 처음으로 전기자동차를 출시했
기 때문이다.
이번 렉서스가 한국시장에 낸 차종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도요타의 친환경차 시장 전략
부터 뒤돌아 볼 필요가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제조사 도요타는 친환경차 시장에서 타사와는 다른 전략을 보여 왔다.
자동차 업계가 순수 전기자동차(EV) 개발에 주력하는 사이 도요타는 하이브리드 차를
중심으로 전동차 전략을 추진해 왔다.
실제 지난해 도요타 렉서스가 세계 시장에서 판매한 차 중 하이브리드카(265만 台)가
27%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에 판매한 EV는 1만 6000台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도요타도 기존의 전략을 수정하는 모습이다.
일본 도요타 본사는 2030년까지 8兆円을 투입해 30종의 전기차를 출시해 판매 규모를
350만 台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지난해 말에 제시했다.
🔹 렉서스 UX 300e 試乗記
한국에서 이번에 발표한 UX300e는 도요타 브랜드 최초의 전기차다.
17일 제주특별자치도 도요타 렉서스 제주 전시장에서 열린 미디어 시승회에서 렉서스의
UX300e에 시승했다.
제주 전시장에서부터 서귀포市까지 78키로의 거리를 주행했다.
UX300e는 전형적인 렉서스 디자인을 계승했다.
실을 감는 것과 같은 그릴의 양측 헤드램프는 샤프한 인상을 주었다.
렉서스 상징인 L자형 주간주행등 때문이다.
측면 디자인도 앞에서 뒤로 갈수록 캐릭터 라인이 상승해 전체적으로 역동적인 이미지다.
다만, 실내 공간은 최근의 전기차가 제공하는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보다는 전통적 내연기
관차의 디자인을 선택했다.
UX300e는 기존의 하이브리드 모델 UX250h를 기반으로 제조한 소형 전기차다.
시승 중에는 감탄의 연속이었다.
이날 시승은 커브가 많은 한라산의 산길을 거쳐 제주 북쪽 해안에서 남쪽 해안으로 향한
코스였다.
대부분의 도로가 산길이어서 코너링의 연속으로 경사도 큰 편이었다.
아담한 차체여서 민첩한 주행 감각이 있고 급커브 구간에서도 운전자의 뜻대로 핸들링이
가능하다.
핸들링에 관해서는 BMW 그룹 산하의 브랜드 MINI JCW와 감각이 유사했다.
UX300e는 최고출력이 204마력, 최대토크는 30.6키로 .m다.
아쉬운 것은 주행거리다.
54.35KWh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UX300e는 1회 충전으로 주행거리가 233키로다.
현대 아이오닉 5 (429키로)와 기아 니로EV(401키로)등 이미 국내에서 판매 중인 대중적
전기차와 비교하면 주행거리가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이번에 국내에 도입된 UX300e 는 이미 2019년 11월에 유럽 등에서 공개된 모델이지만
당시에 등장했던 신차는 주행거리가 평균 200키로 전후였다.
UX300e 공개 판매 가격은 5490만원이다.
국가지방자치체가 제공하는 전기차 보조금을 최대한 받으면 4500만원 안팎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 ハイブリット전기차.
コンパクト 소형, 아담한, 콤팩트, 휴대용,
トルク 토크.
振り返る 뒤돌아보다, 대체하다, 돌이켜 보다.
異なる 다르다.
* 한라산 산길이라면 5.16도로에서 주행했네요.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만든 도로인데 급커브가 많고 경사가 심하지요.
안개도 심하고 노루가 갑자기 튀어나와 교통사고도 많은 도로입니다.
녹음이 우거진 때나 단풍이 물들 때 한 번씩 갑니다만 초보운전은 위험한 지역이죠.
제주도는 전기차 충전소가 어디든 있으니 편리하기도 합니다.
UX300e 는 주행거리가 233키로여서 제주도 일주하면 다시 충전해야하는 단점은
있네요.
1990년대 한국에서 르망을 타고 다니다가 일본에서 도요타를 탔더니 승차감이 좋고
조용하고 착 가라앉는 느낌이 정말 좋더군요.
"역시 일본 자동차는 좋구나" 했었는데 이제는 한국 자동차의 성능도 세계 선두 자리에
올랐습니다.
타이거 우즈가 탔던 제네시스도 급커브 교통사고로 내리막에서 몇 번 굴렀지만 타이거
우즈는 생명을 건졌지요..
그후 제네시스 수출도 늘어나고 요즘은 블롬버그도 테슬라도 현대차에 호평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그래선지 현대차 주가도 2,3일 크게 오르던데요.
현대차나 기아자동차의 주행거리가 긴 것은 한국의 2차전지 배터리 산업이 우수하다는
증거일 겁니다.
테슬라에 납품하는 한국 기업도 많지요.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하는 수많은 기업이 있고 앞으로 자율주행차가 더 발전된다면
정밀 카메라 모듈 제조장치 특허를 취득한 한국 기업들의 수출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 경유값이 너무 올라(제주는 리터당 2240원) 전기차를 타는 게 훨씬 이익이죠.
40만원으로 한 달 주행했는데 요즘은 60만원 주유해도 한 달 빠듯합니다.
이젠 봉고나 트럭이 아닌 산뜻한 자동차 타고 싶네요.
도요타 UX300e는 아담하고 튼튼해서 여성분들의 운전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멋진 차를 타고 루이 암스트롱의 'What A Wonderful World' 를 들으며 노을지는
하이웨이를 달리면 얼마나 신날까요?
근데 어느 선배는 '이 노래는 호화 요트에서 칵테일을 마시며 붉게 타는 노을을
바라볼 때 듣는 노래' 라 하더군요.
"아하!!! 그렇구나!" 하며 웃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ㅎㅎ
첫댓글 호화요트..
아시는 선배는 멋쟁이 이신가봅니다.^^
긴글 해석 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배낭여행은 무리인 것 같고
크루즈라도 타고
여행 가고 싶네요.
미리 영어 배워둬야 할덴데...
기름값도 많이 오를고 물가가 자꾸 오르기만하니
참 여러가지로 어려운 세상이네요.
월급만 안 오르고
물가가 무섭게 뛰어 오르네요.
마트에서 몇 개 사지도 않았는데
보통 십여만 원 나옵니다.
앞으로도 인플레가 더 심각해질 것 같습니다.
서울은 비가 온다는데
여긴 매일 불더위로
밤에도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름철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