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설명에
삼각함수법 : 실효값 크기와 위상각을 사인함수와 코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표시
ex) I = I(cosθ + jsinθ)
복소수법 : 실효값의 크기와 위상각을 복소수를 시용하여 표시
ex) I = a(Icosθ) + jb(Isinθ)
라고 되어있는데
물론 복소수법에는 a와 b가 있는 차이가 있긴 하지만 설명만 보면
둘다 실효값이 크기와 위상각을 코사인, 사인 함수로 표시했고 둘다 복소수를 사용하였는데
무슨 차이인가요?....
첫댓글 (Icosθ) 이건 그냥 참고하라고 써 놓은거 같은데요. a는 Icosθ 를 계산해서 나온값이다 라고
와 맞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첫댓글 (Icosθ) 이건 그냥 참고하라고 써 놓은거 같은데요. a는 Icosθ 를 계산해서 나온값이다 라고
와 맞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