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인 천국인 나라”
'임영웅'이라는 가수의 콘서트 암표가 555만 원에 거래되었다고 한다.
파는 인간도, 사는 인간도, 정신 박약아는 아닌 것 같은데 어이가 없어 한숨이 나온다.
임영웅이란 가수는 TV조선에서 실시한 트롯트 콘서트에서 우승하여, 불과 2년 여만에 수백억을 벌었다고 알려졌다.
그 외 출연한 입상자들도 모두 돈방석에 앉았다고 한다.
임영웅의 1회 출연료가 1억 대를 호가하고, 그외 입상자는 수천만 원대이며, 그 중 중학생인 아이가 회당 출연료 2,000만원을 받는다는 보도에 기가 딱 찬다.
언제부터인지 이 나라는 연예인 스포츠 스타들이 천문학적인 돈을 버는 예능인 천국이 되었다.
물론 미국이나 유럽 또는 중국과 같은 큰 시장을 가진 나라에 비해서는 미흡하다고 하나, 나라의 규모나 시장 규모 등을 볼 때 이건 지나쳐도 너무 지나치다.
개인의 영광과 호사는 그렇다 쳐도, 대부분의 국민들 특히 열심히 사는 청년들의 꿈을 신산 조각내는 몰지각한 구조다.
가뜩이나 황금만능시대에 박봉에 열심히 살아가는 서민들에게는 지독한 '위화감'과 '좌절'을 주는 잔혹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이러다 보니 사회 각 분야의 누구를 막론하고 '한탕주의'가 만연해 있다.
다시 말해서 사회가 정상적으로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 오히려 한심하다는 핀잔을 듣는 사회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런 모든 부조리를 만든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기성세대들의 책임이다.
그들 면면을 보면 엄청난 부를 쌓아놓고도 외국인들처럼 '기부문화'조차 성립되고 있지 않다.
어쩌다 마지못해 보여 주기식 코끼리 비스킷 흉내만 낸다.
사회 각 분야는 물론 종교계까지 이 나라는 썩을 대로 썩었다.
오직 돈이라면 어떤 희생 심지어 살인도 불사하는 나라가 되어버렸다.
하루속히 이런 일확천금의 제도나 모순은 제도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많이 버는 사람에게는 세금으로 회수하고, 각계각층의 소외된 이들을 위한 기부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
앞으로 민주주의 '시장경제'가 지금 이와 같은 모순으로 계속 지속된다면, 젊은이들이 모두가 평등하다는 '무산주의'에 탐닉할 수도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빈부의 차이는 어쩔 수가 없다고 해도 정도 문제다.
지금 이 시점에서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공평한 부의 분배와 지나친 스타 위주의 무한정 축적은 반드시 합리적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지금 이 체제가 계속된다면 우리에게는 안 맞는 제도임을 알면서도 노동자 위주의 '개혁'이 일어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제도가 확립된 바람직한 사회가 되는 길은 언제나 정착하려나?!
이런 금전만능 세상에서 수많은 기업광고 제의의 유혹을 물리치고, “나는 운동선수 일뿐이다.”라며 그 제의를 모두 거절한 스물한살인 '안세영' 선수에게, 돈에 환장한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 그리고 재벌들까지 부끄러움을 느껴야 할 것이다!
- 받은 글 -
첫댓글 ㅡ꾸벅요.심하다.
햐ㅡ 1억출연료.
헉.티켙 료 가 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