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미센 Shamisen, 三味線, しゃみせん
샤미센은 일본 전통 현악기 중 하나로, 류트(lute) 족 중에서도 악기의 목 부분이 공명통을 관통하는 ‘스파이크 류트’(spike lute)로 분류된다. 악기의 구조는 서양 기타의 몸통에 해당하는 ‘도오’(胴)와 목에 해당하는 ‘사오’(棹), 그리고 ‘텐진’(天神)이라는 명칭의 머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 세 개의 현을 갖추고 있으며, 기타의 피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바치’(撥, ばち)를 사용해 현을 퉁겨 연주한다.
15~16세기경 페르시아 (전통악기 세타르)에서 일본에 전해진 이후 노래와 이야기를 공연하는 전통 예능 영역에서 널리 반주 역할을 했고, 그 밖에도 다양한 장르에서 폭넓게 연주되었다. 전문 연주자뿐 아니라 일반 민중에게도 친숙한 악기로 확산되었다.



1.샤미센
샤미센(三味線, しゃみせん)은 일본 전통의 현악기로 주로 현을 퉁겨서 연주하는 발현악기이다. 주로 사각형의 몸통(body)에 길게 뻗은 목(neck)을 장착한 구조이다. 이 때 목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리켜 배에서 젓는 ‘노’를 의미하는 ‘사오’(棹)라고 칭하는데, 일본에서는 이처럼 사오가 장착된 악기를 ‘유토’(有棹, ゆうとう) 악기라고 부른다.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자 형태의 ‘통’을 의미하는 ‘도오’(胴)라고 하는데, 주로 사각형의 편평한 목제 통의 양면에 개 또는 고양이의 가죽을 씌워 제작한다. 도오를 관통하는 사오에는 악기의 명칭(三味線)에서 짐작할 수 있듯 세 개의 현이 걸쳐 있다.
연주할 때에는 대부분 ‘바치’(撥, ばち)라고 부르는 은행잎 모양의 발목(撥木)을 손에 쥐고 현을 퉁긴다. 바치는 서양 악기인 기타를 연주할 때 사용하는 피크(pick)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에도시대(江戸時代, 1603~1868)까지 전하는 일본 근세 호가쿠(邦楽, ほうがく)에 해당하는 ‘지우타’(地歌, ぢうた), ‘소쿄쿠’(箏曲, そうきょく) 등의 장르에서는 샤미센을 ‘산겐’(三弦, 또는 三絃)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그밖에 오키나와 현이나 카고시마 현 아마미 군도 지역에서는 ‘산신’(三線, さんしん)이라고 칭하며, 아어(雅語)의 일종으로 ‘미츠노오’(三つの緒)라고 지칭하는 사례도 있다.
2. 샤미센의 역사
샤미센은 일본의 근세(近世) 초기에 해당하는 16세기를 전후해 등장한 것으로 알려지며, 일본 전통악기 중에서는 비교적 역사가 짧은 편에 속한다.
샤미센은 ‘도오’(胴, body)에 긴 ‘사오’(棹, neck)를 꽂아 넣은 형태의 ‘스파이크 류트’ 족에 해당한다. 이와 유사한 악기는 세계 여러 지역에 존재하고 있다. 참고로 일본 전통악기 중에서 샤미센과 같은 류트 족에 해당하는 ‘비와’(琵琶)는 사오와 도오가 일체화 된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엄밀한 의미에서 다른 계통으로 분류된다.

샤미센과 달리 도오와 사오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비와(琵琶)
샤미센과 유사한 구조로 타원형의 도오에 가죽을 씌우고, 막대 모양의 긴 사오를 연결한 스파이크 류트 족 현악기는 일찍이 고대 이집트 벽화에서도 유사한 형태가 발견된다. 그러나 이것이 샤미센의 직접적인 계보와 연관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중국 진나라(기원전 221~206) 시대에도 비슷한 형태의 악기가 전해져 ‘씨칭’(奚琴, xīqín)이 되었다고 하고, 이 악기가 중동으로 건너가면서 ‘라바브’(rabab)의 유래가 된 것으로 알려진다. 라바브는 이후에 중동과 페르시아의 세타르(setar, sitar)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페르시아 전통악기 ‘세타르’

중국의 싼시엔
페르시아의 전통악기로 전승되는 세타르는 ‘세 개의 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사실상 샤미센의 직접적인 조상에 해당하는 악기로 해석되는 이 악기는 중국에 전해지면서 싼시엔(三弦, sānxiàn)이 되었다.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현에 해당하는 ‘류큐왕국’(琉球王国, 1429~1879)은 중국과의 무역 과정에서 수입된 이 악기를 궁정음악에 채택했고, ‘산신’(三線, さんしん)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게 되었다. 오키나와 현에서는 현재까지도 샤미센을 가리키는 호칭으로 ‘산신’과 ‘샤미센’의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한다.
16세기 후반경 이 악기는 오사카의 사카이 시(堺市)에 전해지면서 본격적으로 개량되었고, ‘샤미센’으로 정착했다.
초창기의 샤미센으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1598)가 자신의 측실인 요도도노(淀殿, 1569?~1615)의 이름을 붙여 만들었다는 ‘요도’(淀)라는 샤미센이 현존한다. 외형이 매우 화려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서 현재의 샤미센과 거의 다르지 않은 형태이다.
외래 악기인 싼시엔을 일본 고유의 샤미센으로 개량하게 된 과정에는, ‘토도자’(当道座, とうどうざ)라고 하는 과거 일본의 맹인 남성 자치조직의 역할이 컸다.
토도자는 일찍이 9세기경 천황 가문 출신의 맹인 사네야스(人康親王)라는 인물이 산 속에 은거하며 자신과 같이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들을 모아 비와를 비롯한 전통악기와 시가를 가르쳤던 데서 유래하는 집단이다.
이들은 이후 오랜 세월을 거쳐 각 시대의 주요 예능을 전수하는 역할을 하며 조직을 키워 왔다.
싼시엔이 손가락 끝에 가짜 손톱(義爪, ぎそう)을 장착해 사용해 연주하던 방식을 개량하는 움직임 역시 토도자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들의 전문 영역 중 하나였던 ‘헤이쿄쿠’(平曲, へいきょく)는 비와의 일종인 ‘헤이케비와’(平家琵琶, へいけびわ)를 연주하면서 이야기를 낭독하는 형식의 장르였는데, 이 때 비와 연주에 사용하던 바치(撥)가 본격적으로 샤미센의 연주에 도입되었다.
또한 비와의 음색이 갖는 특유의 중후함과 극적 표현을 본래 가벼운 음색을 갖는 샤미센에 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토도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샤미센 연주에 사용하는 바치
특히 17세기에 활약했던 이시무라 켄교(石村検校, ?~1642)라는 인물은 샤미센을 개량해 예술음악으로 정착시키고, 지우타의 성립에 크게 관여한 맹인 음악가로 알려져 있다. ‘켄교’(検校, けんぎょう)는 옛 일본에서 맹인에게 수여되었던 최고의 벼슬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샤미센은 이처럼 폭넓은 표현이 가능한 악기가 되었고, 에도시대에 들어서는 샤미센으로 연주하기 위한 최초의 장르에 해당하는 지우타가 등장한다.
한편 전통 음악극의 대사를 이야기 형태로 낭송하는 ‘조루리’(浄瑠璃, じょうるり)에도 샤미센이 도입되어, 점차 샤미센 음악은 ‘노래’를 의미하는 ‘우타이모노’(歌いもの, うたいもの)와 ‘이야기’를 의미하는 ‘카타리모노’(語りもの, かたりもの)의 두 갈래로 크게 분류되기 시작했다.
또한 도시의 예술음악에서 유행가, 지방의 민요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된 샤미센은 이렇게 다양한 근세의 호가쿠(邦楽, ほうがく)를 이끌었고, 동시에 더욱 개량이 진행되어 일본을 대표하는 현악기로 정착하게 되었다.
아울러 샤미센은 일본음악사에서 일반 민중이 가까이 접할 수 있었던 악기 중 하나로, 19세기 전반기에 일본과 교류했던 네덜란드의 한 관료는 샤미센을 가리켜 ‘일본에서 가장 널리 연주되는 악기’라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참고문헌
기시베 시게오 외. 『일본음악의 역사와 이론』. 이지선 역주. 민속원, 2003.
호시 아키라. 『일본음악의 역사와 감상』. 최재륜 역. 현대음악출판사, 1994.
小島美子 外編. 『図説 日本の楽器』. 東京書籍, 1998.
三木稔. 『日本楽器法』. 音楽之友社, 1996.
“Setar.”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三味線.”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津軽三味線.”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琉球王国.”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三弦.”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当道座.”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琵琶.”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三味線のある生活 三萃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