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모데후서 2장>
1 내 아들아 그러므로 너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은혜 가운데서 강하고
2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내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
3 너는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병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
4 병사로 복무하는 자는 자기 생활에 얽매이는 자가 하나도 없나니 이는 병사로 모집한 자를 기쁘게 하려 함이라
5 경기하는 자가 법대로 경기하지 아니하면 승리자의 관을 얻지 못할 것이며
6 수고하는 농부가 곡식을 먼저 받는 것이 마땅하니라
7 내가 말하는 것을 생각해 보라 주께서 범사에 네게 총명을 주시리라
8 내가 전한 복음대로 다윗의 씨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9 복음으로 말미암아 내가 죄인과 같이 매이는 데까지 고난을 받았으나 하나님의 말씀은 매이지 아니하니라
10 그러므로 내가 택함 받은 자들을 위하여 모든 것을 참음은 그들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원을 영원한 영광과 함께 받게 하려 함이라
11 미쁘다 이 말이여 우리가 주와 함께 죽었으면 또한 함께 살 것이요
12 참으면 또한 함께 왕 노릇 할 것이요 우리가 주를 부인하면 주도 우리를 부인하실 것이라
13 우리는 미쁨이 없을지라도 주는 항상 미쁘시니 자기를 부인하실 수 없으시리라
<설교>
바울은 디모데에게 그가 위탁받은 복음을 다시 상기시킵니다(8절). 동시에 복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위탁하도록 임무를 맡깁니다(2절). 예수님이 바울에게 명하신 것을 디모데가 이어받고, 충성된 사람이 받아서 다른 사람에게 전하게 합니다. 올림픽 성화 봉송처럼 이 사람에게서 저 사람으로 복음이 전해져야 합니다. 교회가 세워지고, 교회를 통해서 하나님 나라가 확장되는 것은 복음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교회는 복음이 변질되지 않도록 보존하고 전해야 할 사명이 있습니다. 복음을 보존하고 전하는 일을 감당할 때 고난을 직면하게 됩니다.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는 삶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이 사실을 반복하여 강조합니다.
복음과 함께 고난받는 제자의 삶을 살기 위해서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은혜 안에서 강해져야 합니다(1절). 은혜는 오직 그리스도에게서 옵니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주시는 은혜를 통하여 힘을 얻습니다. 그래야 복음과 함께 당하는 고난을 이겨나갈 수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열매 맺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세 가지 비유로 설명합니다.
첫째, 그리스도인은 좋은 병사와 같습니다(3,4절). 복무중인 군인들은 안전하거나 편안한 때를 기대하지 않습니다. 역경과 위험과 고난을 당연한 일로 받아들입니다. 사적인 자기 생활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군인으로서의 일에 전심 전력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온갖 종류의 복음의 대적과 싸우는 사람입니다. 편안한 시간을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훈련과 고난을 감내해야 합니다. 우리를 복음의 군사로 부르신 주님을 기쁘시게 하고, 영적 전투에 전념해야 합니다. 말씀과 기도로 무장하고, 훈련과 고난의 삶에 헌신해야 합니다.
둘째, 그리스도인은 법대로 경기하는 운동선수와 같습니다(5절). 운동선수가 규칙대로 경기하지 않으면 면류관을 받을 수 없습니다. 마라톤 선수가 중도에 포기하면 아무런 상을 받지 못하고, 경기 규칙에 따라 끝까지 완주한 자가 승리의 월계관을 쓰는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과 그것이 가르치는 규범을 지키면서 끝까지 믿음의 경주를 할 때 의의 면류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면서 끝까지 달려갈 길을 마쳐야 합니다.
셋째, 그리스도인은 수고하는 농부와 같습니다(6절). 농부는 풍성한 수확을 위해서 열심히 땀 흘려 수고합니다. 수확은 농부의 수고와 인내의 결실입니다. 땀 흘려 수고한 농부가 수확물을 얻는 것처럼, 그리스도인은 복음을 위해, 성령의 열매를 맺기 위해서 힘써 수고해야 합니다. 수고의 대가 없는 열매는 있을 수 없습니다.
병사나 운동선수나 농부는 수고와 고난 없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복음을 위해서 사는 삶에는 반드시 인내가 필요합니다.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해야 인내할 수 있습니다(8절).
바울도 복음을 위해서 고난을 받았습니다(9-10절). 바울 사도는 죄인과 같이 매이는데 까지 고난을 받았습니다. 복음을 위하여 죄수처럼 쇠사슬에 묶여 감옥에 갇혀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계속 살아 움직여 많은 생명을 살렸습니다. 바울이 고난을 감내한 것은 택함 받은 자들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을 영원한 영광과 함께 받게 하기 위해서입니다(10절).
영원한 영광을 바라볼 때 고난 중에 인내할 힘을 얻습니다. 우리가 참으면 주님과 함께 왕 노릇 할 것입니다.
고난은 고통스럽지만 결코 부끄러운 것이 아닙니다. 복음을 위해 고난에 동참하는 것은 영광스러운 일입니다.
진리를 위해서 기꺼이 고난을 받고 반대를 견뎌야 합니다. 복음에 대한 반대에 직면할 때, 그것을 견딜 것인지, 아니면 복음을 부인함으로써 그것을 피할 것인지 양자택일을 해야 합니다.
복음을 위해서 고난을 받을 때, 그리스도를 따라 십자가를 지고, 날마다 자기를 부인하며 살아갈 때 하늘에서 그의 생명에 참여하게 됩니다(11-12절). 영광에 이르는 길은 고난 속에서도 끝까지 인내하며 믿음을 지키는 것입니다.
장차 임할 영광을 바라보며 현재의 고난을 기꺼이 감당하여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을 영원한 영광과 함께 받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