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조선시대의 관직은 크게 문관직과 무관, 두 관직이 있었고,
직급은 1품에서 9품까지, 각 품은 정과 종으로 나누어 져 총 18직급이 있었습니다.
즉 1품에는 정1품과 종1품이 있으며, 정1품이 종1품보다 더 상위 직급입니다.
흔히들 정을 문관, 종을 무관이라고들 생각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상식이고
회장과 부회장처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해당직급에 해당되는 오늘날의 관직 수준과 당시의 대표적인 관직명들을 비교해봤습니다.
품 계(品階) (현대의직위)
관 직 명(官職名)
정 1 품 (국무총리)
영의정 좌의정(문관) 우의정 도제조(이상 무관)영사 도제조 대장(이상 지방관)
종 1 품 (부총리)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판사
정 2 품(장관,차관, 본부장대장 ,도지사)
지사 판서 좌참찬, (문관) 우참찬 대제학(무관),지사 제조 도총관(지방관)
종 2 품(차관보, 중장)
동지사 참판 상선(문관), 동지사 부총관(무관),병마절도사 관찰사 부윤(지방관)
정 3 품(관리관 ,소장)
참의 직제학(문관),첨지사 별장(무관),목사 병마절제사(지방관)
종 3 품(이사관,국장,준장)
집의 사간(문관), 대호군 부장(무관),도호부사 병마첨절제사(지방관)
정 4 품(부이사관, 대령)
사인 장령(문관), 군호(무관),
종 4 품(중령)
경력 첨정(문관),경력 부호군 첨정(무관),군수 병마동첨절제사(지방관)
정 5 품(서기관,소령,군수)
정랑 별좌 교리,(문관) 사직, (무관),
종 5 품(부군수)
도사 판관(문관),도사 부사직 판관(무관),도사 판관 현령(지방관)
정 6 품(사무관,대위,면장)
좌랑 별제(문관),
종 6 품 주부 교수(문관), 부장 수문장 종사관(무관), 찰방 현감 교수병마절제도위(지방관)
정 7 품(주사,계장,중위)
박사(문관),사정 참군(무관),
종 7 품 직장(문관),부사정(무관),
정 8 품(주사보,소위,준위)
저작(문관),사맹(무관),
종 8 품 봉사(문관),부사맹(무관),
정 9 품(서기,상사,중사)
부봉사 정자 훈도(문관),사용(무관),
종 9 품(서기보,하사)
참봉(문관), 부사용 별장(무관)
---------------------------------------------------------------------------------
내명부 품계
엄연한 첩지를 받은 후궁의 첫시작은 "숙원(종4품)" 입니다.
"특별상궁"도 크게 보아 후궁으로 포함되기는 하지요.
그러나 특별상궁의 직위는 '정5품'이고, "제조상궁" 과 같습니다.
상궁이라는 존재는 정5품 이하의 궁인직입니다.
중전은 품계로 따질 수 없는 고귀한 지위라 하여 "무품" 입니다.
정1품 빈(嬪, 경빈, 희빈, 혜빈... 이런 건 모두 같은 서열)세자의 부인도 빈이라 하였습니다.
왕의 정부인인 중전은 품계를 따질 수 없는 높은 신분이지만, 세자의 정부인은 정1품입니다.
종1품 귀인(貴人)
정2품 소의(昭儀)
종2품 숙의(淑儀) / 세자의 후궁 양재(良재)
정3품 소용(昭容)
종3품 숙용(淑容) / 양원(良媛)
정4품 소원(昭媛)
종4품 숙원(淑媛) / 승휘(承徽)
여기까지가 후궁입니다.
그 아래로는 상궁, 나인 등 궁중에서 일을 하는 여관들이 있었습니다.
정5품 상궁(尙宮)·상의(尙儀)
종5품 상복(尙服)·상식(尙食) / 소훈(昭訓, 세자의 후궁)
정6품 상침(尙寢)·상공(尙功)
정7품 전빈(典賓)·전의(典衣)·전선(典膳)
종7품 전설(典設)·전제(典製)·전언(典言)
정8품 전찬(典贊)·전식(典飾)·전약(典藥)
종8품 전등(典燈)·전채(典彩)·전정(典正)
정9품 주궁(奏宮)·주상(奏商)·주각(奏角)
종9품 주변징[치](奏變徵)·주징[치](奏徵)·주우(奏雨)·주변궁(奏變宮)
그리고 무수리는 품계조차 없는 종 신분이었습니다.
-----------------------------------------------------------------------------------
원칙적으로 공길이와 장녹수의 품계는 같습니다.
장녹수의 품계가 숙원으로 종4품이니 공길과 같은 품계였지요.
후궁과 관직의 품계는 같아도 그 무게가 다르기는 하지요;
그래도 두 사람 모두 연산군의 총애를 받고 있어서 그 권력만큼은
정1품을 뛰어넘을 정도로 대단했지만..
장녹수는 그걸 이용하여 자신의 욕심을 채웠기에 악녀로 기록되었죠..
+ 장녹수의 최종 품계는 숙용이랍니다~ 전하의여자님 지적 감사드려요~ ^^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한나님 감사해요,
우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ㅎㅎㅎ
한나님, 아주 유익하고 도움되는 자료 올려주셔서 고마워요. 이런 정도만 알고 사극을 봐도 재미가 다르죠. 그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