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드 훠(서정길) / 비속의 여인 500장 한정반 10월 25일 입고예정 가격/40,000원
[에드 훠]의 첫 번째 앨범은 대한민국 그룹 최초로 자작곡을 수록하여, 대한민국 락 역사의 시작을 알린 음반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 앨범이다. 서정길이 객원싱어로 참여한 곡이며, 이후에 장르와 세대를 초월한 사랑을 받은, “비속의 여인”과 당시로는 새로운 곡 전개가 돋보인 “우체통” 그리고 펄 씨스터스가 부른 ‘커피 한잔’의 원곡 “내속을 태우는구려”와 장미화가 데뷔곡으로 부른 “천사도 사랑을 할까요” 등 흥미진진한 레퍼토리가 수록된 국내 락의 시작과 무한한 가능성을 반세기전에 선구적으로 보여준 가요사에 길이 남을 명반.
180그램 Yellow color Vinyl(전량수입)
인서트 포함 (해설 : 송명하)
OBI 포함.
500장 한정반.
(수록곡)
A:
1. 비속의 여인
2. 우체통
3. 상처입은 사랑
4. 소야 어서가자
5. 늦으면 큰일나요
6. 천사도 사랑을 할까요
7. 그리운 그님아
B:
1. 내속을 태우는 구려
2. 나도같이 걷고 싶네
3. 고향길
4. 그대와 둘이 앉으면
5. 쓸쓸한 토요일밤
6. 바닷가
7. 굳나잇 등불을 끕니다
한국적 락의 시발점을 보여준...
신중현의 첫 번째 밴드였던 [에드 훠]의 데뷔음반은 키 보이스의 데뷔앨범과 같은 해인 1964년에 발매되었지만, 그 시기는 조금 늦다. 하지만, 키 보이스의 앨범 수록곡 대부분이 해외 락 음악의 번안곡 이었던 반면, [에드 훠]의 데뷔앨범 수록곡은 모두 신중현이 작곡한 자작곡 넘버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손으로 만든 우리의 락 음악이 시작된 소중한 음반인 것이다.
신중현이 최초로 미 8군 무대를 떠나서 본격적으로 일반무대에 진출하기 위해서 [에드 훠]를 결성한 것은 1962년이다. 밴드의 이름은 기타 코드의 용어에서 나왔다는 이야기가 지배적이지만, 당시 비틀즈의 애칭이었던 Fab 4역시도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다. 표면적으로 볼 때, 키 보이스의 음반에 쓰여진 한국의 비틀즈 Key Boys!라는 문구처럼 노골적이지는 않지만, [에드 훠]에 있어서도 밴드명을 비롯해서 그 편성이나 자켓의 사진에 등장하는 의상 등 모든 면에서 비틀즈의 영향력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외형적인 부분 이외에 음악적인 면까지도 ‘한국의 비틀즈’가 되려했던 키 보이스의 음악과 [에드 훠]의 음악은 조금 차이가 있다. [에드 훠]의 음악은 비틀즈의 영향이 있긴 하지만, 오히려 크림이나 야드버즈, 롤링 스톤즈와 같은 그룹에서 볼 수 있는 흑인음악의 요소가 더욱 많았다. 이러한 음악적 성향은 [에드 훠] 이후 신중현이 결성한 덩키스, 퀘션스, 더 맨 그리고, 엽전들로 이어지며 더욱 심화되어 블루스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는 한국적 사이키델릭과, 하드락의 모체가 되었음에 분명하다. 그리고, 이러한 신중현의 활동들은 해외의 검증된 락 넘버들을 커버하며 가능성만을 내재하고 있던 수많은 젊은 밴드들의 활동에도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한 장의 음반은 신중현이 앨범을 통해 프로 밴드 활동을 처음 시작했다는 점 이외에도 ‘대한민국 락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음반이라는 커다란 의미를 갖는 앨범이다. 물론, 1964년 이들이 행한 락 음악과 현재의 우리가 생각하는 락과는 많은 차이가 있긴 하지만 말이다.
대한민국 락 역사는 첫 트랙인 ‘비속의 여인’으로 시작한다. 김목경, 김건모 등에 의해 다시 불려지며, 세대를 초월한 사랑을 받았던 이 곡에서 일단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이팩트의 부재 때문에 그 선이 얇고 힘이 부족한 아르페지오 리프이긴 하지만, 곡 전체를 관통하는 일정한 리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리프에서 도출해 가는 중반부 기타 애들립도 무척이나 신선하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초창기 국내의 밴드들은 비틀즈의 영향이 지배적이었고, 보컬리스트로 구성된 그룹들이 많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뚜렷한 멜로디 라인이 없이 하모니 보컬 위주의 밴드가 많았다. 하지만, [에드 훠]는 서정길이라는 확실한 객원보컬 체제 아래서 보컬의 솔로 부분과 나머지 멤버들의 코러스 부분이 확실한 경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 역시도 귀기울일 만 하다. 이후 ‘늦으면 큰일나요’에서도 등장하는 이러한 보컬과 코러스의 콜 앤 리스펀스는 물론 흑인 음악들에서 많이 이용되는 형태였다. 우체통을 의인화한 가사가 재미있는 ‘우체통’은 당시까지의 관행이었던 기승전결식의 곡 구성이 아니라, 결론에 이어지는 전개라는 새로운 시도가 흥미로운 곡. ‘사랑해’라는 온 국민의 애창곡을 만들었던 라나 에 로스포에 의해서는 포크 넘버로, 김상희에 의해서는 샌프란시스코 풍의 사이키델릭 넘버로 편곡된 바 있었던 ‘사랑의 상처’는 애니멀즈의 영향을 짙게 풍기는 흑인 성향의 슬로우 넘버이고, 열악한 녹음환경이긴 하지만, 악기의 특성들을 최대한 살려 녹음된 ‘소야 어서 가자’도 흥미롭다.
한편 서정길 이외에 또 한명의 객원보컬이 이 음반을 통해 데뷔를 하게 되는데, 이후 ‘안녕하세요’로 국민가수의 반열에 들어서게 되는 장미화가 ‘천사도 사랑을 할까요’와 ‘굳나잍 불을 끕니다’에 참여한 것이 그것이다. 장미화의 창법에서 다이애나 로스와 같은 흑인 풍의 감성을 감지한 신중현은 그녀에게 슈프림스와 같은 여성 중창팀의 조직을 제안했고, 장미화는 이후 ‘안녕하세요’를 히트시킬 때까지 중창단의 멤버로 해외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 음반에 장미화가 참여한 두 곡은 패키지쇼에 어울릴 만한 스탠더드 넘버들이다. ‘그리운 그 님아’는 당시 유행하던 소위 XX부기풍의 기타 연주곡에 보컬을 붙인 스타일의 곡.
펄 시스터즈에 의해서 온 국민의 애청곡으로 거듭나는 ‘커피 한잔’의 원곡이라고 할 수 있는 ‘내 속을 태우는구려’의 도입부 역시도 앞서 ‘비속의 여인’과 같은 리프가 등장한다. 비슷한 시기에 국내에 나왔던 가요들에서는 상상도 하지 못할만한 가사가 등장하는 곡으로, 중반부 찰랑거리는 올갠사운드 역시 체크 포인트. ‘나도 같이 걷고 싶네’는 이후 임성훈이 ‘명동거리’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던 곡이다. 신중현의 기타 애들립은 재즈에서 락으로 변모해가던 시절 해외의 많은 기타리스트들의 연주를 연상시킨다. B면의 뒷부분으로 갈수록 스탠더드 풍의 곡들이 많이 등장하긴 하지만, 그 역시도 당시의 유행가들과는 그 성격이 확실하게 다른 곡들이다. 특히 쓸쓸한 토요일 밤은 전형적인 블루스 인트로 기타연주를 가진 슬로우 넘버로, 다소 평이한 듯한 보컬만 아니었다면, 국내에서 통용되던 부루쓰가 아닌 확실한 블루스 넘버가 되었을 법한 곡이다.
[에드 훠]는 이 음반 이외에도 자신들의 이름으로 몇 장의 음반을 더 발표했다. 하지만, 해외의 곡들을 벤처스풍으로 편곡해 수록한 ‘경음악’ 앨범들이라는 점이, 의욕과 재능으로 시작했던 그 시작을 잇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이후 신중현은 블루즈테트를 거쳐 덩키스의 활동을 통해 [에드 훠]의 데뷔앨범에서 보여줬던 국내 락에 대한 가능성을 현실로 만드는 작업을 이어가게 된다.
신중현이 했던 락 음악의 길은 사실 독학의 길이었다. 물론, 지금의 상황도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고 하겠지만, 그가 걸어왔던 길은 그냥 독학의 길이 아니라, 무에서 유를 창조해 내며 역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었다. 현재 우리가 그저 입버릇처럼 하는 말인 ‘국내 락 음악의 대부’ 는 표현은 그가 거쳐왔던 이러한 과정들 때문에 더욱 소중한 것이며, 단지 ‘미인’과 ‘아름다운 강산‘을 만들어 불렀다는 단편적인 사실에서 기인한 것만이 아니다. 이번에 재발매 되는 음반이 가지는 의미 역시도 잃어버렸던 역사 퍼즐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채웠다는 데에서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글 송명하 (파라노이드 편집장)
김영국과 the Add 4. 300장 한정반 10월 25일 입고예정 가격/40,000원
1960년대 대한민국 초기 로큰롤 뮤지션들의 치열한 활동을 기록으로 증명한 소중한 앨범.
당시 재즈 싱어로 활동했던 김영국과 신중현이 조직해 국내 최초의 창작곡을 취입했던 에드포(Add 4)가 연주를 맡은 앨범이지만, 음반의 주인공인 김영국이 엘비스 프레슬리에 영향을 받은 ‘가수’ 음반의 성격을 띄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작곡가’ 신중현이 아닌 ‘기타 연주자’ 신중현의 초기 연주 스타일을 들을 수 있는 매력을 담았다는 면에서 거부할 수 없는 필청 음반.
180그램 Green color Vinyl
인서트 포함 (해설 : 송명하)
OBI 포함.
300장 한정반.
(수록곡)
A:
1. 그대는 어데로
2. 진주 조개잡이
3. 쟈니 기타
4. 밤안개속의 데이트
5. 썸머 타임
B:
1. 웟 아이 세이
2. 하룻밤을
3. 내 멋에 산다
4. 가슴이 터지게
5. 너무 사랑해요
(요약 라이너):
[신중현이 결성한 최초의 록 밴드 에드 포가 연주를 맡은 김영국의 음반]
196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국내에 로큰롤이 본격적으로 유입된다. 그 시작은 물론 미8군 무대였지만 비슷한 시기 국내 뮤지션들은 미8군 무대와 극장 쇼를 비롯한 일반무대 활동을 병행했다. [매혹의 째즈씽거 김영국과 정열의 악단 Add 4]는 초기 로큰롤 뮤지션들의 치열한 활동을 증명하는 소중한 기록이다. 이 음반처럼 가수 플러스 밴드의 포메이션으로 이루어진 형태는 여러모로 비슷한 시기인 1960년대 중반부터 출반된 쟈니 리 / 키 보이스 [오! 우짤꼬 / 정든 배는 떠난다], 정원 / 샤우터스 [정원과 샤우더스 전집], 이태신 / 파이브 핑거스 [이태신과 Top Song Vol.1]을 연상시킨다. 이 가운데 쟈니 리 / 키보이스의 음반은 두 뮤지션이 각각 LP의 한 면씩을 담당한 일종의 스플리트 음반이고, 나머지 음반은 ‘가수’는 노래를 밴드는 ‘반주’를 맡은 음반이다. 김영국 / 에드 포의 경우는 후자에 해당한다. 백방으로 수소문해봤지만 다른 가수들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김영국에 대한 자료는 전무하다시피 했다. 그의 이름이 언급된 기사 하나를 보자.
한국예능단이라는 이름으로 자유중국으로 비롯하여 동남아일대를 순연키로 되었던 대규모의 연예단이 단장의 무책임한 행위로 인해 대만에서 5개월간 고생하다가 5월 6일 간신히 귀국한 일이 있었다. (중략)
여기에 따라간 일행에는 작곡가 황문평씨를 비롯하여 「코메디언」 배삼룡, 이완율, 이기송, 고계화, 「마운틴·시스터즈」, 김영국, 이길남, 김해성, 「허니·비즈」, 전정희 등이 있는대, 단장 김낙곤씨는 지금 일본에 있는 중이고 일행 중 황문평씨는 일본을 거쳐 12일 귀국했다. (후략)
- ‘연예인의 무모한 해외진출에 경종’ 동아일보 1965년 5월 13일
앞서 인지도가 낮았다고 이야기했지만, 이렇게 해외 공연 팀의 일원으로 공연을 펼쳤던 점, 또 같은 음반이 시대 레코드와 톱싱거 레코드를 통해 각각 다른 재킷으로 출반되었던 점을 생각한다면, 당시 그의 활동이 무척 활발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이 음반의 오리지널이 경매 사이트나 중고 LP 사이트에서 엄청난 고가를 형성하고 있는 건 김영국이라는 당시 가수 때문이 아니고 신중현이 조직해 최초의 창작곡을 녹음한 밴드 에드 포(Add 4) 때문일 것이다. 아쉽게도 에드 포와 김영국의 커넥션이 어떻게 이루어졌던 것인지에 대해 확인할 길은 없으나, 앞선 기사와 비슷한 시기 에드 포에 대한 기사에서 희미한 연결고리 하나를 볼 수 있었다. 에드 포 역시 일반무대에서 활동하며 해외 공연이 기획됐던 밴드였다는 점이다. 비록 겹치지는 않는 연결점이지만, 당시 김영국 그리고 에드 포의 위치가 어느 정도 평행선상에 놓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단서라고 하겠다.
물론 이 음반의 주인공은 어디까지나 에드 포가 아니라 김영국이다. 전반적인 공통분모로 규정 짓긴 곤란하지만 초창기 국내 밴드에게 있어 비틀스(The Beatles)의 영향은 절대적이었다. 위 기사에 등장하는 것처럼 에드 포가 그랬고, 키 보이스(Key Boys)의 데뷔앨범 아트워크에 등장하는 ‘한국의 비틀즈’라는 표현 역시 이를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그에 비해서 미8군 무대와 일반 무대를 오가며 활동했던 가수의 경우는 어떨까. 밴드와 비틀스의 관계처럼 이들에게는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라는 공통분모를 찾을 수 있다. 재킷 사진에서 마치 사전에 짠 것처럼 동일한 포즈를 취하고 있는 이태신과 김영국의 포즈에서 엘비스 프레슬리의 모습을 떠올리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이들 외에도 비슷한 시기 국내에는 남석훈, 차중락 등 많은 가수들이 엘비스 프레슬리의 노래로 사랑받았다는 점 역시 엘비스의 영향력을 증명한다. 앞서 이 음반의 주인공이 에드 포가 아니라 김영국이라고 단정한 것은 이 음반의 전체적인 성격이 바로 엘비스에 영향 받은 ‘가수’ 음반의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자료가 남아있지 않을 정도로 짧은 활동을 했던 김영국과 마찬가지로 에드 포 역시 그 생명력은 길지 않았다. 어쩌면 이 음반이 지금까지 많은 이들이 알지 못한 채 꼭꼭 숨어있었던 이유도 짧았던 뮤지션으로서의 활동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국내 록음악을 사랑한다면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치열했던 국내 초기 로큰롤 뮤지션들의 활동을 증명하는 많지 않은 기록 가운데 하나로서, 또 ‘작곡가’ 신중현이 아닌 ‘기타 연주자’ 신중현의 초기 연주 스타일을 들을 수 있다는 거부하기 어려운 매력 때문에 라도 반드시 거쳐 가야 할 음반임에 분명하다.
글 송명하 (파라노이드 편집장)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7.10.13 20:24
첫댓글 에드 훠(서정길) / 비속의 여인 1장 예약합니다^^
예약
예약이요
김영국과 add4 1장 예약
서정길 1장 예약
add 4 예약이요~
저도각1장씩부탁합니다
입고되었습니다.
김영국과 the Add 4는 품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