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정광제
-어떤 명제에서 다른 명제 도출하는 과정이 추론(inference). 추리의 심리적 과정을 지칭
-추리(reasoning)가 정신적 사고절차라면, 추론(inference)은 그 절차를 말로 기록한 것
-‘때문에, 따라서, 그러므로’ 등은 결론 앞에 붙어서 전제와 결론 구별하는 논리적 지시사
어떤 명제에서 다른 명제를 도출하는 과정을 추론(inference)이라고 한다. 추론이라는 것은 추리의 심리적 과정을 주로 지칭한다.
추론의 결과 어떤 명제가 전제가 되고, 거기에서 어떤 결론이 나오는 것을 아는 것을 추리(reasoning)라고 한다.
추리는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어떤 이유(reason)를 보고 그것이 무엇에 대한 이유가 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 reasoning 이나 inference 는 구별없이 추리라고도 번역하지만 그 뜻은 약간 다르다. 추리(reasoning)가 정신적 사고절차인데 대해서 추론(inference)은 그 절차를 말로 기록한 것이다.
추론은 말하자면 어떤 주장이 다른 주장을 하게 된 이유 또는 근거가 된다는 것을, 말로 표현한 것이다.
추리는 어떤 이유(reason)를 보고 그것이 무엇에 대한 이유가 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추론은 주장을 나타내는 명제 하나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명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소한 전제와 결론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추론을 구성하는 복수의 명제들을 요소명제(elementary proposition)라고 한다. 그리고 그 요소명제들은 아무렇게나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논리적 구조를 가진다.
이런 논리적 구조를 설명하는데는 전제(premise)가 되는 부분과 결론(conclusion)이 되는 부분을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
(1) 오늘 저녁 노을이 붉다(전제)
그러므로 내일 날씨는 맑을 것이다(결론)
‘오늘 저녁 노을이 붉다’는 언명이 ‘내일은 날씨가 맑을 것이다’라는 다른 언명을 하게 된 이유(근거)가 되고 있다. 그 이유가 되는 명제를 전제, 그 이유에서 도출한 명제를 결론이라고 한다.
(1)의 경우는 언명이 2개로 된 소위 2언명 추론(two-statement argument)이지만 언명이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언명이 몇 개가 되었든 결론은 언제나 하나다. 이 말은 전제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다는 말과 같다.
어떤 경우에도 전제와 결론은 명확하게 구별이 되어야 한다. 때문에, 따라서, 그러므로 등은 결론 앞에 붙어서 전제와 결론을 구별하는 논리적 지시사(logical indicator)이다.
일상어에서는 물론 그밖에도 다양하게 전제와 결론들을 구별하는 용어들이 쓰이지만, 그것이 아니더라도 전제와 결론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런데 일상어에서는 논리적 지시사가 생략된 경우도 흔하다. ‘하늘이 시커멓게 변했네. 곧 비가 쏟아지겠군’과 같은 경우는 논리적 지시사가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첫 언명이 둘째 언명의 전제(이유)가 되고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추론은 어떤 전제들에서 어떤 결론을, 또는 어떤 이유들에서 그 결과를 도출하는 증명(proof) 형식이 된다.
논증의 정확성, 또는 추리(reasoning)의 정확성을 따지는 것이 논리학의 주제이므로 결국 논리학은 추론의 정확성을 주대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