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6~70대후반 지난 사람치고 옛날 다방에 잊지 못할 추억이 한 자리 없는 사람이 있을까요?!
당시의 다방에는 浪漫도 있었고, 남자의 自尊心도 있었고, 사랑도 있었고, 눈물 쏟아내는 이별의 장이기도 했었다.
가끔 열리는 국가대표 축구 경기의 단체 관람 장이기도 했으니, 그 당시 다방은 ‘한국적 명물’로 어른들의 사랑방, 대학생들의 만남의 방, 직장인의 휴식 공간, 동네 閑良들의 아지트(Hideout)였으며, date와 맞선 공간, 가짜 시계 등이 거래되는 상거래 공간, 음악감상 공간 등 '거리의 休憩室)이자 만남의 장소 역할을 톡톡히 했다.
1945년 해방 무렵 서울에 60개 정도의 다방이 있었고, 1950년대 말엔 1,200개로 늘었다고 하는데, 1990년대 후반 들어 커피 전문점 ‘cafe’로 대변되는 원두커피 전문점이 부흥하기 이전인, 30년간 다방은 한국문화를 이끌며 전성기를 謳歌했다.
본격적 음악 감상실이 생겨나기 전까지 항구도시 부산의 光復洞과 南浦洞에도, 大邱 半月洞에서 東城路를 거쳐 大邱驛으로 이어지는 큰 길, 골목길에도, 雨後竹筍처럼 다방이 마구 생겨나고 있었다.
작은 booth에 DJ가 들어앉아 金秋子 노래도, 宋昌植의 고래사냥, pop song도 틀어주면서, 때로는 “양복점 이사장님 카운터에 전화 왔습니다.”라는 소식도 들려주었으니, 음악실의 역할까지 하면서 “邑內茶房”, "鄕村茶房", "심지茶房'', "수茶房", "王妃와 王茶房", "黃金茶房", “中央茶房”에서, 서서히 이름이 바뀌어 “松竹茶房”, “준(JUN)茶房”, “New York 茶房”까지, 한 시대를 風靡했다.
젊은 청춘을 위한 시내 중심가를 벗어난 다방은 카운터에 중년 여성인 ‘마담’이 앉아있고, ‘레지’( lady)라고 불리는 젊고 예쁜 아가씨들이 커피를 날라주는 동안에, 구슬픈 뽕짝가락이 손님들의 가슴을 저윽히 적셔주는 그런 형태였다.
그 당시 사람치고 시골 읍내는 말할 것도 없고 시내 中央통에 있는 다방의 마담이나 레지와의 사연 하나 쯤 없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아무런 목적도 없이 그냥 노닥거리며 시간을 보내려고 酒幕에서 세련된 다방으로 가는 사람도 많았다.
다방에 들어서면 낮 익은 마담과 레지가 경쟁하듯 환하게 웃으며 맞아줬고,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어김없이 옆자리에 살포시 앉으면서 속보이는 친절을 떨었다.
손님들은 오랜만에 만난 친정 오빠보다 더 정겹게 팔짱을 끼며 愛嬌까지 부리는 그 분위기를 우쭐하며 즐겼으니. "커피 한 잔 가져와!"하는 손님의 주문이 떨어지자마자 "저도 한 잔하면 안 될까요?"가 곧바로 이어졌고, 그 상황에서 "NO!"는 존재하지 않았다.
70년대 후반 들어 Yakult로 바뀌기도 했지만, 요즘이야 맹숭커피 한 잔에도 돼지 국밥 한 그릇 값을 지불하지만, 그 당시 커피 한 잔은 실없는 弄談에 가벼운 신체접촉 권한(?)까지 주워졌으니 참으로 옹골진 값어치였던 셈이다.
분위기가 넘어왔다 싶으면 마담이나 레지의 "우리 雙和茶 한 잔 더 하면 안 되요?"라는 비싼 차 주문이 발사되고, 여기에도 "NO!"는 거의 없었다.
그 시절 그렇게 분위기가 익어가는 것이 뭇 사내들의 멋이었고 낭만이기도 했지만, 마담이나 레지에게는 매출을 올려 주인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人事考課였으니, 그런 손님과 레지의 意氣投合은 나중에 티켓다방으로 발전하기도 했지만, 그 당시 인기 레지는 거의 연예인 대접을 받았던 것 같다.
어느 다방에 멋진 레지가 새로 왔다는 소문이 들리면 그 다방은 한동안 門前成市를 이루곤 했는데, 레지가 인기를 누렸던 현상은 그 시대를 대변하는 특이한 풍경이기도 했다.
6~70년대의 다방에서는 커피가 한 종류만 있었기에 손님들은 그냥 ‘커피’를 주문하면 되었다. 하기야 미국에서도 초기에는 우리와 비슷해서 모든 종류의 커피를 그냥 조(Joe)라고 불렀으며, 한 잔의 커피란 뜻의 ‘a cup of Joe)'라는 숙어도 있었다.
다방이 아닌 요즘의 커피전문점 ‘cafe'에서 coffee 메뉴판을 보면 커피 종류가 다양하고, 그 이름이 하나같이 복잡하고 어렵다.
Espresso는 ‘진한 커피’로,
Americano는 ‘연한 커피’로,
Caffe Latte는‘우유 커피’로,
Cappuccino는 ‘거품 커피’등으로 불러지면 좋을 텐데....!
다방에서 Café로, 세월 따라 이름도 변해감에 따라, 한 때 옛날 다방을 주름잡던 청춘에게 나이만큼 서글픔이 몰려온다.
제과점의 patissier 수준을 알고 싶으면, 빵의 기본인 단팥빵과 크림빵을 맛보면 되듯이, Espresso와 Americano를 마셔보면 그 카페 barista의 수준을 알 수 있다고 한다.
‘Coffee’란 잘 익은 Coffee 열매를 乾式法이나 濕式法으로 가공하여 parchment 상태의 씨앗을 만든 뒤 탈곡(脫穀)하여 만들어진, 생두를 볶은 원두를 grinder로 갈아 물로 추출해 만든 음료이다.
커피는 커피콩과 물의 온도 추출법에 따라 맛이 달라지며 커피의 기본은 Espresso이다.
‘커피콩’의 원산지는 Ethiopia의 고원지대이며 세계적으로 커피가 생산되고 있는 지역은, 남위(南緯) 25도부터 북위(北緯) 25도 사이로 이 지역을 ‘Coffee zone 또는 ‘coffee belt’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고지대일수록 고급품종의 커피가 생산된다.
이에 海拔 600m 이하 지역에서는 instant coffee나 공업용 원료로 사용되는 ‘Robusta’ 품종이, 800m 이상의 지역에서는 원두커피용으로 사용되는 양질의 ‘Arabica’ 품종이 생산된다.
키가 3~4m인 커피나무 한 그루는 1년간 6,000송이 이상의 새하얀 꽃을 피워낸다.
흰 꽃잎이 5장인 커피 꽃은 개화기에는 커피 밭에 함박눈이 내린 듯 장관을 이룬다.
커피 꽃은 ‘언제나 당신과 함께(Always be with you)'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
한 잔의 커피에는 반드시 꽃향기가 있으므로 꽃향기가 풍성한 커피가 좋은 커피라고 한다.
그러나 요즘의 다양해진 커피 맛과 향이 옛날 다방의 낭만적인 커피 맛보다 더 낫다고 누가 말 할 수 있겠는가?
morning coffee라며 족보에도 없는 계란 노른자까지 곁들였으니, 커피를 한 잔하고 마담과 레지의 환송을 받으며, 다방 문 나설 때의 우쭐해지던 커피 맛 외의 또 다른 그 맛을 요즘 사람들이 알 수 있을까?
영화도 흘러간 영화가 정겹고 가슴에 와 닿듯이, 커피도 옛날 다방의 커피 맛이 한결 감미롭게 느껴진다.
나는 무슨 뜻인지도 모르는 요즘 아이돌 노래들을, 요즘 젊은이들이 내 나이쯤 되었을 때 청춘 시절을 회상하며, “그 때는 방탄소년단 노래가 참 좋았는데..”라고 할까? 하는 의문도 가져본다.
허긴 우리 부모님도 南仁樹, 高福壽 노래만이 노래였고, 金秋子, 宋昌植 노래는 騷音일 뿐 이었겠지만!...
洋裝을 걸치고 Counter에서 무게 잡던 김 마담과 Miniskirt 입고 아양 떨던 미스 박이라는 레지는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그들도 그 시절을 그리워 하고 있을까?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한 가지의
추억쯤은 꼭 있을 것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