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은 3호선 연장사업에 대해 지난해 9월 국토부에 민자사업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같은 달 파주시와 곧바로 업무협약을 맺었다.
쟁점은 가좌역 신설 ‘경유 또는 분기?’ 고양시 “가좌, 덕이 두 개역 모두 필요” 파주시 “연내 국회 동의, 23년 착공 기대”
[고양신문] 민간투자사업으로 검토되고 있는 3호선 파주 연장사업과 관련해 5일 파주시가 “연내에 국회 동의절차를 마친다면 2023년 말에는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3호선 연장사업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고양시의 입장은 오히려 난처해졌다. 고양지역 경유노선에 대한 정리가 확실히 매듭지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파주시와 민자사업자인 현대건설은 고양지역을 경유하는 노선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고양시와 공유하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가 고양시의 요구안인 ‘가좌역과 덕이역 두 곳을 모두 경유’하는 안대로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온다.
3호선 파주 연장사업은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윤후덕(파주시갑) 의원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7월 한국판 뉴딜 신규 민자사업에 선정되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현대건설 측은 지난해 9월 국토교통부에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지금은 KDI에서 민자적격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파주시는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를 위한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적격성 조사가 통과될 경우 BTL 방식으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에 대한 국회의결을 연내에 모두 마친다는 계획이다.
겉으로 보기엔 사업에 가속도가 붙은 것이 고양시 입장에서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숙원사업이던 가좌역, 덕이역 신설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로 이번 사업을 윤후덕 의원과 파주시가 주도하면서 민자사업자까지 나온 상황이라, 경유 노선에 대한 고양시의 의견이 무시될 가능성도 있다.
쟁점은 가좌역을 경유하는가이다. 현대건설은 고양시 구간의 경유노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사업제안서를 국토부에 제출했다. 대신 파주시과 현대건설은 기존 운정역까지의 연장안을 파주 금릉역까지 한 정거장 늘려 발표했다. 한편으로는 국가재정사업이 아닌 민자사업으로 검토되면서 지자체의 입김보다는 경제성 논리가 더 크게 작용할 가능성도 높다.
고양시는 “지역 균형발전과 교통 소외지역 해소를 위해 가좌, 덕이 두 개 역을 모두 경유하는 안을 국토부에 요구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을 내놓고 있다. 일산서구가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국회의원도 같은 입장이다.
이용우 의원실은 “기본적으로 가좌지구와 덕이지구를 경유하는 안을 사업 최종안으로 밀어붙일 생각이다. 만에 하나 그것이 어렵게 된다면 차선으로 가좌~파주(교하) 분기안을 포함해 교통 소외지역이 없도록 교통망 계획을 구축하는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