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머리 필수
※ 게시판 공지 필독
※ 글 복사 허용 설정
※ 영어학 문제은행 외의 질문은 자유게시판
각 게시판은 조교 답변으로 이루어지는 곳이 아닙니다:) 상호 협력을 통한 수강생들의 발전적 학습을 기대합니다.
지문을 보면 syllabification에 대한 설명이 쭉 나오고 3, 4번째 문단에서 문제 답과 연관 있는 부분인 resyllabification이 단어 경계에서 나타난다고 돼있습니다. 그리고 코다에 있던 게 온셋으로 가서 발음된다라고 설명이 끝납니다. (2) 데이터를 보면 pairing의 r도 단어 경계가 아니라 morpheme 경계이고, 또 pairing 자체가 이미 한 단어라서 resyllabification이 일어난다기 보다는 이미 r이 ing이랑 같은 syllable인 것 같은데, pairing에서도 resyllabification이 일어나는 건가요?
Pairing이 데이터에 있어서 온셋으로 resyllabified되는 환경 쓸 때도 before another morpheme beginning with a vowel이라고 morpheme측면에서 적었는데, 답안처럼 단순히 자음이 없는 syllable 앞에서 일어난다고 하면 Mary도 규칙이 적용되는 거 아닌가요?
제가 어디서 놓친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첫댓글 pairing에서 r은 pair에 suffix -ing가 붙어서 pair의 coda에 있던 r이 onset이 되는거기에 resyllabification이 발생한다고 보았어요!
Mary에서의 r은 coda가 아니라 처음부터 onset의 자리에 있기때문에 resyllabifica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