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5(주일) 느헤미야 13:15~23 ‘나를 기억하사 복을 주옵소서’ 신년주일 예산수정교회 이몽용 목사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한 일이 기억되기를 바랍니다. 특히 선한 일, 옳은 결단을 내린 순간이 잊혀지지 않기를 기대합니다. 하나님께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예루살렘 성벽 재건 이후, 느헤미야와 이스라엘 백성이 신앙 공동체로서 하나님 앞에 바로 서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를 보여줍니다. 그 과정에서 느헤미야는 반복해서 하나님께 이렇게 기도합니다. "내 하나님이여 나를 기억하사 복을 주옵소서"(31절) 이 기도는 단순히 개인의 축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자신의 헌신과 수고를 기억하시고 공동체에 복을 내리시기를 간구하는 간절한 외침입니다. 우리는 느헤미야의 이 기도를 통해, 우리의 믿음의 결단과 헌신이 어떻게 하나님의 기억 속에 새겨질 수 있는지, 또한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을 기억하시고 복을 주시는지를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하나님께서 기억해주시는 복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1. 안식일을 거룩히 지킬 때 받을 수 있습니다(15~22절).
성벽 낙성식을 하고서 느헤미야가 바사에 간 동안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이 흔들렸습니다. 15절을 보니, 십일조 신앙이 무너진 것은 물론이고 안식일에 술틀을 밟고 장사까지 했습니다. 16절에서는, 이방사람들까지 예루살렘에 거주하며 안식일에 장사를 했다고 합니다. 이에 느헤미야는 17절에서, “유다의 모든 귀인들을 꾸짖어 그들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어찌 이 악을 행하여 안식일을 범하느냐”라고 불호령을 내립니다. 안식일을 범하는 것은 반드시 꾸짖어야 할 악이기 때문입니다. 안식일은 지켜도 되고 안 지켜도 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지켜야 하는 계명입니다. 주님의 부활 이후 안식일은 주일이 되었습니다. 주일을 거룩히 구별하여 지키는 것을 보여야 할 직분자들이 세상과 어울려 하루를 보낸다면, 그것이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얼마나 큰 죄가 될까요? 또한 자녀들을 좋은 학교에 보내겠다고 주일에 교회 대신 학원을 보내며, "네가 성공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거야"하는 것만큼 기가 막힌 이야기가 어디 있을까요? 그러면 자녀의 성적은 오를지 몰라도 자녀의 가치관은 변하지 않습니다. 거룩한 가치관으로 내가 먼저 변화되지 않으면 아무리 열심히 자녀를 교육해도 자녀는 망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적용) 나는 주일을 거룩히 구별하여 지키고 있습니까? 믿는 사람으로서 사람과 타협하면서 믿음의 본을 보이지 못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2. 불신결혼을 막을 때 받을 수 있습니다(23-27절).
23절에, “그 때에 내가 또 본즉 유다 사람이 아스돗과 암몬과 모압 여인을 맞아 아내로 삼았는데”라고 합니다. 유다 사람들은 상대가 육신의 정욕, 안목의 정욕, 이생의 자랑을 만족시켜준다고 여겼기 때문에 아무런 신앙의 가책도 없이 불신 결혼을 해버립니다.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까요? 24절에, “그들의 자녀가 아스돗 방언을 절반쯤은 하여도 유다 방언은 못하니 그 하는 말이 각 족속의 방언이므로”라고 합니다. 아스돗 방언은 블레셋 언어입니다. 이방인 엄마도, 유모와 여종도 블레셋 말을 하니 아이들도 결국 유다 말을 못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것이 왜 심각한 일일까요? 그 이유는 유다 말이 하나님 말씀을 듣는 통로였기 때문입니다. 유다 말을 못하면 예배를 드릴 수도, 성경을 읽을 수도 없습니다. 아무리 몇 대 째 믿음을 지켜왔다고 해도, 불신 결혼으로 믿지 않는 배우자가 들어오면 한 가정의 믿음이 단번에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대제사장 엘리아십과 유다 귀인들은 자녀를 불신 결혼시키고도 아무 관심이 없는데, 느헤미야는 그 심각성을 보고 문제를 지적합니다. 그래서 25절에서, “내가 그들을 책망하고 저주하며 그들 중 몇 사람을 때리고 그들의 머리털을 뽑고 이르되 너희는 너희를 위하여 그들의 딸을 데려오지 아니하겠다고 하나님을 하나님을 가리켜 맹세하라”고 호통을 칩니다. 이 모습이 너무 교양이 없어 보이나요? 교양이 있건 없건 지금 불신 결혼을 막을 사람이 느헤미야 한 사람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진심으로 느헤미야는 최선을 다해 불신 결혼을 막고 있는 것입니다. 26, 27절에 보니, 느헤미야는 가장 처참한 불신 결혼의 예로 솔로몬왕을 언급합니다. 세상 어느 누구도 따라갈 수 없는 놀라운 지혜를 가진 솔로몬인데 이방 여인을 취한 죄 때문에 이스라엘과 왕궁에 우상이 들어왔습니다. 그런 삶의 결론으로 나라가 분열되고 후에는 백성이 바벨론 포로로 끌려갑니다. 이 모든 원인이 이방 여인을 취한 솔로몬에게 있으니 불신 결혼이 죄 중에 죄가 아니겠습니까? 이런 혹독한 징계를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제사장 엘리아십이 자손을 불신결혼하도록 내버려 둔 것입니다. 그것도 예루살렘 성벽 중수를 방해하고 느헤미야를 죽이려고 한 산발랏과 사돈을 맺습니다. 겉으로는 믿음을 강조하면서도 세상 성공의 가치관을 온몸으로 보여주는 것이 곧 자녀의 불신결혼을 조장하는 악임을 알아야 합니다.
적용) 신(信)결혼하셨나요? 불신(不信)결혼하셨나요? 불신결혼이 죄 중의 죄라는 것이 인정되십니까? 나의 자녀를 꼭 신(信) 결혼시키기로 결단하십니까?
결 론
하나님께서 기억해주시는 복을 받으려면, 주일을 구별하여 거룩하게 지켜야 합니다. 또한 하나님과 멀어지게 하는 불신결혼은 하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그럴 때 하나님이 기억해주시는 복을 받게 됩니다. 세상과 타협해서 얻을 수 있는 작은 유익보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하는 적용이 하나님께 복을 받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