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완성(完成)을 위한 유언장(遺言狀)]
흔히들 하는 말로 우리가 죽은 뒤 통장(通帳)은 물질을 남기지만 유언장은 마음을 남긴다고 한다.
우리가 몸을 벗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이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 중요한 것은
(1)유언장을 쓰는 일과 (2)사전 의료 의향서(事前 醫療 意向書)를 작성하는 일이다.
70∼80歲를 산 사람들은 생(生)을 어떻게 살았든 큰 수고를 하면서 산 것이다.불교의 첫 번째 교리(敎理)인 ‘인생은 괴롭다!' 라는 말을 상기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힘든 생을 살았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 힘든 삶을 잘 정리하고 가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삶이 완성된다.
우리가 학교를 잘 다녀놓고 졸업을 확실하게 하지않는다면 그것은 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하는 것이다.
1.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유언장(遺言狀)을 써서 자신의 삶을 잘 정리해야 한다.
자기가 벌여 놓은 일들을 다 정리하고 유산 상속 문제도 잘 처리해 자식 사이에 분규가 안 생기게 해야 할 것이다. 또 자식들에게 하고 싶은 말들을 잘 정리해 남기는 것도 필요하겠다.
이를 위해 유언장을 쓰는 것인데 유언장은 꼭 임종에 임박해 쓰는것이 아니고 언제라도 쓸 수 있다.
아니 노년이 되어 정신이 깨끗하지 못할 때 쓰는 것보다는 정신이 성성(星星)할 때 미리 써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마음이 바뀔 때에는 언제든지 내용을 바꿀 수 있으니 1년마다 다시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여기서 유언장의 자세한 양식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겠으나 유언장이 필요한사람은 시중에서 얼마든지 구할 수 있다.
1)유언장을 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자필(自筆)로 쓰라는 것이다. 그래야 법적효력을 갖기 때문이다.
만일 컴퓨터로 출력을 했다면 반드시 공증을 받아야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도장 찍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도장을 찍지 않으면 나중에 무효 판정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쓰는 도장은 반드시 인감도장일 필요는 없고 엄지로 찍어도 문제없다.
2)내용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데, 대체로 이런 내용이 들어가면 좋을 게다. 우선 장법(葬法),
즉 매장(埋葬)이나 화장(火葬) 또는 수목장(樹木葬) 중 어떤 것을 원하는지 밝히면 좋겠다.
아울러 어디에 묻히면 좋겠다는 것도 밝혀두자. 이것은 자식들 사이에 갈등이 생길 수 있어 미연에 방지 하자는 것이다.
3)그 다음에는 자신의 재산(財産)을 정확(正確)하게 알리는 것이다. 여기에는 집이나 부동산, 저축이나 주식 같은 금융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것들을 명확하게 밝히고 이것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를 밝혀야한다. 배우자와 자식들 사이에 어떻게 골고루 분배할지 밝히라는 것이다.
법적으로 하면 유산은 배우자가 반(半), 그리고 그 나머지는 자식들이 균분하게돼 있는데 유언장을 쓸 때에는 그런 것에 상관할 필요는 없다.
자기 재산이니 자기가 마음대로 상속할 수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식들이 아니라, 사회단체에 기부하고 싶으면 그것도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다.
금융정보 가운데 가장 흔한것은 은행통장 이겠다. 자신의 돈이 어떤 은행에 어떻게 저축돼 있는지를 밝혀야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은행의 비밀번호를 밝혀놓는 것이다. 이 번호가 없으면 자식들이 그 돈을 찾는 데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주식이나 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갖고 있으면 그것도 밝히자. 그 외에도 여권이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과 같은 자신관련의 주요 서류들도 그 소재지를 밝혀주면 좋겠다.
4)그 다음에는 자식들에게 남기고 싶은 말을 쓰면 좋겠다. 생전에는 아무리 부모자식 사이라도 면전에서 할 수 없는 말들이 있다.
또 그 자식에게 부디 남기고 싶은 말이 있을 수 있다. 그런 말을 적어준다면 자식들은 부모님의 이 가르침을 평생 가슴에 담고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2.마지막으로 덧붙일 수 있는 것은 사전 의료 의향서(事前 醫療 意向書)다.
이 문서는 특별한 경우를 대비해 쓰는 문서로 자신이 의식불명의 상태가 됐을때 받고 싶거나 거부하고 싶은 치료에 대해 밝히자는 것이다.
이 서류는 매우 중요하다. 무의미하게 생명 연장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삶의 말기에 접어들면 더 이상 건강을 되찾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에 부질없이 생명을 연장하는 것은 본인이나 가족, 사회등 어느 누구에게도 좋을 것이 없다.
이 사전 의료의향서에는 대체로 심폐소생술, 인공호흡, 인공투석, 인공영양 공급, 진통제 사용 등의 실시 여부에 대해 답하는 것으로 돼 있다.
독자(讀者)들에게는 이 가운데 심폐소생술이 다소 생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강(强)한 전기충격을 주어 멈춘 심장을 다시 뛰게 하는 것으로, 그부작용이 만만찮다.
그래서 아주 위급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데 식물인간의 상태가 된 환자에게 이 시술을 행하는 것은
어리석기 짝이 없는 일이다. 따라서 이것은 당연히 거부하고 그 외에 인공호흡이나 투석 등도 다 거부하면 된다.
단, 진통제 사용에만 동의하면 된다. 우리가 임종이 가까이 오면 몸이 노쇠하고 병(病)이 깊어 몸이 아주 아프기쉽다. 이때 이통증을 견디기 위해서는 다량의 진통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진통제를 맞아야 존엄하게 생을 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중독이 되면 어떻게 하느냐고 하는데 이제 삶이 몇 개월 안 남았는데 중독이 무슨 대수겠는가?
이렇게 의향서까지 쓰고나면 우리의 임종준비는 거의 끝난 셈이다.<최준식/이화여대 교수·한국학>
[“눈이 위험(危險)하다” 알리는 징후(徵候) 4가지] 눈이 자주 침침해도 "나이가 들었으니…" 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눈 건강을 방치하다
눈 질환(안질환, 눈병)에 걸릴 수 있다. 눈병은 자칫하면 시력을 잃고, 실명까지 갈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병이 바로 눈 질환이다. 암처럼 눈병도 조기발견해야 큰 후유증이 없다.
이와 관련해 '웹 엠디' 등의 자료를 토대로 중년의 건강 위기를 부를 수 있는 눈 질환 경고 신호를 알아본다.
1. 사물이 찌그러져 보인다.
황반변성이 진행되면 노안처럼 가까운 곳뿐만 아니라, 먼 곳을 보는 것에도 문제가 생긴다.
특히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거나, 직선이 휘어져 보이고 중심이 잘 보이지않는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습성 황반변성은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에 항체주사를 맞아 혈관이 새로 자라나는 것을 막아야 한다.
2. 안압이 높다.
안압이 높으면 시신경이 손상될 수있다. 이는 녹내장의 주요 원인이다. 스마트폰을 오래 보면,
안압이 높아 질 수 있다. 머리를 숙여 화면을 장시간 들여다보면 안구에 피가 몰려 안압이 높아질 수 있다.
화면의 작은 글씨를 보기 위해 수정체가 두꺼워지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은 화면 자체가 빛으로 이뤄져 있고,
조명이 어두운 데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안압 변화가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
3. 시야가 흐려진다.
자주 시야가 흐려져도 노안증상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돋보기를 써도 개선되지 않는다. 이때는 눈병을 의심해야 한다.
백내장이 생기면 혼탁해진 수정체로 인해 시야가 흐리거나 왜곡되어 보일 수 있다. "곧 나아지겠지…"라는 생각은 금물이다. 안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4. 시력 감소와 함께 두통이 생긴다.
시력이 떨어지면서 두통, 구토, 충혈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있다. 이는 녹내장의 증상이다. 급성 녹내장은 통증이 심해 환자가 병원을 찾으면서 쉽게 발견된다.
하지만 만성 녹내장은 증상이 없다.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말기이므로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정기적인 안압(안구 내부의 압력) 및 안저 검사를 통해 녹내장을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출처: 코메디닷컴 권순일 기자>
- 좋은 글 중에서 -
|
첫댓글 감사합니다. 이제 고회를 맞았으니 유언장도 생각해볼때가 된것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