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男)과 여(女)의 궁합💠
.
<쌀>은 여성의 성질을
<보리>는 남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벼>에는 수염이 없으나,
<보리>에는 수염이 있다.
그리고
<쌀밥>은 부드럽고 감미로워서
먹기가 좋으나,
<보리밥>은 거칠고 쌀밥처럼
달콤하지 않다.
조물주의 <섭리>는
참으로 <오묘>해서
물(水과 불(火)은
서로 상극(相剋) 이면서도
물과 불이 만나지 않고 서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게
섭리(攝理)해 놓았다.
女性과 밭(田)은 화성(火性)이며,
男性과 논(畓)은 수성(水性)인데,
남성인 '<보리'>는
火성=(女성)인 <'밭'>에서 생육 하고,
여성인 <'벼(쌀)>'는
水성=(男성)인 <'논'>에서 생육 한다.
남성은 여성의 "밭"에서 생존하며,
여성은 남성의 "논"에서 생존할 수 있음은
재미있는 현상이다.
이는, 곧 男女간에
서로 다른 이성(異姓)이 없이는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여성인 벼(쌀)는
어릴 때부터 생장 한 <묘판>에 그대로 두면
벼 구실을 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남성의 <집>인
논(畓)으로 옮겨 심어야 하고,
남성인 <보리>는
싹이 난 바로 그 자리에서 옮기지 않고
계속 살아가게 된다.
이들 생태(生態)는
여성은 <시집을 가서> 살아야
정상적인 <여자 구실>을 할 수 있고,
남성은 성장한 <자기 집에서>
살아가는 것이 <정상임>을 일깨워준다.
여성들의 가장 큰 비애(悲哀)가
시집가는 일이라고도 할 수가 있으나,
이것은
조물주의 깊은 뜻에 의한
攝理(섭리)임을 깨달아야 한다.
世上에는 간혹 <아들>이 없거나,
재물이 많으면 딸 자식을 내 집에 두고
사위를 맞아 들여(데릴 사위) 살게 하는
부모들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딸>은 여자의 <구실>을 할 수가 없으며,
사위 또한 남자의 구실을
제대로 할 수가 없게 된다.
<벼> 와 <보리>는
어릴 때는
꼭 같이 <고개를> 숙이지 않으나,
익을수록 벼(여자)는 고개를 숙이지만
보리(남자)는 익어도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그래서
보리의 성(性)을 지닌 남성은
젊어서나 늙어서나
아내에게 <고개>를
쉬 숙이지 않는 天性(천성)이 있지만,
여성은
나이가 들고 교양이 있어
속이 찬 여인은
스스로 자신을 낮추는
미덕(美德)을 갖게 되며,
이런 여성의 <품성>을 갖춘 <여인>을
현모양처(賢母良妻)라고 한다.
이렇듯 女性인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듯
나이든 여성들은
남성들의 천성(天性)을
체험을 통해
이해하게 되므로
머리를 숙이듯이
이해하고 참아준다.
女人의 그런 품성 덕분에
가정(家庭)에 평화(平和)가 있고,
변함없는 부부(夫婦)의
애정(愛情)을 지킬 수가 있다.
시간이 지나도
꼿꼿하게 고개를 숙이지 않고
서있는벼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한>
<쭉정이>가 되듯이
숙일 줄 모르는 <여인> 또한
속이 차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화(家和)의 바탕은
<아내에게> 달려있다.
남편을 굴복 시키려는 생각이나
맞서려는 생각보다는,
익은 벼가 머리를 숙이듯이
져주면서
미소(微笑)와 애교(愛嬌)라는
부드러운 무기를 사용한다면
이런 아내에게
굴복하지 않을 남편은
아마도 세상에 없을 것이다...!
첫댓글 좋은 글 가슴에 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