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강서성 무주에 위치한 조동종에 대하여...
청원행사(靑原行思:?~740)의 계통에서 동산양개(洞山良介:807~869)를 개조로 하여 갈라져나온 일파이다. 명칭에 대해 2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조동종 제2조 조산과 제1조 동산의 이름을 합하여 '조동'이라 했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선종의 제6조 혜능이 조계에 있으면서 법을 전하고 그의 6세손 양개가 동산에 있으면서 도를 넓혔으므로 '조동'이라 했다는 설이다. 전자는 중국에서 널리 유력한 설이고 후자는 일본에서 유력하다.
종풍의 특색은 세상에 나서길 꺼려하며, 고목중이라 불릴 정도로 마치 고목처럼 오로지 좌선에 전념하는 것이다. 이런 수행법을 묵조선이라 한다. 동산과 조산의 오위사상도 조동종의 큰 특색이다. 동산은 불교의 근본 문제에 대한 선적 파악을 통해 그 자신의 주체적 세계를 확립하고자 했는데, 그가 도달한 세계와 거기에 이르는 길은 그의 2가지 오위송에 의해 이론적으로 총괄된 것이라 간주된다.
편정오위송에서의 5위는 선을 통해 도달하는 진실의 세계를 중층적으로 묘사한다. ① 평등한 세계가 도리어 차별의 세계이다. ② 차별의 세계가 도리어 진실의 세계이다. ③ 평등한 세계에서 나타난다. 곧 평등의 진리가 차별의 세계에 들어온다. ④ 차별의 세계에서 나타난다. 곧 차별의 세계 그 자체에서 평등의 진리가 드러난다. ⑤ 두 세계를 동시에 갖추어 나타난다. 곧 차별의 세계와 평등의 세계 전체에서 조화로운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그의 제자 조산은 의미상의 큰 차이가 없이 이를 다른 말로 개편했다.
다음 공훈오위송에서의 5위는 수행의 5단계이다. 즉 ① 향하는 단계, ② 받드는 단계, ③ 깨달음을 얻는 단계, ④ 깨달음을 함께하는 단계, ⑤ 깨달음이 극에 달하는 단계이다. 결국 이런 실천적 입장을 기반으로 하여 전개해간 것이 묵조선이다.
조동종은 송대 이후 임제종과 함께 중국 선종을 주도했으며, 임제종이공안을 수단으로 내세워 고취한 간화선에 대립했다. 그러나 묵조선은 논리성과 지성을 결여한 것으로서 오직 앉아 있는 것만을 선으로 삼는다는 비난을 받았다. 중국 조동종은 일본에 전래되어 크게 유행했으며, 일본 선종의 3파에 속한다.
※청원행사의 계통에서 동산양개를 개조로 하여 갈라져 나왔다. 종풍의 특색은 세상에 나서길 꺼려하며, 고목처럼 오로지 좌선에 전념하는 것이다. 이런 수행법을 묵조선이라 한다. 동산과 조산의 오위사상도 조동종의 큰 특색이다. 동산은 불교의 근본 문제에 대한 선적 파악을 통해 그 자신의 주체적 세계를 확립하고자 했는데, 그가 도달한 세계와 그곳에 이르는 길은 그의 2가지 오위송에 의해 이론적으로 총괄된 것이라 간주된다. 조동종은 송대 이후 임제종과 함께 중국 선종을 주도했으며, 임제종이 공안을 수단으로 내세워 고취한 간화선에 대립했다. 그러나 묵조선은 논리성과 지성을 결여한 것으로서 오직 앉아 있는 것만을 선으로 삼는다는 비난을 받았다. 중국 조동종은 일본에 전래되어 크게 유행했으며, 일본 선종의 3파에 속한다.
지금 중국 강서성 조동종 조산 보적사는 비구니 도량으로 140여명이 살고 있으며 중창 기념으로 7월 10일 180여명의 외국인(한국 일본 스리랑카)이 동참하여 국제 학술대회와 각종 기념행사를 봉행했다. .

















첫댓글 _()()()_
_()()()_
_()()()_
_()()()_
그리 높지도 않은 산인데... 물이 흐르다니... 환경이 좋은 절이네!!!
_()()()_
_()()()_
_()()()_
_()()()_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