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초 아카시아꽃이 산과 들에 흐드러지게 핀 어느해 5월 하순이었다. 경기도 성남에 사는 한 가정주부로부터 청와 대 육영수여사님 앞으로 한통의 편지가 날아왔다. 그 편지의 사연은 이러했다.
그녀의 남편이 서울역 앞에서 행상을해서 다섯 식구의 입에 겨우 풀칠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데 얼마전 남편이 교통사 고를 당해 병원에 누워있기 때문에 온 가족이 굶고 있다는 것이다. 그녀 자신과 어린 자식들이 끼니를 잇지 못하는 것은 그나마 견딜 수 있지만 80세가 넘은 시어머니가 아무것도 모른채 마냥 굶고있으니 도와 달라는 애절한 사연이었다.
그 때만해도 육영수여사는 이런 편지를 하루에도 수 십통씩 받았었고 이미 널리 알려진대로 가난한 사람들, 병든 사람들,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들을 알게 모르게 많이 도와 주셨다. 그 편지를 받은 바로 그날 저녁 나는 영부인의 지시로 쌀 한가마와 얼마간의 돈을 들고 그 집을 찾아 나섰다. 성남은 지금은 모든게 몰라 보게 달라진 신도시가 되었지만 그때는 철거민들이 정착해가는 초기 단계였기 때문에 도로는 물론 번지수도 정리가 안되어서 집찾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물어 물어 그 집을 찾아갔을 때는 마침 온 가족이 둘러 앉아 저녁상을 받아 놓고 있는 중이었다. 나는 청와대에서 찾아왔다고 말 하고 어두컴컴한 그 집 방안으로 들어갔다. 거의 쓰러지다만 조그만 초막같은 집에는 전기도 없이 희미한 촛불 하나가 조그만 방을 겨우 밝히고 있었다. 머리가 하얗게 센 노파가 누가 찾아왔는지도 모른체 열심히 밥만 먹고있었다. 밥상위에는 그릇에 수북한 흰 쌀밥 한 그릇과 멀건 국 한그릇 그리고 간장 한 종지가 놓여있었다.
그 것을 본 순간 나는 갑자기 매우 불쾌한 생각이 들었다. 쌀이 없어 끼니를 굶고 있다고 하더니 돈이 생겼으면 감자나 잡곡을 사서 식량을 늘려 먹을 생각은 않고 흰 쌀밥이 웬말인가 하는 생각때문이었다.
그러면서 한참 앉아 있으려니까 희미한 방안의 물체가 하나 둘 내 눈에 선명하게 보이기 시작했다. 나는 그때 내가 받았던 충격과 아팠던 마음을 세월이 흐르고 흘러도 잊을 수가 없다. 그 노파가 숟가락으로 열심히 떠 먹고 있던 흰 쌀밥은 쌀밥이 아니라 들판에서 따 온 흰 아카시아꽃이었다. 그 순간 가슴이 꽉 막혀오고 표현 할수 없는 서러움 같은것이 목이 아프게 밀고 올라왔다. ' 나에게도 저런 할머니가 계셨는데'....아무 말도 더 못하고 나는 그 집을 나왔다.
그 며칠 후 나는 박대통령 내외분과 저녁식사를 같이 하게되었다. 그 자리에서 나는 그 이야기를 말씀 드렸다. 영부인의 눈가에 눈물이 보였다. 박대통령께서도 처연한 표정에 아무런 말씀이 없이 천정을 쳐다보시면서 애꿎은 담배만 피우셨 다. 무슨 생각을 하셨을가..... ��'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 나라에서 가난만은 가난만은 반드시'... 이런 매서운 결심을 하시지 않았을가... 60년대초 서독 에 가 있던 우리 나라 광부들과 간호원들을 현지에서 만난 박대통령... 가난한 나라의 대통령과 가난한 나라에서 돈 벌기 위해 이국만리 타향에 와 있는 광부와 간호원... 서로가 아무런 말도 못하고 그냥 붙들고 울기만 했던 그때 ,박대통령은 귀국하면서 야멸차리 만큼 무서운 결심을 하시지 않았을까 '... 가난만은 반드시 내 손으로 ' 이런 결심을.....
백의의.천사 나이팅게일이 영국왕실로부터 받은 훈장증서에는 이런 뜻의 글귀가 적혀있다고 한다. "어려움에 처한 사람 은 물질로 도와라. 물질이 없으면 몸과 노력으로 도와라. 물질과 몸으로도 도울 수 없으면 눈물로 돕고 위로하라" 광부들과 간호원들에게 아무런 도움도 줄 수 없는 가난뱅이 나라 대통령이 그 들을 눈물 아닌 그 무엇으로 위로하고 격려할수있었을까.
나는 매년 아카시아꽃이 흐드러지게 피는 5월이 되면 어린시절 동무들과 함께 뛰어 놀다 배가 고프면 간식 삼아서 아카시아꽃을 따먹던 쓸쓸한 추억과 70년대초 성남에서 만났던 그 할머니의 모습이 꽃이 질 때까지 내 눈 앞에 겹쳐서 아른 거리곤 한다.
혹시 '아카시아밥'을 경험했던 분이 계십니까?
우리나라의 눈물의 희한이 담긴 먹거리를 대라면 '꿀꿀이죽'과 더불어 '아카시아밥'을 들수 있을것 같네요.
그리고 박대통령과 육영수여사는 저런 민초들의 한을 진심으로 가슴 아파하며.. 정진 했던 지도자였습니다..
우리 민족에게 있어 아카시아꽃은 단순히 아름다운 꽃이 아닌 가난했던 나라의 '회한'이었던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