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1. 일반인이 쉽게 알 수 있는 백선증의 자가 진단법이 있나요?
습진과 백선증의 하나인 무좀은 소양증, 홍반 인설, 수포 등 그 임상양상이 유사합니다. 특히 백선증이 발이나 조갑이 아닌 체부나 손에 생기는 경우 습진과 유사한 임상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무좀을 습진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자가 진단하여 무분별하게 연고를 도포하거나 민간요법을 시행하면 원래 병변을 악화시키고 치료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습진이나 무좀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자가로 진단하지 않고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 무좀과 습진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무좀과 습진의 가장 큰 차이는 무좀이 피부사상균(무좀균, 곰팡이)이라는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피부질환이고, 습진은 감염성 피부질환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습진은 피부과학 영역에서 조직학적으로 극세포증을 동반한 해면화와 표재성 혈관주변에 임파구가 침윤된 염증성 피부반응으로, 임상적으로 소양증과 홍반, 인설, 군집성 수포 등의 임상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현재 통상적으로 피부염과 습진을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무좀은 진균(피부사상균, 곰팡이)이 피부의 각질층, 체모 및 손톱, 발톱과 같은 케라틴에 기생하고 번식함으로써 나타나는 감염성 피부질환입니다.
그러나 무좀도 피부염이고 염증을 동반한 피부질환이기 때문에 피부과 전문의가 아닌 일반인이 병변만 보고 무좀과 습진을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3. 무좀의 종류별로 어떤 계열의 약을 쓰는 것이 좋은가요?

무좀은 발생부위에 따라 두부백선, 체부백선, 완선, 수발백선, 안면백선, 수부백선, 족부백선, 조갑백선 등으로 분류합니다.
이와 같은 분류는 침범부위의 각질의 특성인 모발, 손톱 발톱 및 피부각질 등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피부 각질층의 두께, 생리적 특성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관련이 있고, 이와 연관되어 치료 방법과 기간 등이 차이가 있습니다.
무좀의 치료는 항진균제의 국소도포와 광범위한 병변, 모발 및 조갑진균증에 적용되는 항진균제의 전신투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털이 적고 제한된 범위의 병변에는 국소항진균제를 사용하지만 털이 많은 두부백선, 병변이 광범위하거나 다발성 병소인 체부백선과 족부백선, 조갑백선은 항진균제를 전신적으로 투여해야 합니다.
무좀의 종류에 따라 특별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계열의 항진균제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항진균제의 선택은 환자의 병변 범위, 증상, 그리고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물과 상호 작용할 가능성의 여부, 환자의 기저질환의 여부, 환자의 전신상태 등도 고려해서 선택해야 합니다.
4. 1~2살 영아도 무좀에 걸리나요?
소아에서의 무좀은 드물지만 발생 가능합니다. 족부백선의 경우 전체 878명 중 11명이 1세 이하의 영아에서 발생한 예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소아의 경우에는 성인 피부에 비해 얇고 각질층이 미약하고 땀샘과 피지샘의 분비도 적으며 피지의 구성성분도 성인과 다르고, 면역학적으로도 성인에 비해 덜 성숙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무좀도 성인보다 드물게 발생하기는 하지만 무좀에 걸릴 수는 있습니다.
5. 양말을 삶으면 무좀균이 죽나요?
곰팡이가 성장하는 최적의 온도는 22-27°C로, 대개의 곰팡이는 2-40°C 사이에서 성장합니다. 열호성 곰팡이의 경우에는 50°C 이상에서도 성장하나, 60°C 이상에서의 성장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100°C에서 양말을 삶는 경우 무좀균이 죽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6. 손톱깎이로 무좀균이 옮을 수 있나요?
무좀균은 각질층에서 기생하기 때문에 손톱깎이에 무좀균만 옮겨졌다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손톱을 깎는 과정에서 각질과 무좀균이 같이 손톱깎이에 묻었다가 다른 사람이 손톱을 깎는 과정에서 손톱 주변의 피부에 접촉이 되었을 때에는 적절한 조건이 갖추어진다면 옮겨진 무좀균이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7. 간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손발톱무좀약 등을 함부로 복용할 경우 위험한가요?
모든 항진균제는 간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나 다른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약물상호작용에 의해 예기치 않은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투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항진균제의 대사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14-디메틸레이즈(14-demethylase), 스쿠알렌 에폭시데이즈(squalene epoxidase) 등은 간에서 주로 분비되는 효소이기 때문에 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항진균제의 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또한 기저에 간질환이 없더라도 고지혈증 약을 복용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금기인 무좀약도 있기 때문에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물과 상호작용, 환자의 기저질환의 여부, 환자의 전신상태 등을 고려하여 피부과 전문의가 처방하는 항진균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