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란족의 요(遼)를 여진족 금(金)이 대체 | |||||||||||||||||||||||||||||||||||||||||||||||||||||||||||||||||||||||||||||||||||||||||||||||||||||||||||||||||||||||||||||||||||||||||||||||||||||||||
[홍원탁의 동아시아역사 바로보기] | |||||||||||||||||||||||||||||||||||||||||||||||||||||||||||||||||||||||||||||||||||||||||||||||||||||||||||||||||||||||||||||||||||||||||||||||||||||||||
| |||||||||||||||||||||||||||||||||||||||||||||||||||||||||||||||||||||||||||||||||||||||||||||||||||||||||||||||||||||||||||||||||||||||||||||||||||||||||
| |||||||||||||||||||||||||||||||||||||||||||||||||||||||||||||||||||||||||||||||||||||||||||||||||||||||||||||||||||||||||||||||||||||||||||||||||||||||||
동부 만주 삼림 속에서 살던 여진족은, 서 만주 선비족의 후예인 거란족 요 왕조가 운영하던 2원 통치조직의 효용성을 일찍이 체득했고, 1126년에는 북중국 전체를 정복했다. 중국 역사상 1126년이란 한족이 만주족 왕조에 의해 두 번째로 중원으로부터 쫓겨난 사건을 상징한다. 고려와 금 나라의 창건자들은 모두 옛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천명했다. 왕건은 신생왕국을 고구려를 본 따 고려라 불렀고, 금 나라는 실제로 만주 전체를 점거했다. 금사(金史) 기록을 보면, 완안부 시조 자신이 본래 고려(혹은 고구려)에서 왔고, 여진과 발해는 한 가족이라고 말한다. 김부식은 삼국사기를 편찬하면서 고려를 신라의 후계자로 상정하여, 같은 시대의 발해 (689-926) 237년 역사를 제외한 채, 통일신라 (677-935) 258년의 역사만을 삼국사기에 첨부했다. 一然, 李奎報, 李承休, 柳得恭 등의 글은 요동을 포함하는 고구려의 만주 전 강역에 대한 법통을 역사적 근거로 뒷받침 하려는 노력이라 볼 수 있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서울대 교수 홍원탁
1034-44년이 되자 북동 변방지역에서 발해 유민, 생 여진족, 고려인 등이 합세하여 거사를 한다는 보고가 계속 들어오고, 거란족의 요 조정은 토벌 원정군을 계속 보내야만 했다. 1 거란족은 (발해 주민을 구성했던) 말갈-여진 사람들을 요 나라의 구성원으로 흡수했었다. 그래서 요의 통제를 받게 된 여진족은 '길들여진' 여진족이라 불렀고, 그 밖의 여진족은 '생' 여진족이라 불렀다. 2 동북방에서의 끊임없는 반란과 진압 전쟁은 요 나라의 국력을 고갈시켰다. 1125년, 동부 만주의 여진족이 요나라를 접수했다. 금 나라(1115-1234)를 세운 아골타(阿骨打)는 고려와 접경한 산악지대의 완안 부족(完顔部) 지도자였다. 아골타는 이미 11세기에 다른 생 여진족들을 복속시키며 지배 영역을 확장시켰다. 금사 본기 제1권을 보면, 금의 시조(900년 경의 인물인 완안부의 시조 函普를 의미)는 본래 고려에서 왔다(혹은 고구려 출신이다)고 말한다. 또 태조 아골타가 일찍이 "여진과 발해는 본래 한 가족이었다"고 말했다는 기록이 있다. 3 대금국지(大金國志)는 금 나라의 시조(완안부의 시조를 의미)가 본래 신라에서 왔고 성씨가 완안이었다고 말한다. 만주원류고는 금사가 금 시조를 고구려 출신이라고 기록을 했지만, 요사와 금사는 종종 신라와 고구려를 혼동했었기 때문에 그렇게 기록이 된 것이며, 김(金)이라는 신라 왕들의 성은 이미 수 십대를 걸쳐 전해 내려온 것이기 때문에, 나라를 세우면서 신라 왕성을 본따 국명을 금이라 한 것이 분명하다고 말한다. 4 동 만주의 삼림족 목초지의 유목민과는 달리 여진족은 사냥과 고기잡이에 못지않게 농업에 의존했다. 여진족은 소규모로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고, 사냥을 하고, 물고기를 잡는 등의(반 유목, 반 농경) 혼합 경제를 영위했다. 그들은 삼림족이면서도 훌륭한 기병대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 고유의 부족 조직과 사냥을 통해 숙달된 활 쏘기 말 타기 등은 주변의 유목민에 전혀 손색없는 군사적 전통을 만들어 냈다. 부족 가구들은 세습적 지도자의 휘하에 모여 무리를 지었다. 여진족들은 변변치 않은 생계를 꾸려가기 위해 들에 나가 힘들게 일을 해야 했지만 일단 전쟁이 벌어지면 전리품을 얻기 위해 마치 가족 내 일인 듯 싸움에 총력을 집중했다. 여진족은, 항복한 한족이나 거란족까지 포함해, 정복한 부족들을 자신들 본래의 부족장의 지휘 하에 새로운 군대 단위조직을 만들어 흡수했다. 일찍이 (349-410 기간 중 전연, 후연, 서연, 남연 등 명칭으로 등장했던) 선비족 연 왕조는 북중국을 통일한 또 다른 선비족인 탁발족 북위(386-534)에게 망한 것이다. 700여 년 후, 거란족의 요 나라는 (북송으로부터 중원을 빼앗아) 북중국 전체를 차지한 또 다른 만주족인 여진족에게 망한 것이다. 2원 통치제도의 답습 여진족은 1126년에 송의 수도 개봉을 포함해 북중국 전체를 정복했다. 중국 역사상 1126년이란 한족이 만주족 왕조에 의해 두 번째로 중원으로부터 쫓겨난 사건을 상징한다. 양자강 남쪽 항주에 송 나라의 새 수도가 세워졌다. 1141년, 송 조정은 화이강(淮河) 이북의 전 지역을 정식으로 떼어주고 금 나라에 조공을 바치면서 신속(臣屬)하기로 약속했다. 6 북중국을 모두 상실하기 이전의 송을 북송(960-1126)이라 부르고, 남으로 쫓겨난 후의 송을 남송(1127-1279)라고 부른다. 선비족 정복 왕조의 지배 귀족 씨족 출신인 수와 당 왕조의 창건자들은 팽창정책과 대국의 위세를 천하에 과시할 수 있었다. 당 왕조의 후계자임을 자처하는 송 나라는 당의 잔해를 거두어 나라를 세웠으나, 317년에 진 나라 지배자들이 남쪽으로 달아났듯이, 여진족 금에 의해 중원에서 완전히 축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남송은 달리(大理), 월남 등을 포함한 수많은 남방 영토를, 몽골에게 멸망되기 오래 전에, 상실했다. 7 여진족 조정은 1153년에 수도를 하얼빈에서 북경으로 옮겼고, 1161년에는 개봉으로 옮겼다. 금 나라 지배자들은 많은 여진족들을 북중국 정복지로 이주시켜 수비대 임무를 수행토록 했다. 하지만 많은 수의 여진족들은, 금 나라 시대 내내, 만주에 그대로 남아 옛 전통적 생활을 계속했다. 여진족 금나라는 유목민 고유의 기병대에 손색없는 기병을 보유하는 전방 수비대들을 유지했다. 세습적인 여진족 군호(軍戶)들은 한족 농민들로부터 빼앗은 농토와 노예들을 배정 받았고, 한족들과는 분리되어 정착시켰다. 하지만 여진족 병사들이 영농-수비대 생활방식에 완전히 적응하기가 쉽지는 않았다. 8 금의 정복을 피해 달아난 일단의 거란 귀족들은 서방으로 계속 이동을 하여 서요 왕조(흑거란, 1124-1211)를 수립했다. 9 다분히 몽골적인 이들 거란족이 몰려와 돌궐 유목민들을 복속시킨 것은, 100여 년 후, 징기스칸의 진짜 몽골족의 출현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고려와 금이 모두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천명 요와 북송(960-1127)을 정복한 후, 금 나라 지배자들은 고려 조정에 신하-주군 (臣屬) 관계를 요구했다. 고려는 영토 보전의 대가로 금의 요구를 수용할 수 밖에 없었다. Ledyard(1983: 324)에 의하면, "고려는 본래의 영토를 보전하는 동시에 압록강 아래 땅을 추가할 수 있었다. 송 나라가 여진족에게 북중국 전체를 빼앗긴 반면, 고려는 외교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여진족의 침략을 회피할 수 있었다"고 한다. 송 왕조는 (북송, 960-1127, 남송, 1127-1279) 계속 남쪽으로 쫓기어 내려가다가 마침내는 완전히 멸망했는데, 놀랍게도 고려 왕조(918-1392)는 거란의 요(916-1125), 여진의 금(1125-1234), 몽골의 원(1206-1368) 등을 모조리 겪으면서 이들 모두보다 더 긴 수명을 유지할 수 있었다. 고려와 금 나라의 창건자들은 자신들의 뿌리를 추적하면서, 모두 다 옛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천명했다. 왕건은, 비록 영토는 압록강까지 밖에 이르지 못했지만, 자신의 신생왕국 명칭을 고구려를 본 따 고려라 불렀고, 금 나라 창건자는, 왕건 보다는 한 발 늦었지만, 실제로 그 넓은 만주 전 강역을 점령했고, 금사에 기록된 바와 같이, (완안부) 시조 자신이 본래 고려에서 왔다고 (혹은 고구려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일찍이 발해는 일본열도의 야마도 왕국과의 공식 외교문서에서 자신을 고려라 불렀다. 11 금 나라를 세운 완안 씨족의 국가수립 이념은 생 여진족을, 고구려 사람을 선조로 하는, 발해의 유민으로 간주하는 것이었다. 12 1136년, 고려 조정에서는, (묘청의 故土수복 이념-요즘의 평양인 西京이념-으로 대변되는) 고구려 법통을 신봉하는 파가(한반도 지배만으로 만족하는 신라 귀족 후손 김부식으로 대표되는) 신라 후계자임을 신봉하는 유학(儒學)파와의 싸움에서 패했다.13 이 싸움에서 유학파의 승리는 1170년에 무신의 난이 일어날 때까지, 문신 지배체제를 확립했다. 1145년에 완성된 삼국사기를 편찬하면서 김부식은 사대주의 사상을 수용하고 고려를 한반도에 한정된 신라의 후계자로 상정하여 같은 시대의 발해 (689-926) 237년 역사를 제외한 채 통일 신라 (677-935) 258년 역사만을 삼국사기에 첨부했다. 발해와 신라를 북조와 남조로 설정 일연(一然), 이규보(李奎報), 이승휴(李承休), 유득공(柳得恭) 등의 글은, 고구려의 정신적 후계자들이 김부식의 왜곡을 교정하고 요동을 포함하는 옛 고구려의 만주 강역에 대한 법통을 역사적 근거로 뒷받침 하려는 노력이라 볼 수 있다. 14 유득공은 고려 조정이 발해와 신라의 역사를 "북조와 남조의 역사"라는 구도로 편찬을 하지 못한 사실을 개탄했다. 유득공은 발해고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고려가 발해사를 편찬하지 않았으니, 고려의 국력이 떨치지 못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5 옛날에 고씨가 북쪽에 웅거하여 고구려라 하였고, 부여씨가 서남쪽에 웅거하여 백제라 하였으며, 박-석-김씨가 동남쪽에 웅거하여 신라라 하였다. 이들이 삼국을 이루어 마땅히 삼국사가 있어야 했는데, 고려가 이를 편찬하였으니 옳은 일이다. 부여씨가 망하고 고씨가 망하자 김씨가 남쪽을 영유하였고, 대씨가 그 북쪽을 영유하여 발해라 하였다. 이들이 남북국을 이루었으니 마땅히 남북국사가 있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가 이를 편찬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일이다. 무릇 대씨란 누구인가? 바로 고구려 사람이다. 그가 소유한 땅은 누구의 땅인가? 바로 고구려의 땅으로, 발해가 동쪽과 서쪽과 북쪽을 물리치고 이전보다 더 넓혔던 것이다. 김씨가 망하고 대씨가 망한 뒤에 왕씨가 이를 통합하여 고려라 하였는데, 남쪽 김씨의 땅은 전부 거두었지만, 북쪽 대씨의 땅은 모두 거두지 못했다. 일부는 여진족 땅에 편입되기도 하고, 일부는 거란족 땅에 편입되기도 하였다. … 발해가 요 나라에 멸망되었어도 … 발해 수도 홀한성이 함락되었을 때 고려로 도망해 온 사람들이 세자 이하 10여 만 명이나 되었다. … 장건상은 당나라 사람이었으면서도 오히려 발해국기를 편찬 했는데, 고려 사람은 어찌 발해 역사를 편찬 할 수 없었단 말인가?" 동아시아 역사 강의: 3-3 (2005. 8. 6.) ⓒ 2005 by Wontack Hong
1. Barfield (1989: 176-8) 참조. 2. 당 나라 때에는 “야만”의 생 여진족을 흑수 말갈이라 불렀다. 3. 金史 卷一 本紀 第一 世紀 金之始祖諱函普 初從高麗來… 兄…留高麗不肯從…始祖居完顔部僕幹水之 涯 … 招諭渤海人曰 女直渤海本同一家 蓋其初皆勿吉之七部也 4. 欽定滿洲源流考 卷七 部族 完顔 五代 金史世紀 금사 지리지를 보면 금이라는 국가 명칭은 송화강 하류로 흘러 드는 “아시”라는 강의 여진 명칭에서 유래한다고 말한다. 금 조정은 이 외지고 작은 강 유역에 상경을 설치했었다. Janhunen (1996: 155) 참조. 만주원류고를 편찬한 청 나라 황제들은 명백히 금 나라 시조가 자신들의 직계 선조라고 믿었다. 欽定滿洲源流考 卷首諭旨 上諭頃閱金史世紀云 金始祖居 完顔部 其地有白山黑水…本朝肇興 .. 與大金正同 史又稱金之先出靺鞨部古肅愼地…我朝得姓曰愛新覺羅氏 國語爲金曰愛新 可爲金源同派之證 5. Franke and Twitchett (1994: 265 and 273) 참조. Twitchett and Tietze는 여진족이 “요 나라와 접촉을 하면서 좀더 조직화되고 제도화된 정부 형태를 인지하게 되자 전통적인 부족 조직 만으로는 거란족과 겨루어 볼 수가 없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Franke and Twitchett (1994: 220). Fairbank and Goldman(1992: 115)은 “요 나라가 그랬던 것처럼, 한족과 유목민을 포괄하는 금 제국은 초원의 말과 북중국의 곡물을 통합 하고 송을 공격해 남쪽으로 쫓아낼 수 있었다”고 말한다. 6. Jagchid and Symons(1989: 134-5)은 “25만 량의 은과 25만 필의 비단을 매년 바치고, 남송 스스로가 금의 제후라 선언했다”고 말한다. 남송 황제는 여진족 금 나라의 지배자를 숙부 황제라고 불렀다. 金史 卷六 本紀 第六 世宗上 五年正月 宋…以國書來… 稱『姪宋皇帝』 稱名『再拜奉書于叔大金皇帝』 7. Hsiao (1978: 6-7)에 의하면, “8세기가 시작되면서 징집된 병사들을 대체하기 시작한 용병들은 송 대에 와서 절정에 달했다.” 100만이 넘는 용병들은 북송, 남송 양 대에 걸쳐 정부 재정의 80% 이상을 이상을 소모시켰으나, 용병의 구성내용을 보면 대부분 굶주린 부랑자, 무위도식 꾼들, 그리고 범죄자들로 채워졌었다. 8. Hsiao(1978: 29)에 의하면, “여진족 병사들은 농경을 하기를 싫어했기 때문에 정부로부터 받은 농토를 한족에게 소작을 주다가 마침내는 모두 팔아버렸다.” Hsiao(1978: 9)에 의하면, 1187년 호구조사에 등록된 450만 인구 중 45%가 세습 여진족 군호에 속했다. Fairbank and Goldman(1992: 115)에 의하면, 금 나라 때, [노예를 포함해] 여진족은 600만, 요 나라로부터 존속하는 거란족이 400만, 그리고 정복된 북중국의 한족이 3천500만으로 추계되었다. 9. Grousset (1970: 186) 참조. 서요(西遼) 왕조는 발카쉬 호수 남쪽 무슬림 투르케스탄에 위치 했으며, 영토가 하미로부터 아랄 해에 달하여, 카쉬가르, 탈라스, 타쉬켄트 등을 포함했다. 서요는 트랜스-옥시아나와 이란을 지배하고 있던 무슬림 돌궐족의 호와리즘 제국과 서쪽 국경을 이루었다. 몇몇 거란 부족들은 계속 서방으로 이동을 하여, 11세기 중엽, 우랄과 볼가강 지역에 이르러, 당시 러시아 초원을 지배하던 킵챡 돌궐족 지배층에 합류했던 것으로 믿어진다. 10. Fairbank and Goldman (1992: 115) 참조. Crossley(1997: 21)는 여진족이 거란 문자를 약간 변형시켜 자신들의 말을 기록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11.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고구려를 단순히 고려라고 기록한다. 12. Rogers (1983: 159) 참조. 13. Ledyard (1983: 152)는, 신생 고려 왕국의 군 출신 지도자들은, 멸망한 신라의 귀족들이 오랜 기간 체득한 전문적인 국가 경영 기술을 간절하게 필요로 했고, 결과적으로 신라인의 정서가 수도 개성을 지배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14. 대략 1281-3년 기간 중에 편찬된 삼국유사, 이규보가 1193년에 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동명왕(東明王) 편, 이승휴(1224-1300)가 저술한 제왕운기(帝王韻紀), 유득공(1748-1807)이 1784년에 완성한 발해고(渤海考) 등을 참조. 15. 柳得恭 渤海考
The Qidan Liao replaced by the ruzhen jin Wontack Hong
By 1034-44, the northeastern frontier kept reporting alliances among the Parhae, wild Ruzhen tribes, and Koreans, necessitating the Qidan Liao punitive expeditions.1 The Qidans had incorporated some Ruzhen tribes (likely those Mohe-Ruzhen people that constituted the Parhae population) into the Liao state, who were called “tame” Ruzhen. Those who were not under Liao control were known as “wild” Ruzhen. 2 The frequent revolts and wars along its northeastern flank drained the Liao dynasty. The Liao state was taken over in 1125 by the wild Ruzhen tribes from eastern Manchuria. Aguda, the founder of the Jin or “Golden” dynasty (1115-1234), was a leader of the Wan-yen tribe from the mountainous Korean borderland. He was able to expand his dominance over the other wild Ruzhens during the eleventh century. The History of Jin states, at the very beginning, that the founder of the Jin (implying the ancestor of the Wan-yen clan, by the name of Han-pu who lived sometime around the year 900) had originally come from Koryeo (or Koguryeo). Aguda is recorded to have stated that “the Ruzhen and the Parhae were originally the one and the same family.” 3 The Chronicle of Great Jin states that the founder of the Jin dynasty (implying the ancestor of the Wan-yen clan), though recorded to have come from Koguryeo in the History of Jin, had originally come from Silla with the clan name of Wan-yen. Since the Silla royal surname of Kim has been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ver many dozens of generations, the Chronicle continues, the royal surname of Silla without doubt became its dynastic name. 4 the woodsmen of eastern manchuria Unlike the steppe nomads, the Ruzhens relied upon farming as much as upon hunting and fishing. The Ruzhens had a mixed (say, semi-nomadic or semi-sedentary) economy that combined patchy farming with stock-raising, hunting, and fishing. They were forest tribes and yet had a fine cavalry. Their tribal organization and their archery and horsemanship perfected by hunting had produced a military tradition similar to their nomadic neighbors. The tribal families were grouped together under their hereditary commanders. The Ruzhens worked hard in the fields to earn a meager living but, once in war, they devoted themselves to fighting, as if it were a family affair, in order to capture booty. The Ruzhens absorbed the conquered tribes, even including the surrendered Chinese and the Qidan tribes, as new military units under the command of their own native tribal leaders. The early Yan dynasties (designated either as the Former, Later, Western or Southern Yan, 349-410) had fallen victim to another Xianbei tribe, the Touba Wei (386-534), that went on to unify North China. Seven hundred years later, the Qidan Liao also fell victim to another Manchurian tribe, the Ruzhens, who went on to conquer North China, seizing the whole Central Plain from Song. Maintaining the dual administrative structure The Ruzhens Jin had inherited the dual administrative structure of the Qidan Liao dynasty. Twitchett and Tietze states that “the basic feature of their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system was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native Ruzhen traditions, features inherited from the Liao state and the Chinese (Song) influence,” and that the socio-military organization of the Ruzhen Jin was “a precursor of the Manchu banner system” (see Franke and Twitchett, 1994, pp. 265 and 273). 5 The Ruzhens occupied all of North China by 1126, including the Song capital of Kaifeng. In Chinese history, the year 1126 marks the second time the Han Chinese were driven out of the Central Plain by a Manchurian conquest dynasty. A new Song capital was established at Hang-zhou south of the Yangzi River. In 1141 the Song court formally ceded the whole area north of the Huai River and agreed to vassalage and payment of tributes to the Jin.6 The Song dynasty prior to the loss of North China is called the Northern Song (960-1126), and after its loss, the Southern Song (1127-1279). The founder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who were born of the ruling aristocratic clans of the Xianbei conquest dynasties, could demonstrate expansionism and assertiveness. The Song, the self-claimed heir to the Tang dynasty, had picked up the pieces of the shattered Tang state, but was completely pushed out of the Central Plain by the Ruzhen Jin, as did the (Eastern) Jin court with its flight southward in 317. The Southern Song lost control over many regions in the south including Ta-li and Vietnam long before it was annihilated by the Mongols. 7 The Ruzhen court had moved its capital from Ha’erbin to Beijing in 1153, and then to Kaifeng in 1161. The Jin rulers resettled many of the Ruzhen people into the conquered land of North China to perform garrison duties. Many Ruzhens had still remained in Manchuria during the Jin period, and continued to live in the old traditional manner. The Ruzhen Jin maintained border garrisons equipped with a cavalry equal to the nomads’ own. The hereditary Ruzhen military families were allocated slaves and farmland confiscated from the Han Chinese farmers, and they were kept separate from the Chinese population. It was, however, difficult for the Ruzhen soldiers to adjust fully to the settled farming-garrison life.8 A group of Qidan nobility who escaped the Jin conquest of the Liao moved westwards, and established the Western Liao dynasty (Black Qidan, 1124-1211). 9 The arrival of these rather Mongolic Qidan tribes to subjugate Turkic nomads presaged, by a hundred years, the arrival of the pure blooded Chenggis Khanite Mongols themselves. Like the Qidan, the Ruzhens also tried to maintain their ethnic identity, using its own script and setting up Ruzhen language schools at Keifeng.10 The Jin emperor Shi-zong (r.1161-89) instituted a program to train Ruzhen elites in warfare and hunting. Aristocrats were compelled to leave Kaifeng and set up camp in Inner Mongolia or Manchuria to toughen them up by experiencing a harsher life and to develop their skills in riding and shooting. Crossley (1997: 23) notes that the Shi-zong’s “experiment, which was not a success, was considered both a model and a warning by the Manchu emperors who later ruled China.” Being immersed in the Chinese population, the resettled Ruzhens could not effectively resist sinification. Koryeo and Jin claiming the successor to Koguryeo After conquering the Qidan Liao and Northern Song (960-1127), the Jin rulers demanded the Koryeo court to enter into a suzerain-subject relationship. The Koryeo had no alternative but to assent to Jin’s demand as the price of its territorial integrity. Ledyard (1983: 324) notes: “Koryeo managed to hold on to what it had and still add the cis-Yalu area. And while Song lost all of northern China to the Ruzhens, Koryeo managed to settle its affairs diplomatically and thus warded off a Ruzhen invasion.” Amazingly enough, the Koryeo dynasty (918-1392) survived and outlived the Qidan Liao (916-1125), the Ruizhen Jin (1125-1234) and the Mongol Yuan (1206-1368), while the Song dynasty (960-1127-1279) was pushed further and further down to south only to be completely wiped out. The founders of both the Koryeo and Jin dynasties, in quest for their origins, claimed the successor to ancient Koguryeo: the former by naming his new state Koreyo, a shortened form of Koguryeo, though its rule barely extended to the Yalu River, and the latter, having occupied vast Manchurian domains but, facing Wang Keon’s prior claim, by asserting that the founder originally came from Koryeo (or Koguryeo).11 Parhae had referred to itself as Koryeo in official communications with the Yamato kingdom, and the state-founding ideology of the ruling Wan-yen clan was to perceive the wild Ruzhens as the remnant people of Parhae with Koguryeo ancestry.12 In Koryeo, the faction adhering to the legacy of Koguryeo, represented by the irredentist ideology (or the ideology of Western Capital, the modern Pyung-yang) of the monk Myo-cheong, lost their battle in 1136 against the Silla-successionist Confucian faction represented by Kim Busik of royal Silla descent who were satisfied with the peninsular status.13 The triumph of the Confucianist faction inaugurated dominance by the civil officialdom until the military coup in 1170. In compiling Samguk-sagi (completed in 1145), Kim Busik accepted the Serve-the-Greater ideology, postulated Koryeo as the heir of Silla with peninsular setting, and added the 258-year history of “Unified” Silla (677-935) ignoring the history of its contemporary, Parhae (689-926). Parhae and Silla as the Northern Dynasty and the Southern Dynasty The writings by Il-Yeon, Yi Kyubo, Yi Seung-hiu, and Yu Deuk-gong represent the efforts of the spiritual heirs of Koguryeo to redress the Kim Busik’s distortions and give a historical foundation for a de jure claim to Koguryeo’s Manchurian domains including the Liao-dong area.14 Yu Deuk-gong deplored the Koryeo’s failure to compile “the History of Northern Dynasty and the History of Southern Dynasty” dealing, respectively, with Parhae and Silla. Yu Deuk-gong wrote the preface for his study on the Parhae History as follows.15 The Koryeo did not compile the History of Parhae, and so we understand the limited growth of its national power. In old days, the Ko clan resided in the north calling their nation Koguryeo, the Puyeo clan resided in the southwest calling their nation Paekche, and the Pak-Seok-Kim clans resided in southeast calling their nation Silla. These were the Three States whose histories should be duly compiled, and the Koryeo rightly obliged with their compilation. With the fall of the Puyeo clan and the Ko clan, the Kim clan occupied the south, and the Tae clan occupied the north calling their nation Parhae. Silla and Parhae should, respectively, be called the southern and northern states with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c histories, and yet the Koryeo compiled only the history of (unified) Silla. This was wrong. After all, who were the Tae clan? They were precisely the Koguryeo people. Whose territory did the Tae clan occupy? It was precisely the Koguryeo territory, and they could expand it further to the east, west and north. With the fall of the Kim clan and the Tae clan, the Wang clan unified the nation and called their nation Koryeo. They could occupy the whole of the Kim clan’s territory in the south, but could not occupy the whole of the Tae clan’s territory in the north. A portion of the northern territory was lost to the Ruzhen, and a portion of it to the Qidan. … Even though the Parhae was destroyed by the Liao, … when its capital was captured, the Crown Prince and 100 thousand Parhae people escaped to Koryeo. … Zhang Keon-zang (806-66) was a Tang person, and yet he had compiled the History of the Parhae State. How come, the Koryeo people could not compile the history of Parhae?
2 During the Tang dynasty, the Savage Ruzhen had been called the Black-Water (Hei-shui) Mohe. 3 金史 卷一 本紀第一 世紀 卷七 部族 完顔 遼 祥符三年 契丹征高麗道由女眞女眞復與高麗合兵拒之 契丹大敗而還 自天聖後屬契丹世襲節度使兄弟相傳 卷七 部族 元 … 金始祖 本從 新羅來 號完顔氏 所部稱完顔部 新羅王金姓則金之遠派出 The Geography Section of the History of Jin, however, states that the dynastic name Jin (implying Golden in Chinese and Alchun in Tungusic) might have been based on the Ruzhen name of the river Ashi, a southern tributary of the Lower Song-hua. On this minor local river, the Ruzhen established their Supreme Capital. See Janhunen (1996: 155). The Qing emperors clearly believed that the founders of the Jin dynasty were their direct ancestors. 欽定滿洲源流考 卷首諭旨 上諭頃閱金史世紀云 金始祖居完顔部 其地有白山黑水…本朝肇興 .. 與大金正同 史又稱金之先出靺鞨部古肅愼地…我朝得姓曰愛新覺羅氏 國語爲金曰愛新 可爲金源同派之證 金史 卷六 本紀第六 世宗上 五年正月 宋…以國書來… 稱姪宋皇帝 稱名 再拜奉書于叔 大金皇帝 7 According to Hsiao (1978: 6-7), “the mercenary army that had begun to replace the conscript army since around the turn of the eighth century became full-fledged under the Song.” The ranks of the mercenary army, numbering over one million soldiers and costing more than 80 percent of government revenues throughout most of the two Song dynasties, were mainly filled with starving vagabonds, idlers, and criminals. 8 According to Hsiao (1978: 29), “the Ruzhen soldiers of the Jin were reluctant to cultivate land; first they leased the land allocated to them by the government to Chinese tenants, and eventually they sold it in toto.” According to Hsiao (1978: 9), about one-seventh of the 45 million people registered in the 1187 census were members of these hereditary Ruzhen military families. According to Fairbank and Goldman (1992: 115), the Ruzhens of the Jin dynasty totaled about 6 million [including slaves], the Qidans remaining from the Liao dynasty about 4 million, and the Han Chinese subjects in North China about 35 million. 9 Grousset (1970: 186) 10 See Fairbank and Goldman (1992: 115). Crossley (1997: 21) notes that the Ruzhens had adapted Qidan script for the writing of their own language. 11 In Kojiki and Nihongi as well as in the History of Jin, Koguryeo is written simply as Koryeo. 12 See Rogers (1983: 159). 13 Ledyard (1983: 152) notes that the military leaders of the new state badly needed the expertise in administrative affairs which the aristocracy of the defunct Silla state could offer, and the Silla ethos quickly gained the ascendancy in Kae-seong. 14 See Samguk-Yusa written by the Monk Il-Yeon in ca. 1281-3, “Ode to King Tong-myung” in Dong-guk Yi-sang-guk Jip written by Yi Kyu-bo in 1193, Zhe-wang Ungi (Rhymed Record of Theocrats and Kings) by Yi Seoung-hiu (1224-1300), and Parhae-Ko completed in 1784 by Yu Deuk-gong (1748-1807). 15 柳得恭 渤海考
http://www.WontackHong.pe.kr ⓒ 2005 by Wontack Hong
한(漢)나라와 흉노제국의 공존은 만주의 탁발선비족(北魏)에 의한 북중국 정복으로 이어졌다. 수(隋)-당(唐)나라와 돌궐제국의 공존은 만주의 거란족(遼)과 여진족(金)에 의한 북중국 정복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몽골 고원에서 징기스칸의 등장은, 북중국에서 만주족 정복국가와 통일된 몽골족 제국의 대결이라는 전혀 새로운 상황을 전개시켰다 흉노와 위구르 돌궐족은 한족 왕조에 대해 갈취(喝取)전략을 사용했다. 징기스칸의 초기 목표 역시 중국 본토의 정복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족 조정들과는 달리, 만주족의 금나라 조정은 몽골족에 대한 유화정책을 단호하게 거부했다. (한족 전통을 따라) 갈취에 순순히 응하지 않고, 왕조 자체가 완전히 멸망할 때까지 몽골족에 대항해 싸웠던 것이다. 몽골 지배자들은 몽골어로 주요 정무를 수행하고, 궁전 마당에 천막을 치고 살며, 몽골 고원에서 여름을 보내고, 피나는 내부투쟁을 통해 황제를 선택하는 전통을 유지하면서 중국화 현상을 막으려 노력했다. 쿠빌라이는 중국인과의 결혼을 억제했으며, 자신도 몽골 여인만을 후궁으로 들였다. 원나라가 망한 후, 몽골의 지배자들은 중국의 언어와 문화에 동화되지 않았다. 그들은 단순히 군대를 이끌고 몽골고원으로 달아나 버린 것이다. 1368년, 자신의 본고향으로 도망 온 몽골족은 북원(北元)을 세워, 17세기 초에 만주족 청나라에 정복될 때까지 명맥을 유지했다. 이제 북원의 첫 번째 황제가 절반은 한국 사람이란 이야기를 들으면 놀랄 사람도 많을 것이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몽골 초원의 늑대가 만주 삼림의 호랑이를 대체 몽골족의 원(元)이 여진족의 금(金)을 대체 한나라와 흉노제국의 공존은 만주의 탁발선비족(北魏)에 의한 북중국 정복으로 이어졌다. 중국의 수-당나라와 (위구르-투르크) 돌궐제국의 공존은 만주의 거란족(遼)과 여진족(金)에 의한 북중국 정복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몽골 고원에서 징기스칸(1206-27)의 등장은, 북중국에서 만주족 정복국가와 통일된 몽골족 제국의 대결이라는 전혀 새로운 상황을 전개시켰다. 징기스칸이 1206년에 몽골 부족들을 모두 통합하기 이전의 몽골족은 초원지대의 약소 부족에 속했으며, 대부분의 몽골 고원은 돌궐족들이 점거하고 있었다. 이미 7세기 초에 돌궐족의 일부는 당 태종(626-49)의 공격을 받아 서쪽으로 달아났다. 이제 몽골 제국과 만주족 (요와 금) 왕조 등, 양쪽에서 밀어오는 압력 때문에, 대부분의 돌궐족들은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 방향으로 달아날 수 밖에 없었는데, 본의 아니게 몽골족의 유라시아 정복 통로를 미리 개척하고, 범-유라시아 몽골제국 출현을 위해 초원의 고속도로를 깔아준 꼴이 됐다. 유목정복자들은 정복을 하러 갈 때, 항상 도중에서 마주치는 온갖 유목민들을 자신들의 깃발 아래로 거둬들이려 노력했다. 바투(1227-55)가 (징기스칸의 유언에 의해 바투에게 특별히 할당된) 단지 4,000명에 지나지 않는 순혈(純血) 몽골군을 이끌고 1236-41년 기간 중 유럽 침공을 성공적으로 수행, 흑해와 코카서스 북쪽의 초원지대를 포함하는 고대 스키타이 지역 전체를 점령하고 러시아 공국들을 복속시킬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오래 전에 이 지역에 이주 정착한 돌궐족들을 동원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1 몽골족은 모두 합해 150만 명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에, (거란족, 한족, 위구르족, 티벳족, 터어키족, 페르시아인 등을 포함해) 저항하지 않고 항복하는 모든 종족들을 되도록이면 전부 다 몽골의 군대와 정부기구에 흡수 편입시키고자 노력했다. 예컨대 항복한 송나라의 장수 하나가 몽골족이 하천에서 싸우는 함대를 건조하는 작업을 도와주었기 때문에 몽골군이 하천과 운하가 많은 남중국 정복을 좀더 빨리 마칠 수 있었던 것이다. 많은 신부군(新附軍, 항복한 송군)이 몽골족 혹은 (거란, 여진, 고려인을 포함하는) 북중국 한족 장교의 지휘를 받는 새로운 부대로 조직되거나 기존의 원나라 군대에 편입됐다. 2 징기스칸은 유동적인 연합체 형태로 뭉쳤던 부족-씨족의 군대를 전면적으로 재편성하여, 엄격한 위계질서를 갖춘 군대조직을 창출했다. 병사의 수가 1,000명이 넘은 부족 또는 씨족은 1,000명 단위로 분할을 하여 몇 개의 맹안(猛安)을 조직했다. 1,000명이 안 되는 맹안은 다른 씨족이나 부족에 흩어져 있는 친척들, 심지어는 전쟁포로까지 끌어 모아 채웠다. 15살에서 70살까지의 성인 남자는 모두 전쟁에 필요하면 동원이 될 수 있었다. 각 부대 단위 별로 목초지가 배정됐고, 병사들의 가족은 모두 동일한 지휘체계에 편입됐다. 그러나 세습 지휘관들은 봉건 귀족이라기보다는 장교단을 구성했다. 천인(千人)장들의 수입은 관행적으로 그들이 관할하는 자급자족형의 군인 가족들로부터 징수하는 조세와 전쟁에서 획득하는 전리품에 의존했다. 그러나 원나라 수립 이후, 이들 지휘관은 세습적으로 급료를 받는 귀족이 됐다. 3
흉노와 위구르-돌궐은 전통적으로 한족 왕조에 대해 갈취 전략을 사용했다. 징기스칸의 초기 목표 역시 중국 본토의 정복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5 그러나 한족 조정들과는 달리, 만주족의 금나라 조정은 몽골족에 대한 유화정책을 단호하게 거부했다. (한족 전통을 따라) 갈취에 순순히 응하지 않고, 왕조 자체가 완전히 멸망할 때까지 몽골족에 대항해 싸웠던 것이다. 몽골족은 1227년에 서하, 1234년에 금, 1259년에 고려, 1279년에는 남송을 정복하였다 Janhunen(1996: 134)은 “동아시아에서 몽골의 정복이 쉬웠던 적은 한번도 없었다. 서하와의 전쟁은 20년간(1207-27) 지속되었고, 금과는 24년(1210-34), 고려와는 40년(1219-59), 남송과는 44년간(1235-79) 전투가 지속되었다”고 말한다. 한족이 선비족의 북위, 거란족의 요, 여진족의 금과 대치했을 때에는 중국대륙 남쪽에서 그들의 문화적 정치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몽골족은 한족 왕조를 완전히 소멸시켰다. 한족 국가의 영역 전체를 완전히 정복해버린 것은 훗날 만주족 청나라에 의해 모방되는 것이다. 몽골족은 신속하게 항복을 받아내고 반란을 방지하기 위해 대량학살이라는 공포작전을 채택했다. 그들은 도시를 불사르고 농토를 파괴하여 목초지로 만들었다. 동(東)이란의 경우, 인구의 5분의 4가 학살되었다. 몽골족의 야만성은 정주(定住)의 문명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1234년에 금나라를 정복할 즈음, 몽골족은 수많은 문명화된 자문관들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미 이민족의 지배에 익숙해져 있던 북중국에 제국을 세워 통치하는 기술도 습득할 수 있었다. 징기스칸의 손자인 쿠빌라이(1260-94)는 남송을 멸망시키기 8년 전인 1271년에 자신을 원나라의 황제라고 선언할 수 있었다. 동 투르키스탄의 위구르-돌궐족은 저항없이 곧바로 항복을 했기 때문에, 징기스칸은 위구르 지배자를 자신의 5번째 아들이라고 불렀다. 몽골은 위구르 문자를 채택하여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했다. Ledyard(1983: 348)는 “몽골족의 일상생활에 한족의 습속(習俗)이 침투하기 이전에 이미 위구르 문자의 영향을 받았고, 중앙아시아의 행정과 통치 기술,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종교적인 흐름이 몽골인의 생활에 침투했다는 사실은 단순히 역사적인 우연일지도 모르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다양한 서비스와 기술들이 몽골인들에게 이미 제공되었었기 때문에 구태여 한족들로부터 유사한 기술과 서비스를 얻으려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몽골족이 한족 생활 관습에 근접했을 때, 그들이 마주치게 된 높은 수준의 문명이란 것은 한족에게서만 발견하게 된 것이 아니었기에, 한족 문명의 유혹에 잘 넘어가지 않았다”고 말한다. 모든 돌궐-몽골족 나라들은 한 개의 제국으로 통합됐다. 만주로부터 카스피해에 이르기까지 대상(隊商)들의 왕래가 방해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철권적 규율의 적용됐다 20만 마리의 말들이 역참(驛站)에 배치되어 제국의 우편 왕래 서비스를 수행했다. 쿠빌라이는 중국의 황제이었을 뿐만이 아니라, 최소한 이론상으로는 징기스칸의 후손들이 지배하는 모든 제국을 통괄하는 몽골 제국의 칸으로서, 몽골족에 의한 세계평화 체제가 실현된 것이었다. 몽골제국의 쇠퇴 쿠빌라이는 1264년에 수도를 몽골고원의 카라코룸에서 (당시 대도로 불려진) 북경으로 옮기고, 원나라(1206-1368)의 황제가 되었다. 중국대륙 전역을 정복하고 통치한 최초의 이민족 왕조였다. 주요 거점지역에는 몽골족 수비대가 주둔했다. 위구르족, 티베트족, 터키족, 아랍인 및 중국화된 여진족 등을 행정기관에 사용했다. 6 만주, 몽골, 투르키스탄, 티베트는 만리장성 아래의 중국본토에서 적용된 것과는 다른 행정조직으로 지배했다. 7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몽골 군호(軍戶)의 전투력은 왕년에 떨쳤던 용맹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게 됐다. 8 몽골 수비대 사회에서 유교를 배우고 중국 여자와 결혼을 하는 것이 흔한 현상이 됐다. 몽골 조정과 귀족들은 분열되어 황제 계승 투쟁에 몰입했으며, 각 경쟁자들은, 로마의 친위대와 유사한 역할을 했던, 황실의 친위대를 자신의 통제 하에 두고자 노력했다. 몽골 지배자들은 몽골어로 주요 정무를 수행하고, 궁전 마당에 천막을 치고 살며, 몽골 고원에서 여름을 보내고, 피나는 투쟁을 통해 황제를 선택하는 전통을 유지하면서 중국화 현상을 막으려 노력했다 쿠빌라이는 중국인과의 결혼을 억제하였으며 자신도 몽골 여인만을 후궁으로 들였다. 반면 한족에게는 정복자의 관습을 따르라고 강요하지 않았다. 원나라가 망한 후, 몽골의 지배자들은 중국의 언어와 문화에 동화되지 않았다. 9 그들은 단순히 군대와 함께 몽골고원으로 달아나 버린 것이다. 1368년, 자신의 고향으로 도망을 해 온 몽골족은 북원(北元)을 세워, 17세기 초에 만주족 청나라에 정복될 때까지 명맥을 유지했다. 이제 북원의 첫 번째 황제가 절반은 한국 사람이란 이야기를 들으면 놀랄 사람도 많을 것이다. 왕조의 실체를 보전한 고려 고려에서는 1170년에 불만을 품은 장수들이 반란을 일으켜, 많은 수의 거만한 문관들을 처형한 다음, 새로운 왕을 옹립하고, 100여 년에 걸쳐 무단정치를 단행하였다. 그들은 귀족 가문과 불교 사찰들의 권력남용과 전횡을 허용한 왕을 질책하였다. 무신 지도자들은 후에 몽골 침입의 여파로 몰락하게 된다. 13세기 초, 여진족 금나라는 몽골의 거듭되는 침공을 당하고 있었다. 거란족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독립을 얻고자 하였으나, 금 나라의 수도가 1215년에 함락된 후, 몽골의 압력은 거란족을 고려 땅으로 밀어냈다.10 몽골-고려 연합군은 1219년에 거란족을 쳐 부쉈으나, 이 사건 이후, 몽골은 고려 조정에게 대규모의 조공을 바칠 것을 강요했다 하지만 고려왕은 몇 차례 조공을 거절하여, 1231년 이후, 일련의 몽골 침략을 초래했다. 고려왕은 농민들에게 산성에 올라가 저항을 계속하라고 명령을 한 다음 강화도로 피신하여, 거의 30년 가까이 몽골에 완강하게 저항을 하다가 1259년, 무신 지배자들을 축출한 문신 정권 하에 항복을 했다. Ledyard(1983: 325)는 “원나라의 영토가 금 나라와 송 나라를 모두 흡수하게 되자, 만주 전체가 중국 본토와 합쳐져 동일한 통치권력 하에 놓이게 되었다. ... 고려는 왕조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 고려의 북방 영토는 몽골이 빼앗아 직접 지배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일본열도의 가마쿠라 막부를 굴복시키려고 1274년과 1281년 두 차례에 걸쳐 벌인 몽골의 원정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는 수백 척의 배를 건조하였고 보급물자를 제공했다. 두 차례의 침공을 위해 고려는 900척의 배와 1만5,000의 수군, 5,000-1만명의 병사를 제공했지만, 심한 폭풍우로 인해 모두 완전한 실패로 끝이 났다. 11 원나라 조정은 고려에 대해 유화정책을 채택하여, 1274년에 쿠빌라이의 딸을 고려 왕세자에게 시집보냈다. 고집 센 고려 지배자들을 비록 속도는 느리지만 유전자적으로 틀림이 없는 방법으로 정복하려 한 것이다. 그 후, 고려의 왕위 계승자는 원나라 황실의 공주를 정비(正妃)로 맞아야만 했다. 12 원나라의 부마(駙馬)국 형태로 고려 조정은 독립 국가의 통치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13 하지만 유전적으로 보면, 고려왕은 빠른 속도로 순혈의 몽골 왕자에 가깝게 되었다. 일종의 보복이라 할까, 고려의 여인이 1340년에 원나라 마지막 황제(順帝, 1333-1368, 1368년에 북경을 떠나 1370년에 몽골에서 사망)의 두 번째 부인인 기황후(奇皇后)가 되었다. Dardess(1994: 580)에 의하면, 그녀의 새로운 지위가 원-고려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것을 우려하여 몽골 조정 내의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제2황후 추대를 반대했다. 그녀가 낳은 황자가 1353년에 후계자로 옹립되어 1370년에는 북원의 황제가 된 것이다. 고려 조정에서 절대 권력을 휘둘렀던 기황후의 형제는, 주원장이 남경을 점령한 1356년 공민왕(1351-74)에 의해 제거됐다. 기황후는 끈질기게 황태자를 졸라, 1364년에 원정군을 보내 고려왕의 교체를 시도했으나 몽골군은 고려군에게 전멸되었고 이를 계기로 한반도에서의 몽골 영향력은 소멸됐다. 14 1356년, 고려는 함경도 쌍성에 있는 원나라의 군 사령부를 공격하기 위해 원정군을 보냈다. 당시 지방의 토호이며 이성계의 아버지인 이자춘의 협조는 고려가 잃었던 영토를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368년, 기황후 일족이 만주지역에 흩어져 있던 원 나라 피난민들을 모아 일족의 몰락을 복수하고자 하였을 때, "공민왕은, 고려가 옛 고구려의 후계자이기 때문에 만주를 지배할 정당한 권리를 보유한다는 전통적 주장을 새삼 내세워 최영과 이성계 등 두 명의 뛰어난 장수들을 만주로 보냈다. 이성계(1335-1408)는 함경도에서 3대에 걸쳐 천호(千戶)장을 지낸 군인 집안의 5대손이었다. 이성계가 함흥평야 방면으로 쳐올라 갈 때, 최영은 서쪽의 요동으로 쳐들어가 1371년에 요양을 점령했다. 하지만 요하의 동쪽이 모두 자신의 땅이라고 거듭 주장을 해 오던 고려 조정은 정작 그들이 얻은 것을 차지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회군을 시켰다. 곧이어 명나라 군대가 요동 지역으로 진주하여 논쟁의 여지를 영구히 제거시켜 버렸다"고 Henthorn(1972: 129)은 말한다. ⓒ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카스피해 부근의 볼가강 하류, 정복한 킵챠크 돌궐족 거주지역 한 복판에 수도를 둔 바투의 킵챠크 칸 제국은 역사책에서 골든 호드(알탄 오르도)라 부른다. 유럽의 이들 몽골 지배자들은 동화되지 않은 이방인으로서, 징기스칸의 제국들이 중국, 페르시아, 투르키스탄 등지에서 모두 축출된 다음에도 계속 명맥을 유지해, 1502년까지 유럽 땅에 진을 치고 존속했다. 테머레인 대제(1336-1405)는 자신을 징기스칸과 차카타이의 후손이며 계승자라고 공언하였으나, 사실은 트랜스-옥시아나 지역의 돌궐 귀족계급 출신이었다. 그는 1397년에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비로서 그 위대한 징기스칸 가계의 일원이 된 것이다. 티무르의 장대한 정복 위업은 징기스칸 군대의 규율 속에서 탄생한 돌궐 군사에 의해 수행된 것이었다. 2. 핵심을 이루는 몽골족 군대에 추가하여, 신부군, 여진군, 거란군, (심양)고려군, 기타의 군대들이 있었다. Hsiao (1978: 15-6, 74, 174) 참조. 元史 卷九十八 志第四十六 兵一 …其繼得宋兵 號新附軍 叉有遼東之糺軍 契丹軍 女直軍 高麗軍 … 3. Hsiao (1978: 14, 25) 4. Hsiao (1978: 33-39) 5. Jagchid and Symons(1989: 19-20)에 의하면, “징기스칸(1206-1227)은 금 나라와 변경교역 및 조공을 확보하여 중국으로부터 필수품을 얻고자 했으나 실패하였다. 일단 교역과 조공 확보의 길이 막히자, 징기스칸에게는 전쟁밖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 징기스칸이 1213년에 북중국 평원에 진입하여 중도(中都, 북경)를 에워 쌓을 때, 그의 목표가 영토적 혹은 정치적 지배보다는 물자 확보에 있었다는 것은, 그의 행동을 보면 명백하게 나타난다 당시 금나라 조정으로부터 대규모의 선물을 받고, 주변 지역을 약탈한 다음에, 징기스칸은 몽골고원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징기스칸은 영토를 점령할 생각은 없었고, 단순히 전리품을 얻어 부하들에게 나누어주려 하였다. ... 그러나 1236년, 몽골 조정의 거란족 출신 고문인 옐루추차이(耶律楚材)와 …간의 대화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몽골의 정책은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즉, 옐루추차이는 오고타이 칸에게, 귀족들이 백성들로부터 멋대로 강탈을 하게 내버려 두지를 말고, 조정이 관료들을 임명하여 매년 직접 세금을 걷어 들이고, 연말에 이를 귀족들에게 분배하도록 권고하였다.” 6. Fairbank and Goldman (1992: 122-123) 참조. Hsiao(1978: 3)는 “몽골족은 중국을 전통적인 중국식으로 통치하려 하지 않고, 군사적인 사고방식으로 통치하려 했다”고 말한다. 7. Hsiao (1978: 57-60) 참조. 메마른 중앙아시아에 15만 명의 기병대를 유지시켜야 할 필요는 원나라 재정을 고갈 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8. 남송 멸망 후, 원나라는 오랫동안 평화가 지속되어 사람들은 전쟁을 몰랐으며, 장수들의 후손은 대대로 지휘관직을 세습하였다. Hsiao (1978: 26-7) 참조. 몽골 병사들은 영농생활에 적응을 잘 하지 못했다. 병사들의 가족은 만성적인 성인남자의 부재와 군 지휘관으로부터의 착취에 시달려야 했다. 가난해진 군호와 그들 상급 지휘관 사이의 유대감은 사라졌다. 이전에 북중국에 주둔을 하면서 농토를 배정 받은 금나라 여진족 병사들은, 훗날 청나라의 팔기군들 모양, 비록 힘은 들었지만 영농생활을 하면서 병역의무를 수행하였다. 왜 몽골 병사들은 중국 땅에서 적정 수준의 삶을 전혀 영위할 수 없었을까? Hsiao(1978: 20)는 이 물음에 다음과 같이 답한다: “여진족과 만주족은 중국에 들어오기 전에 소규모이나마 영농생활을 경험한 적이 있었지만, 몽골족은 전혀 그런 경험이 없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9. Janhunen (1996: 166) 참조. Ledyard (1983: 326)는 “중국지역에 이주 정착했던 대부분의 거란족과 여진족은 그들의 정복 통치가 끝났을 때 한족에 동화되어 흔적이 없어진 데 비해, 몽골족들은 원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몽골족 그대로 살아 남았다”고 말한다. 10. Lee (1984: 148) 참조. 몽골이 금 나라를 공격하기 시작한 것은 1209년이고, 수도를 함락시킨 것은 1215년이었으나, 19년이 지난 1234년에 가서야 비로서 금 나라를 완전히 정복할 수 있었다. 11. 두 번째 몽골 원정군의 규모는 중국 남부로부터 출발한 3,500척의 배와 100,000만의 병사들, 고려로부터 출발한 900척의 배와 40,000명의 병사들이었다. 12. 훗날 충열왕(1274-1308)이 되는 고려 왕세자와 몽골 공주와의 결혼은 1274년에 이뤄졌다. 이후 100여 년 동안 7명의 몽골 공주가 고려 왕자와 결혼을 하였으며, 그들 자식 중 세 명이 고려 왕위에 올랐다. Henthorn (1972: 123) 참조. 13. 몽골은 고려 왕실의 지손(支孫)을 데려다 요양 지역의 통치자로 임명하여 상당한 규모에 달하는 그 지역 고려인 사회를 다스리도록 하였다. 훗날 고려의 군주들은 “심왕(瀋王)”이란 명칭으로 요양 지역에 대한 형식상의 통치권을 부여 받았다. Henthorn (1972: 123) 참조. 14. 元史 卷一百一十四 后妃一 完者忽都皇后奇氏 高麗人 生皇太子愛猷識理達臘…初…進爲宮女…立爲第二皇后 初奇氏之族在高麗者 怙勢驕橫 高麗王怒 盡殺之 [至正] 二十三年 后謂皇太子曰 汝何不爲復讎耶? 遂立高麗王族人留京師者爲王…用兵一萬…過鴨綠水 伏兵四起 乃大敗 餘十七騎而還 后大慚… 二十五年…皇后崩…后宜正位中宮 帝不答…二十八年 從帝北奔 新元史 卷二百四十九 列傳 第一百四十六 外國一 高麗 至正十三年 [1953] 冊立皇太子…太子奇皇后所出也 奇氏高麗人本微賤…皇后兄子奇轍爲大司徒富貴震一時… 十六年 有密告奇轍潛通 雙城叛民謀逆祺殺之 夷其族… 二十三年 皇太子欲爲奇皇后復仇 乃立德興君…爲國王… 發遼陽行省兵送之…祺聞其事…書曰 世祖皇帝… 釐降帝女於忠烈王 且許以不革國俗 以至於今… 二十四年 [1964]…以大兵一萬圍義州爲崔瑩等所敗 一軍皆沒 新元史 卷二十六 本紀 惠宗四 至正二十四年 春正月 [1364] 朱元璋自稱吳王 是月 崔帖木兒與 高麗人戰於定州敗績 … 三十年 [1370] 惠宗崩於應昌 皇太子卽皇帝位… 改元宣光… 宣光元年 明太祖洪武四年也 [1371] 遼陽行省…降於高麗 十月 高麗兵陷五老山寨… 二年 [1372] … 大破明…兵於嶺北自是明兵不復渡漠 The Mongol Steppe Wolf the ruzhen jin replaced by the mongol yuan a mongolian empire confronting a manchurian state in north china The co-existence of the Han dynasty and the Xiong-nu empire was followed by the conquest of North China by the Manchurian Touba Wei dynasty. The co-existence of Sui-Tang China and the (Uigur-Turks) Turkic empire ended with the occupation of North China by the Manchurian Qidans and Ruzhens. The appearance of Chinggis Khan (1206-1227) in Mongolia, however, produced an entirely new situation in which a united Mongol empire confronted a Manchurian conquest dynasty in North China. Before Chinggis Khan united the Mongol tribes in 1206, the Mongols were one of the weaker tribes in the steppes and most of Mongolia had been occupied by the Turks.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some Turkish tribes had fled west under attack by Tai-zong of Tang (626-49). Now under the combined pressure of both the Mongols and Manchurian dynasties (Liao and Jin), most Turks were forced to move towards Central and West Asia, unintentionally opening the route for the Mongol conquest of Eurasia and paving the steppe turnpikes for the trans-continental Mongol empire. A nomadic conqueror always attempted to draw under his banners all kinds of nomads he could collect on his way to conquest. Batu (r.1227-55) could successfully wage the European campaigns of 1236-41, occupy the whole of ancient Scythia, including steppes north of the Black Sea and Caucasus, and also enforce suzerainty over the Russian principalities, leading less than 4,000 pure-blooded Mongol troops (that were allocated specifically to him by Chinggis Khan’s dying wish), only by mobilizing the Turks that had settled in those regions a long time ago.1 Numbering less than 1.5 million, the Mongols tried to incorporate all ethnic groups that submitted without fighting (including the Qidans, Chinese, Uighurs, Tibetans, Turks and Persians) into their armies and government. A surrendered Song commander, for instance, helped the Mongols in the construction of a river fleet, expediting the conquest of southern China full of rivers, canals, and streams. Many former Song troops (termed newly-adhered armies) were either organized into new units with Mongols or Northern Chinese (including Qidan, Ruzhen and Koreans) as their officers, or were incorporated into the existing Yuan ranks.2 Chinggis Khan had completely reorganized the tribal or clan armies, united only in a fluid association, into a more rigid hierarchical force. A tribe or clan exceeding a thousand fighters was divided into several units (Ming-an) of 1,000, while the Ming-an with a smaller number of fighters was filled by assembling kinsmen who had been scattered in other clans or tribes, or even by co-opting war captives. All male adults between fifteen and seventy years of age were liable for military service when needed. Each unit was assigned grazing land, and the families were also put under the same administration. The hereditary chieftains, however, constituted an officer corps rather than a feudal aristocracy. The chieftains had been accustomed to exacting levies from the self-sufficient military families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depending on the spoils acquired in campaigns, but after the founding of the Yuan dynasty, officers became a hereditary salaried aristocracy.3 The Tai-zu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had designated all the elite troops, including the offspring of politically privileged families, as the Imperial Guard (divided into a couple of mutually independent contingents to provide a counter-balance) and also kept about half of them in the capital region, effectively ensuring the loyalty of influential families and discouraging the regional uprising and usurpation of the throne. Chinggis Khan created the Imperial Guard from among the sons and younger brothers of commanders of proven loyalty, the offspring of aristocratic families all over Mongolia, and the royal hostages offered by surrendered kings to serve as his own bodyguard and also as personal domestic staff of imperial household. It was a hostage camp, an academy for young aristocrats promised a future of prominent official positions, a form of privileged apprenticeship for the future ruling class, a key link in maintaining Khan’s personal relationship with aristocracy and, at the same time, a rudimentary executive organ to transform the loose confederation of nomadic chieftains into a centralized autocratic despotism.4 The Xiong-nu and Uighur Turks had traditionally pursued the strategy of extortion against the Han Chinese dynasties. The conquest of mainland China did not, at first, appear to have been a primary goal of Chinggis Khan either.5 Unlike the Han Chinese courts, however, the Manchurian Jin court flatly refused appeasement with the Mongols. Instead of yielding to extortions (in the traditional Chinese fashion), they fought the Mongols until the dynasty was itself completely destroyed. The Mongols conquered the Western Xia in 1227, the Jin in 1234, Korea in 1259 and the Southern Song in 1279. According to Janhunen (1996: 134), “none of the Mongol conquests in East Asia was easy, for their military actions lasted 20 years against the Western Xia (1207-27), 24 against the Jin (1210-34), 40 against Korea (1219-59), and 44 against the Song (1235-79).” The Han Chinese had been able to maintain their cultural and political integrity in the south when they confronted Xianbei Wei, Qidan Liao, and Ruzhen Jin. The Mongols, however, completely wiped out the Chinese dynasty. The complete conquest of all the territory of the Han Chinese state was emulated later by the Manchu Qing. The Uighur Turks in East Turkestan had submitted peacefully to Chenggis Khan who referred to the Uighur ruler as his fifth son. The Mongols adopted the Uighur script for their written language. Ledyard (1983: 348) notes: “It may have been simply a historical accident that Uighur literary influence, Central Asian administrative and governing techniques, and Christian and Islamic religious currents penetrated Mongol life before Chinese practices did, but the effect was to provide the Mongols with many services and techniques that insulated them from the need to seek similar things from China. And when the Mongols did become closely associated with Chinese life, it was not the only form of higher civilization they had encountered, and they were therefore less susceptible to its lure.” All the Turko-Mongol nations were unified into a single empire. From Manchuria to the Caspian, an iron discipline was imposed in order to ensure the unmolested travel of caravans. More than two hundred thousand horses were distributed among the relay stations in service of the imperial mails. Khubilai was not only the emperor of China, but in theory the Khan of the entire Mongol Empire of Chinggis-Khanite appanages, realizing the Pax Mongoliana. Fall of the Mongol Empire Khubilai Khan transferred his capital from Karakorum in Mongolia to Beijing (known then as Dadu) in 1264 and became the emperor of Yuan (1206-1368). It was the first foreign dynasty to conquer and rule all of China. The Mongols were garrisoned at key points. They used Uighur, Tibetans, Turks, Arabs, and sinicized Ruzhens in government offices.6 Manchuria, Mongolia, Turkestan and Tibet were placed under administrative systems different from those employed in mainland China below the Great Wall.7 With the lapse of time, the fighting capacity of the Mongol military households began to lose every vestige of their vigor.8 In garrison communities, not only Confucian learning but also marriage with Chinese women became common. The Mongol court and nobility were divided, and engaged deeply in succession struggles, each contender striving to control the Imperial Guard that functioned like the Roman praetorian cohorts. The Mongol rulers resisted sinification by conducting their business in the Mongol language, living in tents erected on the palace grounds, spending their summers in Mongolia, and maintaining the tradition of choosing the emperors through bloody competition. Khubilai Khan discouraged Mongols from marrying Chinese, and he himself took only Mongol women into the palace. The Han Chinese, on the other hand, were not forced to adopt the conqueror’s customs. After the collapse of the Yuan dynasty, the Mongol rulers simply fled with their troops, avoiding Chinese linguistic and cultural domination.9 The Mongols fled back to their old homelands in 1368, founding the Northern Yuan which survived into the early 17th century to be conquered by the Manchu Qing. One may now get surprised to hear that the first emperor of the Northern Yuan was a half Korean. Koryeo preserving its dynastic existence In Koryeo, a group of discontented military generals revolted in 1170, enthroned a new king, and purged a large number of arrogant civilian aristocrats, commencing a century of military rule. They chastised the king for allowing the abuses practiced by the aristocratic families and the Buddhist establishment. The military rulers later fell as an aftermath to the Mongol invasions. By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the Ruzhen Jin came under sustained Mongol attack. The Qidan had taken the opportunity to assert their independence, but following the fall of the Jin capital in 1215, Mongol pressure drove the Qidan into Koryeo territory.10 The Mongol-Koryeo coalition forces destroyed the Qidan in 1219, but after this incident the Mongols demanded from the Koryeo court heavy annual tribute. The Koryeo king, however, refused to pay tribute on several occasions, inviting thereby a series of Mongol invasions beginning in 1231. Ordering peasantry to keep fighting in the mountain fortresses, the Koryeo rulers, entrenched in the Kang-wha Island, stubbornly waged resistance against the Mongols for almost 30 years until its surrender in 1259 under the new civilian leadership that replaced the military rulers. Ledyard (1983: 325) notes: “The territory of the Yuan dynasty … combined that of Jin and Song, so that Manchuria was wholly joined with China and placed under the same administration. … Koryeo was able to preserve its dynastic existence … although … Koryeo’s northern territory … was removed and placed under the direct Mongol administration.” Needing to sustain the abortive Mongol campaigns against the Kamakura shogunate on the Japanese islands in 1274 and 1281, the Koryeo constructed hundreds of warships and provided the necessary provisions. It furnished about 900 ships, 15,000 sailors, and 5,000 to 10,000 troops for two invasions that ended in complete disaster because of heavy storms. 11 The Yuan court adopted a policy of reconciliation, and Kublai Khan gave his daughter to the crown prince of Koyreo in 1274, plotting in this way a slow but sure genetic conquest of stubborn Koryeo rulers. Thereafter a succession of Koryeo kings had princesses of the Yuan imperial house as their primary consorts.12 As a son-in-law nation to Yuan, the Koryeo court could maintain its position as sovereign ruler of an independent state.13 Genetically, however, the Koryeo kings rapidly converged to the pure blooded Mongol princes. Seemingly a retaliation of sorts, Koryeo exported a woman to become in 1340 the second empress, called Empress Ki, of the last Yuan Emperor (Shun-di, r.1333-68, d.1370). According to Dardess (1994: 580), in view of “the effect of her new status on the complex issue of Yuan relations with Korea,” many Mongols had opposed to making her second empress. She gave birth to the Prince Imperial who was installed as heir apparent in 1353 and ascended the throne of Northern Yuan in 1370. Empress Ki’s brothers, who came to exercise mighty power in the Koryeo court, were eliminated by King Kong-min (1351-74) in 1356, the year Zhu Yuan-zhang seized Nan-jing. Empress Ki could at last persuade the Prince Imperial in 1364 to send an army and replace the Koryeo king, but the Mongol force was annihilated, marking the end of Mongol power in the Korean peninsula.14 In 1356, Koryeo had sent an army to attack the Yuan commandery headquarters at Ssang-seong, Ham-gyeong province. The cooperation of Yi Ja-chun, who was a local magnate and father of Yi Seong-gye, had played a decisive role for Koryeo to recover its lost territory. When the family of the Empress Ki assembled Yuan refugees in Manchuria in 1368 with the intention of avenging the downfall of their clique, “King Kong-min dusted off the tradition that Koryeo was the successor to the old state of Koguryeo and thus the rightful sovereign of Manchuria and sent two of his best generals, Chi Yong-su and Yi Seong-gye, into Manchuria. Yi Seong-gye (1335-1408) was the fifth-generation scion of a military family which had for three generations held the post of Chief of One Thousand in the Korean northeast. … While Yi Seong-gye swept north through the Ham-heung plains, General Chi drove west toward Liao-dong and took the city of Liao-yang [in 1371]. The Koreans were unprepared to hold their gains and recalled their armies, although they repeatedly brought up their claim to all lands east of the Liao River. Ming forces soon moved into the area, permanently settling the question (Henthorn, 1972: 129).” 1 The Batu’s khanate of Kipchak, with its capital at the lower Volga near the Caspian in the midst of subjugated Kipchak Turks, was to be known to history as the Golden Horde (Altan-ordo). These Mongolian rulers in Europe survived as unassimilated foreigners encamped on European soil until 1502, long after the Chinggis Khanites had been driven out of China, Persia and Turkestan. Tamerlane (1336-1405) declared himself the heir and continuator of Chinggis Khan and Chagatai, but he belonged to a Turkic aristocratic clan in Transoxiana. He was brought into the great Chinggis Khanite family only by marriage in 1397. The Timurid epic conquests were executed by the Turkic forces that were born of Chinggis Khanite military discipline. 2 In addition to the core Mongol army, there also appeared the Newly-adhered (former Song) army, the Ruzhen army, the Qidan army, the Korean army (of Shen-yang), and others. See Hsiao (1978: 15-6, 74, 174). 元史 卷九十八 志第四十六 兵 一 …其繼得宋兵 號新附軍 叉有遼東之糺軍 契丹軍 女直軍 高麗軍 … 3 Hsiao (1978: 14, 25) 5 According to Jagchid and Symons (1989: 19-20), “Chinggis (r.1206-1227) sought and failed to sustain trade and tribute arrangements with the Jin which would have enabled him to obtain essential goods from China. Once exchange institutions were closed to him, Chinggis’s only alternative was war. … The interest of Chinggis in securing goods rather than territory or political power is apparent by his activities in 1213 when he entered the North China plain and besieged Zhong-du (Beijing). After receiving bounteous gifts from the court and plundering the countryside, he returned home. To this point in his career, Chinggis had no designs to occupy land, but rather sought booty to reward his followers. … However, as early as 1236, as evidenced by the following dialogue between the Qidan scholar-advisor to the Mongolian court … and …, the [Mongol] policy began to change. Ye-lü Chu-cai admonished Ögödei Khan: … The court should appoint officials to collect the tax and distribute it the [the nobles] by the end of the year, and not allow them to freely extort from the people. …” 7 See Hsiao (1978: 57-60). 8 After the annihilation of the Southern Song, the Yuan was at peace for a long time and the people did not know war. The descendants of the generals inherited the offic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9 See Janhunen (1996: 166). 10 Lee (1984: 148) 12 The marriage of the Koryeo crown prince, later King Chung-yul (1274-1308), to a Mongol princess took place in 1274. In the century that followed seven Mongol princesses were married into the Koryeo royal family, and the offspring of three of these unions held the throne. See Henthorn (1972: 123). 13 A cadet branch of the Koryeo royal family was given appointments as governors of the Liao-yang area to govern the large Korean communities there. Later Koryeo monarchs were given honorary control of the Liao-yang area and invested with the title of “King of Shenyang 瀋王.” 14 元史 卷一百一十四 后妃一 完者忽都皇后奇氏 高麗人 生皇太子愛猷識理達臘…初…進爲宮女…立爲第二皇后 初奇氏之族在高麗者 怙勢驕橫 高麗王怒 盡殺之 [至正] 二十三年 后謂皇太子曰 汝何不爲復讎耶? 遂立 高麗王族人留京師者爲王…用兵一萬…過鴨綠水 伏兵 四起 乃大敗 餘十七騎而還 后大慚… 二十五年…皇后崩…后宜正位中宮 帝不答… 二十八年 [1968] 從帝北奔 新元史 卷二十六 本紀 惠宗四 至正二十四年 春正月 [1364] 朱元璋自稱吳王 是月 崔帖木兒與 高麗人戰於定州敗績 … 三十年 [1370] 惠宗崩於應昌 皇太子卽皇帝位… 改元宣光… 宣光元年 明太祖洪武四年也 [1371] 遼陽行省…降於高麗 十月 高麗兵陷五老山寨… 二年 [1372] … 大破明…兵於嶺北自是明兵不復渡漠 ⓒ 2005 by Wontack Hong
주원장은 몽골 원을 몰아내고 명나라를 세웠다. 조선은 압록강 아래의 영토는 모두 확보 하였으나, 명과의 친선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요하 유역을 포기했다 전통적인 사대정책에 따라 당시의 강자인 한족 명나라에게 신속(臣屬)하면서 조선왕조는 독립을 유지하고 전쟁의 참화를 피할 수 있었다. 명 영락제(1402-24)는 동몽골에 대한 대규모 정벌을 거듭했다 한나라 때, 초원지대의 흉노를 상대로 벌린 전쟁에서 성공을 거둔 것은 오로지 무제의 재위 기간 중뿐이었다. 당 태종 때 일시적으로 초원지대를 지배하였으나, 그의 호전적인 정책은 후계자들에 의해 수동적인 방어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영락제가 죽은 후, 명 조정 역시 유목민족에게 조공물자를 제공하는 것이 군대를 양성 하거나 장성을 축조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드는 방책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몽골 원과는 달리, 명나라는 요동과 요서의 좁은 해안지역 이외의 만주 땅 전체를 군사적으로 통제할 힘이 없었다. 풍신수길은 1590년에 일본열도를 통일하자, 명나라를 치러 가니 길을 빌리라면서 더 이상 쓸모가 없는 존재가 된 무사들을 모두 배에 실어 한반도로 보냈다 명나라 원군(援軍) 덕분에 임진왜란으로부터 살아났다고 생각하는 한반도 사람들은 만주의 그들 친족 어깨너머로 한족의 중화제국을 우러러보는 성향이 한층 심화되었다 명나라의 문화와 예술이 극치에 달한 것처럼 보이는 바로 그 순간에, 국가와 경제는 해체되기 시작했다. 중국 본토의 혼란을 극복하고 질서를 가져온 것은 동만주의 여진족이었다 금-청 정복왕조 지배자들은 여진-만주족의 원류(源流)를 숙신-말갈족과 발해 사람들에서 찾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 사람들에게서도 찾으려 했었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몽골 원(元)이 한족(漢族)의 명(明)으로 대체됨 홍원탁 (서울대 교수) 주원장(r.1368-98)은 농민 출신으로 절에서 승려에게 글을 배웠다. 양자강 하류지역의 반란군 지도자로 출발하여, 명나라(1368-1644)를 세우는데 성공하였다. 그는 제위를 이어받을 후계자 한 명만 수도인 남경에 남겨두고 나머지 아들들은 북방에 봉토를 주어 변경을 지키도록 하였다. 전방에서의 전투경험도 많고 일반 민중에게 평판도 좋았던 첫째 아들이 조카인 어린 황제를 죽이고 3대 황제(永樂帝, 1402-24)가 되어, 자신의 봉토이었던 북경으로 수도를 옮겼다. 고려에서의 몽골지배는 이미 1356년에 끝이 났었다. 원나라 지배자들은 몽골 고원으로 달아나 북원이라는 이름으로 명맥을 유지하면서, 명나라 군대가 요양지역을 점령하는 1387년까지 요하 유역을 계속 지배하고 있었다. 고구려의 후계자를 자임하는 고려는 전부터 요하 동쪽의 모든 땅을 자신의 영역이라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1388년, 신생 명나라는 원의 총관부(雙城摠管府)의 지배를 받아오던 고려의 (철령 이북) 동북 변경 지대까지도 차지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이 선언에 분개한 최영(1388년에 경쟁자를 몰아내고 정권을 잡음)은 요동을 공격하기로 결정하고, 이성계를 부원수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이성계는 (압록강 어귀) 위화도에서 군대를 되돌려 최영을 제거하고 정권을 잡아 마침내는 신유교를 신봉하는 지식인 관료들에 의해 새로운 조선(朝鮮, 1392-1910)왕조를 시작하는 왕으로 추대되었다. 조선은 압록강 아래의 영토는 모두 확보하였으나, 명나라와 친선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요하 유역을 포기했다. 1 조선 조정은 명나라와의 군신관계를 받아들였다. 전통적인 사대정책에 따라 당시의 강자인 한족 명나라에게 신속(臣屬)하면서 조선왕조는 독립을 유지하고 전쟁의 참화를 피할 수 있었다. 명은 원나라의 십진법으로 된 군대조직을 답습하고, 2백만 호에 달하는 세습적 군호 제도를 유지하였다. 2 1409년, 영락제는 10만의 군대를 보내 동몽골을 공격하였다. 1410년, 영락제는 손수 50만 군대를 이끌고 동몽골을 괴멸시켰다. 그는 1414년에도 오이라트 몽골 원정군을 조직해, 케룰렌 강변에서 대포를 쏘아 전투에 승리를 거두었다. 3 1422년, 영락제는 동몽골에 대한 대규모 정벌을 수행했으며, 1424년에는 5번째로 유목민 정벌전쟁에 나섰는데, 그것이 명나라 마지막의 초원지대 원정이었다. 그는 북경으로 돌아오는 도중에 죽었다. 영락제의 정복업적은 진 시황제, 한 무제, 당 태종에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들은 취향이 전혀 달라, 다시는 초원지대에서 전쟁을 하려 하지 않았다. 4 한나라 때, 초원지대의 흉노를 상대로 벌린 전쟁에서 성공을 거둔 것은 오로지 무제의 재위 기간 중뿐이었다. 당 태종 때 일시적으로 초원지대를 지배하였으나, 그의 호전적인 정책은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 수동적인 방어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5 영락제가 죽은 후, 명나라 조정은 또 다시 고정 방어라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되돌아갔다. 명나라 군대는 군호에게 농토를 배정해 대충 자급자족하는 방식으로 유지되었다. 만리장성을 대대적으로 수리-확충하는 부질없는 노력은 명나라 조정의 수세적인 방어심리를 표출하는 것이다. 만주족이나 몽골족 왕조의 입장에서 본다면, 북경은 만주나 몽골 초원지대로부터 부족들의 군대를 쉽게 동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제국의 수도로서 이상적인 위치에 있었다. 한족 왕조에게도, 변방의 전투와 부족들의 정치내막을 잘 파악하는 영락제 같은 지도자를 가졌을 때에는 북방에 위치한 수도가 유리한 자산이 되었다. 그러나 진 시황제, 한 무제, 당 태종, 혹은 명 영락제가 없는 한족 조정에게는 북경이 아주 불리한 존재가 되었다. 북경은 중국의 자원이 집중되어있는 남쪽과 거리적으로 상당히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정이 최전방의 방어선상에 위치 해 있기 때문에 유목민족의 불의의 급습을 받을 위험이 컸다. 영락제가 죽은 후에는 초원지대에 대한 원정을 감행하지 못했고, 북동쪽 혹은 북서쪽 변방지역을 직접 통치하지도 못했다. 그러면서도 명나라는 유목민족과의 평화협정 체결을 거부하였다. 6 Barfield(1989: 246-49)에 의하면, 그 이유는, 명나라 지배자들이 보기에 송나라 조정이 거란, 여진, 몽골 등에 엄청난 물자를 바쳤음에도 북중국을 상실했고, 마침내는 송나라가 완전히 몽골에게 넘어갔기 때문이었다. 명나라 지배자들은 조공물자의 제공이란 것이 단지 유목민족의 힘을 길러주어 결국 송 왕조를 멸망시키게 했다고 믿었다. 그러나 명나라 조정 역시 유목민족에게 조공물자를 제공하는 것이 군대를 양성하거나 장성을 축조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드는 방책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다. 1449년에 명나라 영종이 오이라트 몽골에게 생포되는 수난(토목보의 변)은, 한 고조가 기원전 200년에 흉노족에게 포위되었던 사건을 상기시켰다. 명나라는 마침내 몽골 부족장들과 평화조약을 맺고, 조공물자의 제공, 변경교역의 허용, 부족장들에 직함 수여 등을 통해 몽골 초원지대의 분열된 정치 체제를 고착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7 원나라와는 달리 명나라는 요동과 요서의 좁은 해안지역 이외의 만주 땅 전체를 군사적으로 통제할 힘이 없었다. 명 조정은 만주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이 지역 주민들에 대해 고려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200여 개의 소규모 여진 부족장들에게 명예 직함을 내려주고 조공 혜택을 주었다. 8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1590년에 일본열도를 통일하자, 명나라를 치러 가니 길을 빌리라면서 더 이상 쓸모가 없는 존재가 된 무사들을 모두 배에 실어 1592년에 한반도로 보냈다. Spence(1990: 18-19)는 “명나라는 조선을, 어떤 비용을 치르더라도 지켜주어야 할 충성스럽고 종속적인 동맹국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위기에 몰린 조선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였다. 일본 내부에서의 혼란상태와 조선 해군에 의한 효과적인 보급로 차단 때문에 왜군은 1598년에 조선으로부터 철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지 않았다면 전쟁이 계속되어 세 나라에 엄청난 피해를 주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명나라 원군 덕분에 임진왜란으로부터 살아났다고 생각하는 한반도 사람들은 만주의 그들 친족 어깨너머로 한족의 중화제국을 우러러보는 성향이 한층 심화되었다. 명 왕조 멸망 직전인 1600년경, 명나라는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 중에서 가장 세련된 국가이었고, 인구는 유럽 전체를 합친 것보다도 많은 1억 2천만 명에 달했다. 관료와 무관의 직위는 수도와 전국 방방 곡곡에서 치러지는 각종 과거시험에 합격을 해서 획득되는 것이었다. 명나라의 문화와 예술이 극치에 달한 것처럼 보이는 바로 그 순간에, 국가와 경제는 해체되기 시작했다. 중국 본토의 혼란을 극복하고 질서를 가져온 사람들은 동만주의 여진족이었다. 돌아온 여진족 청나라(1616-1912) 시조 누르하치(1559-1626)는 건주(建州) 부족장의 아들로 훈룬 부족과 결혼을 통해 동맹을 맺었다. 9 1596년 음력 설날, 조선 조정에서 파견된 사신 신정일에게 누르하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오늘부터 우리 두 나라는 하나가 될 것이고, 우리의 두 왕실은 하나가 되어, 자자손손 영원히 뭉쳐서 우호적으로 살 것이다” 누르하치는 조선 조정으로 보내는 편지에서 “귀국과 우리 여진족 국가는 앞으로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계속 두텁게 해 갈 것이고, 우리 두 나라의 백성들은 군사를 일으켜 서로 공격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10 1616년, 누르하치는 자신이 후금(後金)의 칸이라고 선언하였다. 16세기의 만주에서는 단지 심양(오늘날의 목단)의 최남단 지역에서만 중국식의 집약적인 농경이 이루어졌다. 명나라 지배자들은 요하 유역에 자국 장군들의 지휘를 받는 강력한 수비대를 주둔시켰다. 요동에 주둔하는 명나라 군대 모병에 여진족과 조선족들이 적극 응했다. 11 Crossley(1999: 47)는 Owen Lattimore의 견해를 인용하여, 명-청 교체 이전의 요동-길림 지역은 중국, 몽골, 한국, 그리고 토착 문화의 유동적 요인들이 정치-경제 흐름에 따라 소용돌이치는 “저수지”이었고, 여진-만주족은 변경(邊境)족 혹은 “크리올 (현지출생 이민족)” 모양, 시류에 따라 몽골족, 한족, 혹은 조선족과 어울리는 문화적 “카멜레온”이었다고 말한다. 그녀는 (몽골-한-조선) 목록에 “선비-거란족”도 포함했어야 한다. 1621년, 심양과 요양은 여진족 군대에 함락되었다. 1625년, 누르하치는 심양을 후금의 수도로 정했다. 1636년, 누르하치 후손은 만주 청나라를 수립했다.
만주원류고의 서문에서 건륭제(1736-96)는 금나라 황실의 선조가 말갈연맹의 일원으로 옛 숙신(肅愼) 땅인 장백산(長白山)-흑수(黑水) 지역에서 살았는데, 그 땅이 바로 후에 (숙신의 變音으로) 만주족이라고 불리게 된 여진족이 흥기한 장소이었다고 말한다. 청나라 지배자들은 여진족 금 왕조의 창건자들이 자신들의 직계조상이라고 굳게 믿어, 자신들의 나라를 1636년까지 후금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12 만주원류고는 만주족의 원류(源流)를 말갈-여진족과 발해 사람들에서 찾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 사람들에게서도 찾고 있다. 부족(部族)편 7권의 완안(完顔)절에 보면, 비록 금사(金史)에는 금나라의 시조가 본래 고구려에서 왔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대금국지(大金國志)에서는 그가 원래 신라에서 왔다고 기록되어있다고 말한다. 당서(唐書)는 흑수말갈족을 화살촉에 독을 묻히는 무섭고 사나운 야만족으로 기술하였다. 건륭제는 만주족의 뿌리가 이 같이 호전적인 사람들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옛 왕국 사람들에게도 그 뿌리가 있다고 확신했던 것 같다. 13 동아시아 역사 강의: 3-5 (2005. 8. 20) ⓒ 2005 by Wontack Hong [각주] 1. Crossley(1999: 87)는, 많은 여진족들이 조선이 압록강 주변에 설치한 수비대에 가담하였으며, 다른여진족들은 흔히 한국 성을 쓰면서 교역에 종사했다고 말한다. 2. Hsiao (1978: 4) 3. 영락제는 이슬람 돌궐족 출신인 정화(鄭和)로 하여금 1405년부터 1423년까지 7차례에 걸쳐 대규모의 함대를 이끌고 아프리카 동쪽 해안에 이르기까지 30여 개국을 순방하도록 하였는데, 첫 항해에 26,800명이 동원되었다. 남경의 조선소에서 2,000여 척의 배를 건조했는데, 그 중 100척은 인류 역사상 그 유례가 없는 대형 보선(寶船)이었다: 길이가 370-440 피트, 폭이 150-180 피트, 무계가 3,000톤, 90 피트에 달하는 4-9개의 돛대, 16개의 방수 칸막이 방, 거대한 선미(船尾)의 방향타 등 영락제 이후의 황제들은 유교로 훈련을 받은 관료들에 설득되어 외국과의 접촉과 통상을 전면 금지했다. 정화의 함대를 항구에서 썩게 하면서 유럽인들만이 전 세계를 탐험하고 개척하도록 한 것이다. Fairbank and Goldman (1992: 137-8) 참조. 4. Barfield (1989: 236-237) 5. Barfield (1989: 235) 6. Jagchid and Symons(1989: 139-40)는 “일찍이 한나라 때 흉노의 묵돌선우(冒頓單于)가 받아내던 세폐(歲幣)가 전례가 되어, 북송과 남송은 거란의 요, 탕구트의 서하, 여진의 금에게 막대한 규모의 세폐를 매년 바쳤다. 이 모든 기간 중, 선물도 보내졌다. 선물 규모는 해당 시기의 농경국가과 유목국가간의 상대적 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었다. 비록 선물과 매년 바치는 세폐는 엄청난 비용이 들었지만, 한족 왕조가 주변 유목국가들과의 위험한 전쟁을 벌리는 것과 비교를 해보면 훨씬 저렴한 방책이 되었다”고 말한다. 7. 영락제가 죽고 난 후 1454년에 에센이 멸망할 때까지, 명나라는 몽골에게 계속해서 조공을 바쳤다. Jagchid and Symons(1989: 138)는 명사략(明史略)을 인용한다. “ 그들의 욕심을 만족시키기는 불가능했다. 야만족 부족장들은 매년 요구량을 늘렸다. 때로는 우리도 가지고 있지 않는 온갖 사치스럽고 비싼 물품들을 내어놓으라고 요구했다. 그래도 조정은 가능한 한 그들이 요구하는 물건들을 모두 구해 주려고 노력을 했다. 하지만 야만 부족장들은 그들이 요구한 것보다 적게 주면 항상 크게 화를 냈다.” 8. Barfield (1989: 235-6 and 251) 참조 Spence (1990: 26)에 의하면, “명나라의 정책은 공식적으로 여진족의 영역을 중국 국경 방어선의 일부로서 획정을 해놓고, 여진 부족장들에게 명예 직함과 변경 교역권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통제를 하는 것이다” 9. 여진족은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건주 부족은 (한국 국경 북변을 따라) 두만강 북쪽의 장백산맥 지역에서 사냥과 농경을 하였으며, 부족생활을 하지 않는 (길들여진) 훈룬족은 (옛 금나라의 중심지인) 요하 동쪽과 심양 북쪽 땅에서 농경과 교역을 하며 “니칸”이라 불렸던 한족 이주정착민들과 어울려 살았다. 반면, 수렵과 사냥, 채집과 원시적 농경에 종사하던 생여진(生女眞)족은 보다 북쪽인 목단강 동쪽에서 (송화강 하류, 흑룡강 중류, 우수리지역에 이르기 까지) 살고 있었다. 누르하치의 계획적인 종족 이주정착 정책에 따라, 대부분의 생여진족들은 재배치되어 건주 부족과 통합되었다 Janhunen (1996: 101-6, 157) 참조. 10. 1595-6년의 겨울에 Fe Ala에 있는 누르하치의 지휘 본부를 방문했던 신정일이 자세하게 기록한 회고록을 Crossley(1997: 57, 59)가 번역한 글에서 발췌한 것이다. Crossley(1997: 60)는 신정일 사절단의 임무가, 건주 여진족에게 조선의 북방경계선을 준수할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었지, 명나라와 싸우기 위해 누르하치와 정치적 동맹을 형성하려는 것이 아니었다고 말한다. 11. Crossley (1999: 85) 참조. 12. Crossley (1997: 124, 301) 참조. 건륭제는 “숙신(肅愼)”에서 “주신(珠愼)”이, 주신에서 “만주(滿珠)”가, 또 만주에서 “만주(滿洲)”가 나왔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청나라 황실의 혈통은 애신각라(愛新覺羅)로 불린다. 아이신은 “금(金)”을 의미하고, 이것은 건륭제가 청나라 황족이 본래 금나라 여진족의 분파임을 확신하게 하는 충분한 증거가 되는 것이다. 13. Crossley (1997: 122-5) 참조 the mongol yuan replaced by the ming Zhu Yuan-zhang (r.1368-98) was a peasant who had obtained literacy from Buddhist priests. Rising as a rebel warlord in the lower Yangzi region, he succeeded to establish the Ming dynasty (1368-1644). He had stationed his sons in the northern border territories as fiefs, while keeping only the heir designate in the capital, Nanjing. The oldest son Yong-le (r.1402-24), who was a popular and experienced frontier military commander, killed the boy emperor and then transferred the capital to his former princely fief, Beijing. Mongol rule in Koryeo had already collapsed in 1356. The Mongol rulers maintained themselves as Northern Yuan and kept occupying the Liao River basin until the Ming armies took over the Liao-yang area in 1387. As the professed successor to Koguryeo, Koryeo previously claimed all lands east of the Liao River. The new Ming dynasty, however, proclaimed in 1388 its intention to occupy even the northeastern frontier area of Koryeo that had been administered under the Yuan commandery. Resenting this proclamation, Choe Yeong (who had seized power by driving out the rival faction in 1388) decided to invade Liao-dong, appointing Yi Seong-kye as deputy commander. Yi, however, turned his army back at Wi-wha Island (in the mouth of Yalu River), seized power, and was eventually elevated to the kingship of the new Chosun dynasty (1392-1910) by the Neo-Confucian literati-bureaucrats. The Chosun retained the cis-Yalu territory, but gave up the Laio River basin in order to maintain good relations with the Ming.1 The Chosun court accepted the suzerain-subject relationship with the Ming. By adhering to the traditional Sa-dae (Serve the Greater) strategy, the Koreans yielded to the Stronger, the Han Chinese Ming, and the Chosun dynasty could maintain its independent nationhood free from the ravages of warfare. The Ming maintained the Yuan system of decimal military organization, and also the system of hereditary military families, amounting to 2 million units.2 In 1409, Yong-le sent a force of 100,000 troops to attack the Eastern Mongols. Yong-le himself marched with 500,000 troops in 1410 and destroyed the Eastern Mongols. He organized an army for a campaign against Oirat Mongols in 1414, and won a victory at the Kerulen River by firing cannons against the nomads. 3 Yong-le had mounted another major campaign against the Eastern Mongols in 1422, and led his fifth steppe campaign in 1424, the last Ming expedition on the steppe. He died en route to Beijing. Yong-le’s exploits may be compared to those of Qin Shi-huang-di, Han Wu-di, and Tang Tai-zong. His successors, however, had absolutely no taste for renewing steppe campaigns.4 Han campaigns on the steppe against the Xiong-nu were successful only while Wu-di was on the throne. Tang Tai-zong succeeded in obtaining temporary control of the steppe, but his militant policies were dismantled in favor of a passive defense under the reigns of his successors. After Yong-le’s death, the Ming court also reverted to the more traditional pattern of fixed defenses.5 The Ming army was made largely self-supporting by allotting farm land to soldiers’ families. The reinforcement of the Great Wall was an expression of the siege mentality of the Ming court that proved to be a futile effort. For a Manchurian or a Mongolian dynasty, Beijing was ideally located to serve as the dynastic capital because of easy access to tribal troops from Manchuria or the Mongolian steppe. With a leader like Yong-le, who understood frontier warfare and tribal politics, a northern capital was an asset. But for a Han Chinese court in the absence of Shi-huang-di, Wu-di, Tai-zong or Yong-le, Beijing was a liability. It was remote from the bulk of China’s resources and, furthermore, put the court directly on a vulnerable frontier defense line, liable to sudden nomadic attack. The Ming dynasty did not campaign on the steppe after Yong-le’s death, and never directly controlled either the northeast or the northwest frontier regions. Yet it refused to make peace treaties with the nomads.6 According to Barfield (1989: 246-49), the Ming rulers reasoned that the Song court had paid huge subsidies to the Qidan, Ruzhen, and Mongols, only to lose first northern China and then be completely swallowed by the Mongols. They believed that subsidies had simply enhanced the power of nomads, ultimately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the Song dynasty. The Ming court, however, belatedly recognized the fact that the subsidies to nomads were cheaper than raising troops or building walls for defense. In 1449, the Ming suffered the embarrassment of Emperor Ying-zong being captured by the Oirat Mongols, recalling the Xiong-nu encirclement of Han Gao-zu in 200 BC. The Ming peace treaty with the Mongol tribal leaders provided subsidies, trade rights, and titles to every minor chieftain, helping to cement the fragmented political structure on the Mongolian steppe.7 The Ming dynasty, unlike Yuan, lacked the power to maintain military control over the whole of Manchuria outside Liao-dong and a narrow coastal strip of Liao-xi. The Ming court granted honorific titles and tributary benefits to about 200 petty Ruzhen tribal leaders in order to maintain influence in the region and keep them out of the sphere of Koryeo influence.8 Toyotomi Hideyoshi succeeded in unifying all of the Japanese islands by 1590, and then decided to ship the now useless warriors to the Korean peninsula in 1592, declaring that they were on their way to conquer Ming China. Spence (1990: 18-19) notes that “since the Ming regarded Korea as a loyal and dependent ally to be protected at all costs, Chinese troops were sent in force to help the hard-pressed Koreans. The war might have continued, at terrible cost to all three countries, had not domestic turmoil in Japan, coupled with effective disruption of Japanese supply lines by the Korean navy, led to the recall of Japanese troops from Korea in 1598.” After being saved by the Ming army, the tendency for the Koreans looking toward the Han Chinese Middle Kingdom over the shoulder of their Manchurian cousins was very much amplified. By the year 1600, on the eve of the dynasty’s violent end, the empire of Ming was the most sophisticated of all the nations on earth and its population of some 120 million was larger than that of all European countries combined. Positions in the bureaucracy and the military officer hierarchy were acquired by passing the examinations which were administered at the county, provincial, and capital levels. At the very moment when the Ming culture and arts seemed at the height of their glory, however, the state and economy began to unravel. Those who brought order to the chaos in mainland China were the Ruzhen tribesmen in Eastern Manchuria. The return of the Ruzhens Nurhaci (1559-1626), the founder of the Qing dynasty (1616-1911), was the son of a Jian-zhou tribal chieftain, who had made marriage alliances with the Hun-lun tribes. 9 On lunar New Year’s Day in 1596, Nurhaci had told Sin Jung-il, an envoy from the Chosun court, that: “From this day forward, our two countries will be as one, our two families will be one, forever united and amicable, for generations, without end.” Nurhaci sent a letter to the Chosun court, saying that: “The honorable Korean country and our Ruzhen nation, we two countries, will advance toward customary good relations, and our two peoples will not habitually raise troops against each other.” 10 By 1621, Shen-yang and Liao-yang fell to the Ruzhen troops, Nurhaci made Shen-yang the capital of Later Jin in 1625 and, in due course, his scions established the Manchu Qing in 1636. THE RULERS OF THE JIN AND QING DYNASTIES BELIEVED THAT THEIR PROGENITOR HAD originally COME FROM koguryeo or SILLA In the preface of Researches on the Manchu Origins (Man-zhou Yuanliu Gao), the Qian-long emperor (1736-96) states that the ancestors of the Jin imperial clan had lived among the Mohe confederation, within the territory of the ancient Su-shens where were found the Long White Mountain (Changbai-shan) and the Black Water (the Hei-shui), and this was the very scene of the rise of the Ruzhens, later renamed as Manchus which was presumably a reflex of the Su-shen. The Qing rulers clearly believed that the founders of the Ruzhen Jin dynasty were their direct ancestors, and hence they initially called their nation Later Jin until 1636. 12 [각주] 1 Crossley (1999: 87) notes that many Ruzhens joined the Yi garrisons established in the vicinity of the Yalu, and others entered trade, frequently assuming Korean surnames. 2 Hsiao (1978: 4) 3 Yong-le let the admiral Zheng He, a Muslim Turk undertake seven grand diplomatic naval expeditions between 1405 and 1423, visiting 30 countries as far as the African east coast with 26,800 men in the very first voyage. The shipyards near Nanjing alone built 2,000 vessels, including about 100 state-of-the-art treasure ships unprecedented in human history; 370-440 feet in length and 150-180 feet abeam, weighing 3,000 tons apiece with 4-9 masts up to 90 feet high, 16 water-tight compartments, and stern-post rudders. Persuaded by the Confucian-trained bureaucrats, Yong-le’s successors prohibited foreign contact and trade altogether, letting the Zheng He’s Armada rot in shipyards and leaving the world to be explored by Europeans. See Fairbank and Goldman (1992: 137-8). 4 Barfield (1989: 236-237) 5 Barfield (1989: 235) 6 Jagchid and Symons (1989: 139-40) states: “Yearly payments were received by the Xiong-nu Shan-yu, Mao-dun, as early as the Han period, which set a precedent for the huge demands made on the Song and Southern Song dynasties by the Qidan Liao, Tangut Xia, and Ruzhen Jin states. Bestowals were also presented throughout these dynastic periods, with the level of presentation determined by the relative power of the sedentary and nomadic states. … Although bestowals and yearly payments were … extremely costly to maintain, they did provide Chinese courts with an alternative to expensive and dangerous warfare with their nomadic neighbors.” 8 See Barfield (1989: 235-6 and 251). According to Spence (1990: 26), “the policy of the Ming was to control the Ruzhen by formally defining their territory as a part of China’s frontier defensive system, by offering them honorific titles, and by granting them trading privileges. 11 See Crossley (1999: 85) 12 See Crossley (1997: 124, 301). The emperor Qian-long suggests that the “Man-chu” can be traced to the “Man-zhu” which in turn can be traced to the “Zhu-shen,” which was a fairly recent reflex of the remote name of the “Su-shen.” 欽定 滿洲源流考 卷首諭旨 http://www.WontackHong.pe.kr ⓒ 2005 by Wontack Hong |
명(明)을 정복한 여진족 청(淸)왕조 | ||||||||||||||||||||||||||||||||||||||||||||||||||||||||||||||||||||||||||||||
[홍원탁의 동아시아역사 바로보기] | ||||||||||||||||||||||||||||||||||||||||||||||||||||||||||||||||||||||||||||||
| ||||||||||||||||||||||||||||||||||||||||||||||||||||||||||||||||||||||||||||||
| ||||||||||||||||||||||||||||||||||||||||||||||||||||||||||||||||||||||||||||||
1616년, 누르하치는 여진족의 사회조직과 군사조직을 통합한 병민일체(兵民一體) 팔기제도를 편성 완료했다. 1621년에 심양과 요양을 점령한 이후, 명나라 정부조직을 모방한 축소판 정부행정 관료기구를 구성하여 전통적인 (전연-북위-요-금-원) 2원(二元)제도를 한층 개량시켰다. 1635년, 몽골족 팔기군(八旗軍)을 편성하여 중국 본토를 정복하고 신생 제국을 통치하려는 사업에 동업자로 참여시켰다. 중립외교 정책을 택했던 광해군을 좋아 낸 인조가 친명정책으로 선회하자, 홍타이지(皇太極)는 1636년에 조선을 침공하여 신복(臣服)시켰다. 중국 본토를 정복하려는 만주족 세력은, 적대적 자세를 취하는 조선 사람들에 의한 후고(後顧)의 걱정거리를 그대로 방치해 둘 수가 없었다. 1642년, 요하 주변에 거주하는 한족을 동원해 한군(漢軍)팔기군 편성을 완료했다. 1644년, 만주족, 몽골족, 요동한족 팔기군으로 구성된 청 군은 항복한 오삼계의 군대와 함께 진군해 북경에 입성했다. 홍타이지의 어린 아들은 순치제(順治帝)라는 칭호로 제위에 올랐다. 청나라 황제들은 상무전통을 고취하면서 제국을 통치했고, 중국화를 저지하려 노력했다. 만주, 몽골, 신강, 티벹, 대만 등은 중국본토라고 불리는 내지와 달리, 비 한족관료 관할 하에 별도로 다스려 졌다. 만주정복자들은 그들 고유의 통치조직을 가지고 흥했고 또 망했다. 만주족은 중국의 강역을 2배 이상으로 확장했으나, 자신들의 본고장인 만주를 포함해 중화인민공화국에게 모두 물려준 꼴이 되었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Text In PDF.../ 편집자 주
누르하치(奴爾哈赤, 1559-1626)는 자신의 여진족 군대와 그 가족들을 몇 개 집단의 기병(旗兵)으로 조직했다. 1601년, 황(黃), 홍(紅), 백(白), 남(藍)의 깃발로 구별된 네 개의 기병 군단을 편성해, 자신의 친족 네 명을 이들 기병의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누르하치가 스스로 후금(後金)의 칸(汗)이라 칭한 1616년, 이들 네 개의 기병 군단을 각각 양분한 다음, 황기, 백기, 남기에는 홍색으로 가장자리를 두르고, 홍기에는 흰색 선을 둘러, 처음 네 개와 함께 모두 여덟 가지 깃발을 만들어 구별했다. 이들 깃발은 전투 시 병사들의 인식표지 역할을 하여 소속 식별을 용이하게 했고, 특정 팔기병(八旗兵)의 구성원 신분은 평상시 주민등록의 근거가 되었다. 1 팔기제도의 수립과 동시에 누르하치는 명나라 정부조직을 모방한 축소판 정부행정 관료기구를 구성하여 전통적인 (전연-북위-요-금-원) 2원제도를 한층 개량시켰다. 교육받은 한족들은, 항복을 하면, 급속히 팽창해가는 여진족 관료조직에 가담 해 봉사를 할 기회를 얻었다. 누르하치 편으로 넘어 온 고위 한족 관리들은 누르하치 가문과 혼인관계를 맺고, 명예 칭호를 받아, 고위직에 임명되었다. 한족 관료들은 만주부족들의 팔기군 군사활동에 일체 간여하지 않고, 요하 주변의 한족 정착민들을 통치하는 정부행정 만을 전담했다. 2
한반도에서는 선조(1567-1608)를 승계한 광해군(1608-23)이 노련한 솜씨로 외교정책을 수행하여 조선이 여진족과 명나라 사이의 싸움에 말려들지 않도록 했다. 광해군은 수비 요충지들을 수리하고, 무기체계를 개량하고, 군사훈련 프로그램을 새로 도입하는 등, 조선의 군사적 대비태세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와중, 광해군은 인조(1623-49)에 의해 쫓겨났다. 3 인조는 반 여진 친 명 정책으로 선회했다. 이기백(1984: 215)은, “사태가 이렇게 되자, 만주족은 명과의 싸움을 벌리기 전에 조선조정의 정책전환에 의해 야기된 후방의 위협을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고 말한다. 누르하치의 여덟 번째 아들 홍타이지(皇太極, 太宗, 1627-43)는 한족 자문관들의 도움을 받아 집권을 했다. 1635년, 내몽골 부족들이 만주족 국가에 흡수편입 되었다. 4 북방 정벌로 흑룡강 유역 생여진 부족들도 복속시켰다. 1635년, 홍타이지는 공식적으로 여진족을 만주족이라고 개명하고, 다음해 1636년에는 자신을 청나라 황제라고 선언했다.
청의 한반도 침략은 단기간에 끝장이 난 것이지만, 당시 청나라 군대가 휩쓸고 지나간 서북지역은 황폐화 되었다. 한반도 사람들이 거란족이던, 여진족이던, 몽골족이던, 한족이던 간에 강자에 신복(臣服)하고 기민하게 사대주의 외교를 실천하는 경우에는 국가가 전쟁의 참화를 피하고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세판단을 잘 못하고 강자에 대항했을 경우에는, 자발적이던 비자발적이던, 자세를 전환할 때까지 전국이 전화로 파괴되는 고통을 격어야만 했다. 특히 중국 본토를 정복하려는 만주족 세력은, (적대적 자세를 취하는) 한반도 사람들에 의한 후방의 위협[後顧의 걱정거리]을 그대로 방치해 둘 수가 없었던 것이다. 만주족 팔기군, 몽골족 팔기군, 요동한족 팔기군: 몽골족을 작은 동업자로 동원 만주족은 중국 본토를 정복하고 신생 제국을 통치하려는 사업에 (동) 몽골족들을 종속적인 동업자로 참여시켰다. 1635년, 홍타이지는 만주족과 동일한 형태로 [거란족을 포함하는] 몽골족의 팔기군을 편성했다. 5 만주 국경으로부터 감숙성에 이르는 지역의 모든 몽골족은 팔기제도에 흡수편입 된 것이다. 징기스칸의 직계 후손들은 자신의 부족을 지휘하면서 청나라 조정의 직위를 수여 받았다. 청조 지배자들은 각 몽골부족에게 지정된 목초지를 고정적으로 배정해 주고, 각각 별개의 동맹자로 관리하는 방법으로, 몽골족을 효과적으로 분열시키는 동시에 기동성을 제거했다. 6 청 왕조는 내륙 아시아의 변경지역을 지키기 위해 몽골 팔기군에 크게 의존했다. 여진족이 몽골 동맹군과의 동류의식이 강했던 것은 그들의 문화전통이 대체로 유사했기 때문이었다. 7 Ledyard(1983: 328)는 “만주족의 몽골족에 대한 태도나 정책은 다른 종족에 비해 훨씬 더 우호적이었다. 만주족은 몽골족을 자신들의 적극적인 지지자로서, 또 동료로서 협력을 구했다”고 말한다. Purdue(2005: 124)에 의하면, 만주족이 “몽골 귀족가문과 적극적인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두 종족간의 동맹관계는 한층 공고하게 되었다. 1612-15년 기간 중, 누르하치와 그의 아들들은 모두 6명의 몽골 여인들과 결혼을 했다. 홍타이지는 12명의 딸들을 몽골 부족장들에게 시집을 보내, 결혼동맹 정책을 한층 더 강화했다.” 1637년, 청 태조 홍타이지는 요하 주변에 거주하는 한족(漢族)을 동원해 2개의 한군기병(漢軍旗兵)집단을 만들었고, 1639년에는 4개로, 1642년에는 8개로 확장해, 그로부터 2년 후의 중국대륙 정복 개시를 위한 한족 팔기군 편성을 완료했다. 한족들은 대포를 주조하고 사용할 줄 알았으며, 소총사용의 경험도 있었다. 8 기원전 108년에 한 무제가 고조선을 정복한 후, 많은 수의 한족들이 비옥한 요하 유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들 정착민들의 후예가 청나라 군대조직에 가담하여 한족 팔기군의 핵심을 구성했고, 여진족 청나라 지배자들이 전 중국을 정복할 수 있게 해 주었다. 9 고대 요동지역의 한족 정착민 후예들이 사용하는 중국어, 즉 요동한족 팔기군의 언어가 만주족 지배자들에 의해 북경으로 도입되어 후에 소위 만다린이라는 명칭으로 오늘날 중국의 공식상용어가 된 것이다. 만주족 지배자들은 1640년대 초까지, 병사들이 돌아가며 현역으로 전투 임무를 수행하고, 주민등록을 하여 가족을 보호하며, 농토의 경작을 감독할 수 있는 세습적 사회-군사 조직을 제도적으로 완성했다. 팔기군 단위부대들은 전통적인 부족 단위로 조직이 되었지만 모두 개별적으로 황제 휘하에 소속되었다. 팔기병(八旗兵) 요원들은 만주족, 몽골족, 요동한족의 세습적 계층으로부터 선발되어, 정복과 점령 목적을 위해 군사와 행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았다. 10 팔기병들은 전쟁 노획물을 분배 받았고, 평화시에는 쌀과 녹봉을 지급 받았으며, 팔기병 집단은 구성원 개인이 관료로 선발될 기회가 부여 된 인재 풀을 형성했다. 11 전형적인 팔기병을 군인-서기-관료 등 범 국가기능 요원으로 간주하는 정복 이전 시기의 이상(理想)은 정복 후에도 계속 청나라 교육 정책의 근간을 이루었다. 12 Elliott(2001: 348)은, 황제 한 명 만을 제외하고, 만주족 남녀노소 전원이 팔기조직에 속했다고 말한다. 13 팔기제도란 고도로 군대화 한 병민일체(兵民一體, 農兵一致)의 사회조직인 것이다. 1643년, 청 태조는 동생 도르곤 친왕을 자신의 5살 난 (9번째) 아들의 섭정으로 세워놓고 급작스럽게 죽었다. 1644년, 이자성(李自成)의 농민 반란군은 북경을 포위한 다음, 군대를 이끌고 명장 오삼계(吳三桂)를 공격하기 위해 산해관으로 진군했다. 만주족, 몽골족, 요동한족 팔기군으로 구성된 청 군은 항복한 오삼계의 군대와 함께 해안을 따라 진군해 북경에 입성했다. 어린 황제는 순치제(福臨, 世祖 順治帝, 1643-61)라는 칭호로 제위에 올랐다. 순치제의 모친은 징기스칸의 후손이었고, 강희제(康熙帝, 1661-1722)의 할머니가 된다. 14 명 황족과 그 지지자들을 모조리 색출 처단하는 데는 그로부터 18년이라는 세월이 더 걸렸다. 1662년, 명나라 후계자를 자칭하는 잔당이 운남에서 모조리 처형되었다. 만주족은, 중국본토로 진입하기 10여 년 전에, 심양에 명 조정을 그대로 모방하여 만주족, 몽골족, 한족 관리로 충원된 육부(六部) 설치했었고, 관리를 선발하기 위해 과거제도도 도입했었다. 따라서 만주족이 북중국에 진입했을 당시, 만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중국식으로 통치를 할 준비가 완료되었던 것이다. 1648년 당시, 총 팔기군 중 만주족 팔기가 겨우 16% (1723년에는 23%), 몽골족 팔기가 8%, 그리고 나머지 4분지3은 모두 한족 팔기였다. 15 대다수의 한군(漢軍)팔기병은 만주어와 중국어를 모두 구사했다. 요동한족 팔기군이 없었다면 명 제국을 정복한다는 것이 불가능 했을지도 모른다. 16 40만 명도 안 되는 (만주족, 몽골족, 요동한족) 팔기군이 한족의 명 제국을 정복하고, 북경과 18개의 전략적 지방 요충지에 (소위 만주족 도시라는) 팔기 수비대를 설치하여, 팔기병들이 해당지역의 한족주민과 격리되어 가족과 함께 성안에 살수 있도록 주거지가 배정되었다. 17 Elliott (2001: 363)에 의하면, 정복 당시 (노비를 제외하고 정규 중대 만을 계산하여) 만주족 총인구는 대략 20.6만-39만 명 사이였고, 이들이 1억2천만 명의 한족 중국을 정복한 것이다. 만주족은 한족 모양 천치이던 불량배이던 장남이면 제위를 승계한다는 전통이 없었다. Elliott(2001: 356)에 의하면, 만주족은 “알타이 습속에 따라 가장 유능한 후계자를 선택할 수 있었다.”133년이라는 기간 동안, 강희제(1662-1722), 옹정제(1722-36), 건륭제 (1736-96) 등, 세 명의 유능하고 근면한 황제들이 유교의 덕치를 내세워 신생 제국의 기틀을 공고히 하였다. 강희제는 몸소 유목민 원정을 지휘하며 전쟁터의 흥분을 즐겼다. 18
1779년, 북경을 제외한 모든 만주족 수비대 도시에서 한족 팔기병이 모두 제거되었다. 20 오랜 기간에 걸친 한족 팔기병 제거 과정을 거쳐, 모든 팔기병은 마침내 만주족(혹은 몽골족)으로 간주되게 된 것이다. Fairbank and Goldman(1992: 148-9)에 의하면, “공인된 존재로서의 한족 군대는 공격훈련을 받지 않고, 단지 우편물 배달 통로를 지키고 도적을 잡는 경찰업무를 수행하는 지방 군대(綠旗軍)뿐이었다.” 만주족 순수성을 유지하려는 노력 6부(六部)는 만주족과 한족 등 2명의 장을 가지고 있었고, 각 지방에는 한족 지사들과 만주족 총독들이 있었다. 과거제도를 통해 선발된 유능한 한족관리들이 실무를 담당하고 충성스런 만주족들이 감시를 하는 제도인 것이다. 21 Fairbank and Goldman(1992: 143 and 151)에 의하면, “만주족 지배자들은 통치제도의 일부로 만주어를 보존시키면서, 거란, 여진, 몽골족들의 관행을 답습 해, 한족이 볼 수 없는 만주어 서류를 작성했다.” 즉, 중요한 내용의 서류는 만주어로만 작성이 된 것이다. 만주족을 혼혈을 금지하고 한족과 만주족의 상이한 관습을 보호 해, 자신들의 순수성을 지키려 했다. 만주족은 그들 자신 만의 고유한 종교적 관행을 유지했고, 사찰 내에서 무속인들이 제례를 지낼 때 한족의 참관을 금했다. 22 사냥과 말 타고 활 쏘는 훈련을 통해 무술의 우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그들은 만주 글과 말을 사용하여 문화적 차별성을 강조했다. 만주족 여인들은 발을 묵지 (纏足) 않았다. 만주족 황제들은 내몽골(承德=熱河)에서 여름을 보내면서, 사냥과 말 타고 활 쏘기를 통해 신체를 단련 했다. 23 건륭제는 팔기병 에게 만주어와 군사기술을 철저하게 교육시키도록 했다. 그는 옛 만주족의 전통을, 말 타고 활 쏘는 무술 연마에 진력, 만주어를 말하고 쓰기, 샤머니즘, 근검절약, 조상숭배 등으로 정형화 했다. 건륭제는 “너희들이 사서삼경 고전을 배웠건 안 배웠건 나한테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24 여진족 금 왕조가 12세기에 송나라와의 싸움에서 승리한 것을 건륭제 조정이 경축하며 노래를 부르는 의식을 거행했던 것은, 만주족이 여진족 금나라 사람들의 발자취를 따르고 있다는 의식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25 청조 지배자들은, 온갖 노력에도 불고하고, 만주족이 중국화되는 운명을 막을 수는 없었다. 중국대륙을 정복한다는 것 자체가 바로 중국화와 민족 자멸을 의미했다. 19세기 말 이후, 전 만주대륙은 한족들의 대량 유입으로 매몰되었다. 오늘날 만주 총인구의 90% 정도가 한족이다. 26 중국대륙-몽골고원-만주라는 삼각지형에서의 진화과정은 외몽골과 한반도 만이 21세기 현재 동아시아 대륙에서의 독립적인 존재를 유지하게 만든 것이다. 청나라 역사를 포함한 전 중국역사를 오로지 한족(漢族)의 관점에서만 기술하는 관행 아주 전형적인 한족 중심의 중국역사 서술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청 제국은 만주족에 의해 정치적 문화적 외형(外形)의 일부가 형성되었다; 청 제국은 만주족에 의해 규제를 받았다; 청나라는 만주족에 의해 창건되었지만, 청 지배자들은 확립된 한족 가치관에 조화를 이루도록 조정을 개조했다; 청조의 황금시대는 청나라 지배자들 중 가장 유교적이고 가장 중국화된 건륭제의 치세이었다.”Crossley(1999: 3)에 의하면, 이러한 서술이 청나라 역사를 전공한다는 학자들 모두가 수용하는 기초적 상식이라는 것이다. 명나라 황제들은 관료들에 대항 해 통치권을 장악하는 투쟁을 계속 했어야만 했다. 청나라 황제들은 직접 통치를 했다. 만주족은 제국의 영토를 2배 이상으로 확장했다. 명나라의 13개 지역단위와 2개의 수도권역은 청나라 때 18개의 지역단위로 개편되어 “중국 본토”라고 불리는 내지를 구성했다. 만주, 몽골, 신강, 티벹, 대만 등은 비 한족관리 관할 하에 별도로 다스려 졌다. 정복 지배층은 상무전통을 고취하면서 제국을 통치했고, 중국화를 저지하려 노력했다. 정복자들은 그들 고유의 통치조직을 가지고 흥했고 또 망했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3-6 (2005. 8. 27.)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Spence (1990: 27), Crossley (1997: 207), Barfield (1989: 253) 참조. 대략 150가구가 화살(矢)이라 부르는 중대로 조직되었고, 50개의 중대가 다섯 개의 연대, 즉 [7500 가구 규모의] 한 개의 기(旗)를 이루었다. 누르하치는 항복하거나 정복한 부족들을 자신이 직할하는 세습적 초(超)부족 시기(矢旗) 군사계급으로 흡수 편입시켰다. 오늘날의 중화인민공화국은 현(縣)과 향(鄕)으로 편성되어있다. 그러나 내몽골 자치구는 아직도 현을 깃발이라고 부르고 향을 화살이라고 부른다. 2. Spense (1990: 28) 참조. 3. 이기백 (1984: 215) 4. 홍타이지가 1935년에 막남(漠南) 몽골 찰합이부(察哈爾部)를 정복하고 전국옥새(傳國玉璽)를 획득하자 몽골 부족장들이 심양(瀋陽, 盛京)에 모여 홍타이지에게 몽골가한(蒙古可汗)의 칭호를 올렸다. 5. Spence (1990: 30-31) 6. Barfield(1989: 6)에 의하면, 몽골족 팔기군을 지휘하는 몽골 왕자들은 지정된 목초지를 이탈할 수 없는 일반 부족민들과 분리되었다. Jagchid and Symons(1989: 21)에 의하면, 청나라 지배자는 몽골 지배층에게, 귀족으로서의 신분, 세습적 권위, 청조에 대한 충성도 등을 기준으로 직위와 봉토를 하사해 주는 준 봉건제도를 실시했다. 만주족은 봉토를 인위적으로 구획하는 정책을 통해, 초원지대를 작은 조각들로 분해시켰다. 봉토의 구획이 엄수되자 유목민의 강점인 기동성이 소멸되었다. 몽골 지배층은 청조로부터 좀더 큰 영향력과 보상을 얻어내기 위해 서로 경쟁을 했다. 7. Elliot (2001: 75) 참조. Jagchid and Symons(1989: 21)에 의하면, 만주족은 전 중국의 통치를 공고히 해 가면서 자신의 군사력을 보충하기 위해 몽골 지원군에 크게 의존했다. Purdue(2005: 126)에 의하면, 정복 진행 초기에 동부-남부 몽골 부족들을 성공적으로 흡수편입 시킬 수 있었던 것은, 만주족이 후에 훨씬 서쪽에 떨어져서 독립을 유지해 온 적대적 몽골 부족들을 상대로 할 때 크게 도움을 준 귀중한 경험이 되었다. 8. Elliot (2001: 77) 9. Crossley(1999: 56)에 의하면, (옛부터 요하 주변에 정착해 살던 한족을 지칭하는) 니칸들은 청 제국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에, 본래부터 만리장성 아래에 살던 한족과는 전혀 다른 대접을 받았다. 1741년 이후, 청 조정은 니칸 출신의 한족 팔기군 병사들 대부분을 만주족 팔기군으로 전속시켰고, 그 이후의 한족 팔기군은 더 이상 한족 평민들과 구별이 되지 않았다. 10. Crossley (1999: 287) 참조. 간부후보생들은 말 타고 활 쏘기에 능숙해야 할 뿐 아니라, 만주어나 몽골어로 시험 논문을 작성해 제출해야만 했다. 세월이 지남에 따라 한족 팔기병들은 점차 관리로 전환되었다. Crossley (1999: 288-9) 참조. 11. Fairbank (1992: 146-7) 12. Crossley (1997: 127) 13. 하지만 팔기병의 지위를 포기하면 상업이나 육체 노동에 종사할 수 있었다. 14. Crossley (1997: 76) 15. Fairbank and Goldman (1992: 146) 참조. Elliott(2110: 364)에 의하면, 1648-1720년 기간에 전체팔기군 중 한족 남자가 13만3천에서 60만으로 증가한 반면, 만주족 남자의 수는 대략 16만에서 45만으로, 몽골족 남자는 8만4천에서 18만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계된다. 여성과 노비를 포함하면, 팔기의 총인구는 1648년의 1백90만 명에서 1720년의 3백70만 명으로 증가한다. 16. Spence (1990: 41) 17. Elliott (2001: 348, 364) 참조. 18. Fairbank and Goldman (1992: 147-8), Purdue (2005: 188), Barfield (1987: 285) 참조. 19. 동쪽의 몽골족들은 만주족에 협력하면서 하나의 국민으로 그 존재를 유지 해, 20세기에는 독립국가를 이룰 수 있었다. 서쪽 몽골족들은 사납고 용맹하게 청나라에 저항을 하다가 인종 말살의 비운을 맞았다. 중가르는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된 것이다. Purdue (2005: 286) 참조. 20. Elliott (2001: 351) 참조. 21. Fairbank and Goldman (1992: 148-149) 참조. 22. Spence (1990: 41) 23. 청 조정은 티벹 불교의 일파인 황색 라마교가 몽골족 사이에 유포되는 것을 개의치 않았다. Jagchid and Symons(1989: 21)에 의하면, 청나라 후기에 들어서면 만주족의 몽골 군사력에 대한 의존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군복무를 위한 몽골족 주민등록이나, 티벹 불교 사원에 대한 정부 정책이 완화되었다. 완화되었다. 불교의 유행으로 몽골 남자들의 절반 가량이 속세를 떠나 라마가 되기 위해 기도원에 들어갔다. 유목생활로부터 몽골족의 이와 같은 대량 이탈은, 후손을 없애고 군사적 경험을 없앴기 때문에 중국본토에 대한 몽골군 위협의 부활 위험을 크게 감소시켰다. 24. Crossley (1999: 307-9) 25. Elliott (2001: 355) 26. 만주 총 인구는1891년에 2천2백60만 명, 1942년에 4천6백80만 명으로 추계된다. Gottschang and Lary (2000: 172-3) 참조. 1990년에 와서는 만주 총인구가 1억을 초과 했고, 내몽골 북변에도 1천만 명이 살고 있다. 1990년 현재 만주족으로 등록된 주민은 1천만 명 정도에 불과하고, 조선족으로 등록된 주민은 2백만 정도가 된다, Janhunen (1996: 39, 43. 47) 참조.
Return of the Manchurian Tigers: The Ruzhen Qing Dynasty the ming conquered by the manchu qing Wontack Hong refining the traditional dual system Nurhaci (1559-1626) organized his troops and their families into different groups of “banners.” He created four banners in 1601, each of a different color (either yellow, white, blue or red), and appointed four of his kinsmen the lords of these banners. Each of the four banners was split into two in 1616 (the year Nurhaci declared himself the Kahn of the Later Jin), one being the plain banner and the other being bordered. The banners served as identification devices in battle, and membership in a given banner was used as the basis for population registration in daily life.1 Nurhaci also refined the traditional dual system (of the Former Yan, Norther Wei, Liao, Jin and Yuan) with a miniature civil administration in imitation of the Ming government. Educated Chinese who surrendered were offered a chance to serve in the rapidly expanding Ruzhen bureaucracy. Senior Chinese officials who came over to Nurhaci’s side were offered marriage into his family, honorific titles, and high office. The Chinese administrators handled administrative tasks of governing the Liao River basin, without interfering in the military activities of tribal banners.2 Sa-dae (serve the greater) strategy of the Chosun In the Korean peninsula, King Seon-jo (1567-1608) of Chosun was succeeded by Kwang-hae-gun (1608-23) whose skillful foreign policy kept the Korean peninsula from being drawn into the conflict between the Ruzhen and the Ming. In the midst of his endeavor to enhance the Chosun’s state of military preparedness (by repairing defensive strongpoints, renovating weaponry, and instituting training programs), Kwang-hae-gun was removed from the throne and succeeded by King In-jo.3 In-jo (1623-49) switched to a pro-Ming and anti-Ruzhen policy. Lee (1984: 215) notes: “The Manchus now came to feel it necessary to eliminate the threat to their rear posed by Korea … before proceeding with their campaign against Ming.” Nurhaci’s eighth son, Hong Taiji (Tai-zong, 1627-43), was helped to power by Chinese advisers. In 1635, all of the Inner Mongolian trib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Manchu state. Expeditions to the north also brought the wild Ruzhen tribes along the Amur River under control. Hong Taiji officially renamed the Ruzhens the Manchus in 1635, declared himself emperor of the Qing in 1636. Hong Taiji had invaded Chosun in 1627 with a 30,000 man army, but withdrew his army in exchange for a Chosun’s pledge to do honor to Later Jin as would a younger to an older brother. In 1936, he demanded a suzerain-subject relationship. When the Chosun court refused to do so, Hong Taiji himself led an army of 100,000 men (consisting of the Manchu, Mongol and Chinese soldiers) and invaded Chosun. King In-jo surrendered in 1637, and vowed to sever his ties with the Ming dynasty, to pay homage to the Qing court, and to dispatch troops to assist the Manchu campaign against Ming, delivering his two sons as hostages. The Qing invasion was of short duration, but the northwest region through which the Manchus had passed was ravaged. When the Koreans maintained an adroit Sa-dae (Serve the Greater) strategy, yielding to the Stronger, be it the Qidans, the Ruzhens, the Mongols or the Han Chinese, the Korean dynasty could maintain its independent nationhood free from the ravages of warfare. When the Koreans stood up against the Stronger, they suffered a wholesale destruction until they,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changed their stance. A Manchurian force, in particular, could not leave the threat to their rear posed by the Koreans before proceeding with their campaign against mainland China. The eight banners of the manchu, mongols and han chinese: enlisting the mongols as a junior partner The Manchus enlisted the Mongols as a junior partner in conquering the mainland China and maintaining the empire. Hong Taiji established a parallel structure of eight Mongol banners in 1635.4 All the Mongols along the frontier, from Manchuria to Gansu, were incorporated into the banner system. The descendants of Chinggis Khan received positions of rank in the Qing administration commanding their own tribal people. The Qing rulers effectively divided and immobilized the Mongols by organizing them under separate leagues with assigned pasturage. 5 The Qing dynasty depended heavily on Mongol troops to defend its Inner Asian frontier. The Ruzhens’ sense of a shared identity with their Mongol allies was based on the broad similarities in their cultures.6 Ledyard (1983: 328) notes: “their attitude and policy toward the Mongols was much more friendly … the Manchus enlisted them as active supporters and friends.” According to Purdue (2005: 124), “intermarriage with Mongolian noble families further cemented alliance between the two peoples. … From 1612 to 1615 Nurhaci and his sons together married six Mongolian women. … Hong Taiji expanded the marriage alliance policy, marrying twelve of his daughters to Mongolian chieftains.” Mobilizing the Han Chinese who had settled around the Liao River basin, Hong Taiji established two full Chinese banners in 1637, increasing the number to four in 1639, and then to eight in 1642, just in time for the conquest of China that began two years later. The Han Chinese knew how to cast and use cannon and were practiced with muskets.7 After Han Wu-di had conquered Old Chosun in 108 BC, a large number of Han Chinese came to settle in the fertile Liao basin area. The descendants of these original settlers joined the Qing military organization and came to constitute the core of the Chinese Eight Banners, enabling the Ruzhen Qing rulers to conquer the entire mainland China.8 The creolized Chinese language of Liao-dong or rather the language of these Chinese bannermen, was taken to Beijing by the Ruzhen-Manchu rulers and eventually became the so-called Mandarin, the official language of modern China. By the early 1640s, the Manchu ruler finished organizing a hereditary socio-military system for soldiers to provide active combat duty on rotation, to register and protect their families, and to supervise work on their land. Banner units were organized along traditional tribal lines but were all personally attached to the emperor. The banner elites were recruited from hereditary ranks of the Manchu, Mongol and Han Chinese, and were trained to perform both military and civil tasks to further the ends of conquest and occupation.9 The bannermen enjoyed booty in warfare, and stipends of rice and cash in peacetime, and they also formed a talent pool from which individuals could be chosen as civil bureaucrats.10 The pre-conquest ideal of the bannermen as comprehensive state functionaries (soldiers, clerks, or officials) continued to shape the Qing educational policies after the conquest.11 Elliott (2001: 348) states that every Manchu man, woman, and child, with the sole exception of the emperor, belonged to the Eight Banners.12 The Eight Banners system was a highly militarized form of social organization. More than a decade before the Manchu’s entrance into mainland China, they had created in Shen-yang the Six Ministries, in exact imitation of those at the Ming court, staffed by a bureaucracy in which Manchus, Mongols, and Chinese were represented. The Qing court also introduced the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ment to the civil service. By the time the Manchus entered North China, they were fully prepared to rule in the Chinese way while maintaining their Manchu identity. The Chinese bannermen made up three quarters of the total bannermen by 1648, while 8 percent were Mongols and only 16 percent Manchus (that rose to 23 percent by 1723).14 Many of the Chinese bannermen spoke both Manchu and Chinese. Without the Han Chinese bannermen (including the Chinese bondservants), there would probably have been no conquest of the Ming Empire.15 The Yuan dynasty had conquered the oasis states of Islamic Central Asia and also the state of Dali, and made Tibet into a subordinate state. The Mongol armies had reached into Burma, and attempted to conquer Vietnam and Champa. The Manchu rulers were apparently inspired by the Mongol conquests, and came to provide modern China with a territorial unification of much greater extent than that achieved by the Han and Tang dynasties. By the mid-1770s, Emperor Qian-long completed the conquest of Inner Asia, specifically Zungharia (the area east of Tarbaghatai and west of Altai Mountains) and Xinjiang (the area south of Tianshan and north of Kunlun Mountains) that were all inherited by what is now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18 The inclusion of Manchuria was a direct consequence of the Manchu rule. By 1779, the Han Chinese bannermen had been eliminated from all Manchu garrison cities save Beijing and Guang-zhou.19 After a protracted process of weeding-out the Han Chinese bannermen, all banner people eventually came to be recognized as the Manchus (or Mongols). According to Fairbank and Goldman (1992: 148-9), “the only Chinese troops given a recognized existence were provincial forces that were used mainly as a constabulary on the post routes and against bandits but which lacked any training as a striking force.” Efforts to maintain the Manchus’ racial purity The Six Ministries had joint Manchu and Chinese presidents, and the provinces had Manchu governors-general and Chinese governors. The capable Chinese, recruited through the examination system, did the work while the loyal Manchus checked up on them.20 According to Fairbank and Goldman (1992: 143 and 151), “as part of their system of control the Manchu rulers tried to preserve the Manchu language and followed the Qidan, Ruzhen, and Mongol examples in creating a Manchu documentation that was generally unavailable to Chinese officials.” Important documentation was written only in Manchu. The Manchu tried to maintain their racial purity by banning intermarriage and fostering separate customs between the Han Chinese and Manchu. They kept to their own private religious practices, which were conducted by shamanic priests and priestesses in temple compounds to which the Chinese were denied access.21 They tried to maintain their martial superiority by practicing hunting and mounted archery. They emphasized their cultural distinctness by using the Manchu spoken and written language. The feet of Manchu women were not bound. The Manchu emperors spent summers in Inner Mongolia (Chengde=Rehe), maintaining physical fitness by riding, hunting, and shooting.22 Emperor Qian-long prescribed rigorous study of the Manchu language and of military skills for banner education. He formalized the Old Manchu Way: immersion in military arts of riding and shooting, the speaking and writing of Manchu, shamanism, frugality, and reverence for the lineages. He stated that “whether you have studied classical literature [the Four Books] is a matter of no concern to me.”23 The performance of songs at the Qian-long court celebrating the twelfth-century victories of the Ruzhen Jin dynasty over the Song was an indication of the sense the Manchus had of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 Ruzhens. 24 No combination of efforts, however, could save the Manchus from the fate of being sinicized. Conquering China implied sinicization and ethnic self-destruction. After the late 19th century, the whole of Manchuria itself came to be engulfed by the massive influx of Han Chinese, who now constitute approximately 90 percent of the total Manchurian population.25 The evolution in the China-Mongolia-Manchuria triangle left only Outer Mongolia and Korean peninsula to maintain independent polity on the Northeast Asian continent as of the 21st century. the sino-centric basics in writing the qing history A typical sino-centric history of China reads as follows: the Qing empire was “given a certain political and cultural cast by the Manchus”; or the Qing empire was “controlled by the Manchus”; or the Qing empire was founded by the Manchus but the Qing rulers “remade the court to bring it into harmony with established Chinese values” and the “golden age was represented in the rule of the Qian-long emperor, the most Confucian and sinified” of the Qing rulers. According to Crossley (1999: 3), these are the “basics” that are “accepted” in the field of Qing history. The Ming emperors had struggled for control with the civil officials. The Qing emperors ruled. The Manchu more than doubled the territory of the empire. The thirteen Ming provinces and the two metropolitan regions were restructured into eighteen provinces that constituted the inner territory, known as “China proper.” Manchuria, Mongolia, Sinkiang, Tibet, and Taiwan were administered separately under the command of non-Han Chinese. The conquest elite promoted their martial traditions, and ruled the empire. They resisted sinicization. They prospered with their system and they fell with their system.
[각주]
1 See Spence (1990: 27) and Crossley (1997: 207). Nowaday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each province is divided into counties (xian) and townships (xiang). In the Inner Mongolian Autonomous Region, however, counties are still called banners (qi) and townships arrows (sumu). 2 See Spense (1990: 28). 3 Lee (1984: 215) 4 Spence (1990: 30-31) 6 See Elliot (2001: 75). 7 Elliot (2001: 77) 8 According to Crossley (1999: 56), the Nikans, the Han Chinese who had lived around the Liao River basin and consequent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of the empire, were treated differently from those Han Chinese who lived inside the Great Wall. After 1741, the Qing state transferred most of the Nikan bannermen to the Manchu banners, and the Chinese banners were thereafter not distinguished from the Han Chinese civilian population. 9 Crossley (1999: 287) 10 Fairbank (1992: 146-7) 11 Crossley (1997: 127) 12 By giving up the banner status, however, they could conduct commercial activities or manual labor. 13 Crossley (1997: 76) 14 See Fairbank and Goldman (1992: 146). According to Elliott (2110: 364), the (roughly) estimated number of male Manchus in the Eight Banners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about 160,000 to 450,000 persons and that of male Mongols from 84,000 to 180,000 persons, while the total number of male Han Chinese increased from about 133,000 to 600,000 persons between 1648 and 1720. Including females and bondservants, the total population of Eight Banners increased from about 1.9 million persons in 1648 to 3.7 million persons in 1720. 15 Spence (1990: 41) 16 See Elliott (2001: 348, 364).
18 The Eastern Mongols cooperated with the Manchu, and survived as a people to become an independent state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Western Mongols ferociously resisted the Qing and faced ethnic extermination. The Zunghars completely disappeared. Purdue (2005: 286) 19 Elliott (2001: 351). 20 Fairbank and Goldman (1992: 148-149) 21 Spence (1990: 41) 22 The Qing court did not mind the rapid spread of the Yellow Lamaist sect of Tibetan Buddhism among the Mongols. According to Jagchid and Symons (1989: 21), “during the later Qing period, as the Manchus became less reliant on Mongol military power, the registration of Mongols for military service and governmental policies towards the Tibetan Buddhist church grew lax. As the popularity of Buddhism spread, almost half of the male Mongols renounced secular concerns to become lamas and join monasteries. This massive exodus of Mongols from nomadic life diminished the potential for a resurgent Mongol military threat to China because monks produced no offspring and they themselves were unprepared for battle.” 24 Elliott (2001: 355) 25 The total estimated population of Manchuria was 22.6 million persons in 1891, and 46.8 million in 1942. See Gottschang and Lary (2000: 172-3). It has grown to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by 1990 plus an additional 10 million in the northern leagues of Inner Mongolia. As of 1990, the population registered as Manchu numbered about 10 million, and Koreans about 2 million.
|
만주족 청나라의 강역을 물려받은 중화인민공화국 | ||||||||||||
[홍원탁의 동아시아역사 바로보기] | ||||||||||||
| ||||||||||||
| ||||||||||||
손문은 「만주족과 한족(漢族)은 한 가족」이라는 청 왕조의 구호로부터 영감을 받아 「5족 한 가족」(五族 共和)을 제안했던 것 같다. 손문은「국가적 통일이란 한족, 만주족, 몽골족, 이슬람족, 티벳족들이 사는 지역이 통일되어 하나의 국가를 이루어, 이들 5족이 하나의 국민으로 통합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5족이란 건륭제의 명을 받아 편찬한 오체청문감(五體淸文鑒)의 5개 언어에 상응하는 개념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만주족 본고장을 비롯해 청 나라가 정복하고 지배 했던 모든 영토와 종족들을 그대로 물려받은 다음, 「많은 민족들이 함께 뭉친 국갯라 천명을 하고, 55개의 모든 소수민족들을 평등하게 대해줄 것을 약속하면서, 통일다민족국가(統一多民族國家)라는 이념을 내세웠다 청 왕조는, 만주족이 지배적 지위를 차지하는 「국가적인 가족」이라는 개념을 전제로, 중국 인민, 중국 국가, 중국의 영토 등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 했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궁극적으로 모두가 중국화될 것을 확신하면서, 한족이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는 가족 개념의 새로운 정의를 시도했다. 현대 중국이 중화(中華)라는 이름 아래, 많은 지역과 많은 인종들이 화합하여 통합된 국가라는 신화(神話)의 기초는 268년에 걸친 만주족 정복왕조의 통치가 남긴 영토와 인종적인 유산에 기초를 두고 있다. 요하 유역에 정착한 한족들이 사용하던 중국어 방언이 귀에 익은 청 지배자들에 의해 북경관화(北京官話) 역할을 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표준 중국어(普通話)가 된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1932년에 괴뢰 만주국을 세웠고, 1934년 에는 청조의 마지막 황제인 부의(溥儀)를 만주국 황제로 앉혔었다. 현대 일본 역사가들은 1937년부터 1945년까지 벌린 중국에 대한 전면적인 침략전쟁을 일본이 (1644년의) 만주족 정복자들의 발자취를 따라간 행위로 간주한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하나의 가족 홍원탁 (서울대 명예교수) 3극 분석 틀의 끝 청 왕조는, 1839-42년의 영국을 상대로 한 아편전쟁으로부터 1846-8년의 홍수와 기근에 뒤따른 1851-64년의 태평천국(太平天國) 봉기에 이르기까지, 안으로는 한족 농민 반란과 밖으로는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외세의 침탈에 압도되어 정신을 차릴 수 없었다 청은, 외세의 도움뿐 아니라, 관군을 도우면서 자신과 주변 백성들의 가정과 전답을 스스로 지키기 위해 한족 신사(紳士)계급이 조직한 향용(鄕勇, 團練)이라는 민병대 덕분에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할 수 있었다. 1 내우외환의 와중에서 소위 천하무적이라는 만주 팔기군의 명성은 완전히 소멸되었다. 국가보위를 담당하던 팔기군 뿐만이 아니라 치안을 담당하던 한족 녹기군도 제대로 대처를 할 능력이 없었다. 젊은 서태후(西太后) 섭정 치하 북경의 만주족-한족 새 지도층은 서구열강과의 다분히 치외법권적이고 불평등한 조약체제(條約體制)를 수용하고, 지방의 보수적인 한족 신사-장군들을 지원하는 정책을 택해, 농민 반란을 진압하고 청 왕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2 현대식 무장을 갖춘 각 지방의 신식군대 존재는, 더 이상 농민반란이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일본의 명치유신과는 아주 대조적으로, 무지하고 반계몽주의적인 서태후는 서구의 기술과 제도의 도입을 방해하였다. 청 조정은 근대적인 중앙정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다. 서구화는 한족 세력이 지배하는 지방정부 손에 맡겨진 셈이 되어, 만주족 조정을 수세에 몰리도록 만들었다. 3 결국은 청의 지배자들이 국가 통제력을 상실했고, 외세에 의해 국토가 찢겨져 나갔다. 1894-5년에 벌어진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는 중국 본토와 한반도가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장으로 전락하게 만들었다. 청 조정은 일본 세력을 저지하기 위해 제정 러시아를 만주로 끌어들였으나, 일본은 1905년에 노일전쟁에서 승리했고, 남만주와 한반도를 모두 점거하게 되었다. 장개석(蔣介石)은 청 왕조를 몰락시킨 1911년의 신해혁명에 참가하였다. 4 원세개(袁世凱, r.1912-16)는 1911년에 청 황제의 퇴위를 혁명세력과 협상 하면서 초대 총통으로 등장한다. 5 장개석은 제위에 오르려는 원세개를 축출하기 위한 3차 혁명에도 참여하였다. 6 원세개는 1916년에 망명을 준비하던 중, 만성 피로와 요독증(尿毒症)으로 사망했다 “만주족과 한족은 한 가족”이라는 청 조정의 구호(口號) 손문은 1912년부터 다민족의 국가적 통합을 주창하기 시작하였다. “만주족과 한족은 한 가족”이라는 청 왕조의 구호로부터 영감을 받아 손문이 “5족 한 가족”(五族 共和)을 제안했었을 수도 있다. 손문은 “국가의 뿌리는 국민이며, 국가적 통일이란 한족, 만주족, 몽골족, 이슬람족, 티벳족들이 사는 지역이 통일되어 하나의 국가를 이루어, 이들 5족이 하나의 국민으로 통합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7 Elliott(2001: 359-60)에 의하면, “5족 공화”는 청조가 자기들이 세운 제국을 정의한 방식을 그대로 되풀이 한 것이며, 여기서 5족이란 건륭제의 명을 받아 편찬한 오체청문감(五體淸文鑒)의 (만주어, 티벳어, 몽골어, 위구르어, 한어) 5개 언어에 상응하는 것이다. 후에 장개석은 아예 “5개 종족”의 존재를 부인하고 “다섯 인민”이라고 말했다. 장개석은 1918년에 손문의 국민당에 참여하면서 공적인 생활을 시작하였다. 손문의 주된 관심사는 군벌들이 분할 점거한 중국을 재통일하는데 있었다. 손문은 당시 장군 계급을 가진 장개석을 1923년에 모스크바로 보내 적군(赤軍)을 연구하도록 했다 장개석은 레닌과 스탈린을 만나보지 못했으나, 트로츠키를 만났고 코민테른으로부터 조언을 받았다. 장개석은 귀국하자, 광주에 소비에트 방식을 모방해 설립된 황포군관학교의 초대 교장에 임명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민당 군대를 조직하였다. 스탈린은 이 학교의 운영자금을 지원하고, 적군 장성들을 군사 고문관으로 파견하였으며, 장개석이 혁명군 총사령관의 지위에서 쿠테타를 일으키고 공산당을 대대적으로 숙청하기 시작하는 1927년까지 장개석을 지원하였다. 스탈린은 처음에는 국민당을 지원하여, 또 나중에는 공산당을 지원하여 사회혁명을 실현하고자 했다. 군벌 타도를 위해 장개석이 벌린 대대적 전쟁은 군벌시대(1916-27)를 종식시켰다. 1928년, 장개석은 남경에 수립된 신생 중앙정부의 총통이 되었다. 8 1925년에 손문이 죽자, 장개석은 국민당 당수로서 그를 계승하였고, 곧이어 공산당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공산당은 농촌 지역으로 물러가 홍군(中國工農紅軍)과 소비에트 정부를 조직하였다. 1931년, 장시(江西)에 모택동을 수반으로 하는 공산당 소비에트 지구가 수립되었다. 장개석은 공산당에 대해 전면적인 토벌전쟁을 재개하려 했으나, 1932년의 일본군 만주 침략(만주사변)은 모택동에게 숨쉴 여유를 만들어 주었다. 9 일본에 의해 세워진 만주 괴뢰국 일본은 노일전쟁에 이기고 나서 제정 러시아로부터 남만주철도의 운영권과 요동반도의 조차지를 넘겨받았다. 일본 관동군의 참모 장교들이 심양에 있는 중국군 수비대를 공격할 계략을 꾸며, 1931년 9월에 습격을 감행했다 산해관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만주와 내몽골 일부를 점령하고, 1932년에 괴뢰 만주국을 세웠다. 1933년에는 열하성(熱河省)을 합병하고, 국제연맹에서 탈퇴하였으며, 1934년 3월에는 청조의 마지막 황제인 부의(溥儀, r.1909-12)를 만주국 황제로 앉혔다. 10 일본이 만주를 점령했으나, 장개석은 공산당과 먼저 싸우기로 결정하였다. 장개석과의 계속된 전쟁에서 패하자, 모택동은 1934년 10월에 20만 명의 군대와 함께 중국의 남동부를 탈출하여, 소위 1934-5년의 대 장정(長征)에 올라, 북서쪽 산악지대에 위치한 연안(延安)으로 퇴각했다. 공산당 군대는 남중국에서 산시성(陝西省) 북부까지 6천 마일을 이동했던 것이다. 11 일본 역사가들은 1937년부터 1945년까지 벌린 중국에 대한 전면적인 침략전쟁을 일본이 (1644년의) 만주족 정복자들의 발자취를 따라간 행위로 간주한다. 12 청나라의 유산: 다 인종 통합국가로서의 중화인민공화국 대장정 이후, 공산당은 농촌지역의 농민들로부터 적극적인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 모택동은 공산주의 운동의 자타가 공인하는 지도자로 등장했다. 모택동은 무산계급보다는 농민을 혁명의 전위대로 내세웠다. 1937년에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공산당 군대는 장개석의 군대와 협력하여 함께 싸웠으나, 일본이 항복하자 공산주의자들은 장개석의 지휘를 거부하였다.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내전이 벌어졌다. 1949년 4월, 모택동은 남경의 국민당 정권을 축출했고, 장개석 군대는 대만으로 달아났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만주족 본고장을 비롯해 청나라 지배자들이 정복한 모든 영토를 그대로 물려받았고, 티벳은 자신의 정복노력으로 보존하게 되었다. 13 중화인민공화국은 “많은 민족들이 함께 뭉친 국갚라고 천명하고, 55개의 모든 소수민족들을 평등하게 대해줄 것을 약속하면서, 통일다민족국가(統一多民族國家)라는 이념을 내세웠다. 14 청 왕조는, 만주족 자신들이 분명하게 지배적 지위를 차지하는 “국가적인 가족”이라는 개념을 전제로, 중국 인민, 중국 국가, 중국의 영토 등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 했었다. 청나라가 지배하던 바로 그 인민들이 오늘날의 중국 인민들이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궁극적으로 모두가 중국화될 것을 확신하면서, 한족이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는 “국가적인 가족”이라는 개념을 전제로 중국 인민, 현대의 중국이라는 국가, 중국의 영토에 대해 새로운 정의를 시도했다. Elliott(2001: 361)에 의하면, 현대 중국의 국가적 신화(神話)는 중국이 “중화라는 이름 아래, 많은 지역과 많은 인종들이 크게 화합하여 통합된” 국가라는 것이고, 이 신화의 기초는 “300년 가까운 만주족 정복왕조의 통치가 남긴 영토와 인종적인 유산에 근거를 두고 있다” [표준 중국어, 보통화] 만다린은 만주어로도 간주될 수 있다! 중국어의 초기형태는 한장어(漢藏語) 계통에 속하는데, 단음절 형태소 구조, 성조(聲調)의 구별, 어형변화 부재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반면, 알타이 계통 언어는 다음절 형태소, 성조의 부재, 고도로 발달한 어미변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15 그러나 청조 268년(1644-1912)간의 중국 본토 지배는, 만주어의 중국화를 촉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중국어의 알타이어화 역시 촉진했다. “만다린, 만주족의 언어: 얼마나 알타이적이냐?”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논문에서 오카다는 “청(淸)대의 북경 만다린 방언은 고도로 알타이어화 된 중국어”라고 주장한다. 16 알타이어 유형을 가진 북중국 방언의 존재는 명나라(1368-1644) 훨씬 이전 시대에도 발견된다. 청조는 요하 유역에서 사용되던 북중국 방언을 북경으로 가지고 와 북경관화(北京官話) 역할을 하게 했다. 만다린은 만주족과 한족 팔기병들이 서로 의사소통 할 수 있었던 유일한 언어 매체였다. 17 북중국 만다린 방언은 명백히 알타이어의 형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이한 종족들을 융합하는 팔기제도를 통해 세련된 언어 형태가 된 것이다. 만다린은 알타이어의 기층 위에 형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만다린은 오늘날의 한장어(漢藏語) 중에서 음절 안에서의 소리 높이 차이가 가장 적고, 다음절의 단어가 가장 많으며, 어미변화와 알타이적 문장구조를 가진 언어다. 18 이러한 구조적인 전환을 중국어의 알타이어화라고 말한다. Janhunen (1996: 164-8)은, 약간 과장을 한다면, 만다린을 만주어로 간주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3-7 (2005. 9. 3) ⓒ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1862-74년 기간을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고 칭함. 청대 지배계급 중 신사(紳士)는 퇴직 관료, 과거(科擧) 혹은 학교를 통해 학위를 얻어 부와 명예를 소유한 향촌(鄕村) 사회의 특수 구성원을 지칭한다. 2. Fairbank and Goldman (1992: 213) 참조. 3. 전계서 (1992: 213) 참조. 4. 장개석은 1887년에 절강성 염상(鹽商) 가문에서 태어났다. 1906년에 화북에 있는 (원세개가 지원 하는) 보정(保定)군관학교에 입학하였고, 1907년에 일본 동경에 위치한 사관학교에 (청 정부가 중국학생의 학비를 부담해 준 덕분에) 유학을 하였다. 1909-11년 기간 중 일본 북부의 일본군 야포 연대에 근무했었다. 1911년, 부대를 이탈하고 배편으로 상해에 돌아와 혁명에 참여하였다. 5. 원세개는 1859년에 하남성(河南省) 군인 지주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직예총독(總督, 수도 지역 2-3개의 省을 관할)과 내각 총리대신에 임명된 최초의 한인이다. 그는 과거시험에 합격하지 못해 어떠한 학위(學位)도 없었으나, 서태후가 죽는 1908년까지 그녀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았다. 원세개는 이홍장(李鴻章)의 휘하에서 군 생활을 시작하였는데, 그의 부대는 1882년에 일본의 진출을 저지하기 위해 조선으로 파견되었었다. 원세개는 1885년에 한성의 총리교섭통상사의(總理交涉通商事宜)로 임명되었고, 그의 활동은 청일전쟁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원세개는 귀국 후 새로이 설립된 신군(新軍)의 훈련을 맡았다. 6. 신해(辛亥)혁명을 1차 혁명, 송교인(宋敎仁) 암살과 대차관(大借款) 응징을 2차 혁명, 반제제(反帝制) 운동을 3차 혁명이라 부른다 7. Elliott (2001: 359) 참조. 8. 1927년 12월, 장개석은 상해의 재벌인 송가수(宋嘉樹, 세레명은 Charlie Soong)의 셋째 딸 미령과 결혼하고 기독교도가 되었다. 미령(宋美齡)은 1899년에 상해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작은 언니는 손문의 부인 경령(慶齡)이었다. 장개석과 송미령의 결혼은 군권, 정치권, 금권의 결합이었다. 송미령은 웰슬리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영어에 능통하여, 서방 세계에 장개석의 정치적 신조를 홍보하는 글을 많이 썼다. 그녀는 중국인으로는 처음으로, 그리고 여자로서는 두 번째로, 1943년에 미국 상하 양원 합동회의에서 연설을 하였다. 송미령은 그 후 20여 년간 미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10명의 여성 가운데 한 명이 되었다. 9. 모택동은 1893년에 호남성의 부농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1년에 청조를 타도하기 위한 혁명군에 가담하였다. 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소학교 교사와 북경대학 도서관의 조수로서 일했다. 모택동은 1924-25년 기간 중 공산 유격대를 조직하였다. 10. 1940년대 초 만주국의 인구는 4천 3백만 명으로 추산되었는데, 그 중에는 (1920년대 말의 80만 명으로부터 크게 증가한) 약 2백만 명의 조선인이 있었다. 11. 고려공산당은 화북의 중국공산당 운동에서 동맹상대를 찾았으나, 조선의 민족주의자들은 3000명 규모의 광복군을 가지고 장개석의 국민정부에 협조하였다. 일본은 1944년까지 한국인의 16%(약 4백만 명)를 한반도 밖으로 내 보내 일본의 전쟁 수행 목적에 동원했다. Eckert, et al. (1990: 322) 참조 12. Fairbank and Goldman (1992: 312) 13. 19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마자, 티벳인들은 그들의 독립을 위해 싸우기 시작했고, 20여년에 걸친 독립투쟁은 1969년에야 인민해방군에 의해 무력 진압되었던 것이다. 14. Elliott (2001: 160) 참조. 15. Ostler(2005: 138)에 의하면, 알타이 계통 언어의 어휘는, “최소한 명사와 동사들은, 짧은 음절들이 연결되어 만들어 지는데, 모음조화 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나, 어미의 모음은 어근의 모음에게서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어순을 보면, 동사가 문장의 맨 끝에 온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보면, 단음절에 성조를 가지고, 단어를 구성할 때 음절을 모으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동사가 문장에서 두 번째로 나타나는 어순을 가진 중국어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16. Okada Hidehiro, Aetas Manjurica 3 (1992), pp. 165-87. Elliott (2001: 101 and 414)와 Mantarō Hashimoto, "The Altaicization of Northern Chinese," in J. McCoy and T. Light, eds., Contributions to Sino-Tibentan Studies (Leiden: E. J. Brill, 1986), pp. 76-97을 참조. 17. Janhunen(1996: 167)에 의하면, 만다린은 어느 정도 혼합된 유형의 혼성언어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만다린의 초기 역사를 보면, 사용자들 대부분이 실제로 한족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만주족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들이었기 때문이다. 제 2 외국어로서 만다린은 북방 유목민족과 한족간의 의사소통에 쓰였을 뿐만 아니라, 만주에 거주하는 거란족, 몽골족 등 다른 종족들 사이에서도 사용되었다. 종족간에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만다린이 필요 했던 첫 번째 지역 중에 하나는 요동반도였다. 그 지역의 조선어, 여진어, 거란어, 몽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중국어 이외에는 다른 공통 언어가 없었다. 청 왕조의 확장과 더불어 요동지역의 만다린 방언이 북경지역으로 옮겨 온 것이다. 18. Ostler(2005: 145)는 “만다린은 몽골어와 만주어처럼 워먼(我们, 너를 제외한 우리)과 쟌먼(咱们, 너를 포함한 우리)을 구별할 수 있으며, 자음이 연속해서 나오는 현상이 없다. 알타이어 역시 음절을 시작할 때 자음을 한 개 이상 가질 수 없으며, 단독적으로 작용하는 단음절들이 뭉쳐져서 긴 단어를 만들기도 한다”고 말한다. Ostler(2005: 146)는 또, 만다린에서는 “직접 목적어가 동사 앞에 오는 경향이 있으며, 비교형용사 앞에 「~~보다」 라는 구절이 오는데, 이것도 알타이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말한다.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 single family of the han chinese
end of the tripolar framework of analysis From the Opium War against the British in 1839-42 to the Taiping rebellion of 1851-64 that followed the flood and famine of 1846-8, the Qing dynasty was overwhelmed by the Han Chinese peasant rebellions and incursions by foreign commercial interests. The Qing could overthrow the Taiping with the assistance of foreigners and the hundreds of local militia organized by the Han Chinese gentry to defend their homes and fields. The Manchu banner forces’ reputation for invincibility was completely lost. By accepting the very much extraterritorial and unequal treaty system with the Western powers and supporting the conservative Chinese scholar-generals in the provinces, the new leaders (of both Manchu and Han Chinese) at Beijing under the regency of the young Empress Dowager (Cixi) achieved the suppression of the peasant rebellions and gave their dynasty a new lease on life. The new provincial and regional armies with modern arms made peasant uprisings impossible.1 The ignorant and obscurantist Empress Dowager obstructe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technologies and institutions, contrasting strikingly with the Meiji Restoration in Japan. The Qing court could not function as a modern central government. Westernization was left largely to the Chinese provincial authorities where the Han Chinese power had become dominant, and this put the Manchu court on the defensive.2 The Qing rulers eventually lost control of the country, which was to be dismembered by foreign powers. Japan’s victory in the Sino-Japanese War of 1894-5 threw the mainland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into a decade of imperialist rivalries. In order to check Japan, the Qing court invited Russia into Manchuria, but Japan won the Russo-Japanese War of 1905, taking over South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Jiang Jieshi joined the revolution in 1911 that led to the overthrow of the Qing dynasty.3 Yuan Shi-kai (r.1912-16) negotiated with the revolutionaries the abdication of the Qing emperor in 1911, and emerged as president.4 Jiang also joined the third revolution against President Yuan who had declared his intention to become emperor. Yuan died in 1916 while preparing for his own exile. The qing rhetoric of “single family of Manchu and Han chinese” Sun Yat-sen began in 1912 to argue for multiracial national unity. The Qing rhetoric of the “single family of Manchu and Han Chinese” could have been the source of inspiration for Sun to propose “the single family of the five races.” Sun stated that: “The root of a nation is its people. National unity means unifying the areas where Han Chinese, Manchus, Mongols, Muslims, and Tibetans live as a single nation, and the union of these peoples as one people.”5 According to Elliott (2001: 359-60), “the single family of the five races” strongly echoes the Qing formulation of empire, and corresponds to the five languages of the pentaglot Wudi Qingwen-jian, compiled at the order of the Qian-long emperor. Jiang Jieshi later argued “five peoples,” denying that there were “five races” at all. Jiang began public life in 1918 by joining Sun Yat-sen’s Nationalist Party (Kuo-min-tang, KMT). Sun’s chief concern was to reunify China, which had become divided among the warlords. Sun sent Jiang, who now had the rank of general, to Moscow in 1923 to study the Red Army. Jiang was not received by either Lenin or Stalin, but he met Trotsky and received advice from the Comintern. Jiang came back to become principal of the Huang-pu Army Officers Academy that was established in Guang-zhou on the Soviet model, and created a KMT party army. Stalin financed the Academy, sending Red Army generals as the military advisers, and supported Jiang until 1927 when he made a coup as the commander-in-chief of the revolutionary army and carried out a violent purge against the communists. Stalin supported social revolution through aid first to Nationalists and then to Communists. A massive campaign against the warlords by Jiang terminated the warlord era of 1916-27. Jiang became the head of a new central government established at Nan-jing in 1928. 6 When Sun Yat-sen died in 1925, Jiang succeeded him as leader of the Kuomintang and soon started purging communists. The Communists withdrew to the countryside and formed their own army and their own government. By 1931 a communist soviet area had been established in Jiang-xi with Mao heading its government. When Jiang was to renew a full-scale assault against the communists, the Japanese invaded Manchuria in 1932, giving Mao a breathing space.7 Puppet Manchu-guo established by the japanese Japan had taken over the South Manchuria Railway and the leased territory on the Liao-dong peninsula from czarist Russi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 staff officers of the Japanese Guan-dong Army engineered an attack on the Chinese garrison in Mukden (now Shen-yang) in September 1931 and, after occupying the whole of Manchuria (down to Shan-hai-guan) and a portion of Inner Mongolia, established the puppet Manchu-guo in 1932. The province of Rehe (Jehol) was annexed in 1933, Japan withdrew from the League of Nations in 1933, and the last emperor of the Qing dynasty, Pu-yi, was installed as the emperor of Manchu-guo in March 1934.8 Japan occupied Manchuria, but Jiang decided to fight against the communists first. After waging a series of battles against Jiang, Mao had to retreat with an army of 200,000 men in October 1934 from southeastern China to the northwestern mountains of Yan’an in what came to be known as the Long March of 1934-5. Communist forces retreated 6,000 miles into northern Shaansi province.9 The Japanese historians regard the full-fledged Japanese invasion of China from 1937 to 1945 as following the footsteps of the Manchu conquerors of 1644 (see Fairbank and Goldman, 1992, p. 312). the qing legacy: prc as a unified polyethnic state The Communist Party had been gaining local peasant support after the Long March. Mao Ze-dong had emerged as the undisputed leader of the Communist movement. Mao placed the peasantry rather than the proletariat in the vanguard of revolution. When war with Japan broke out in 1937, the Communist army cooperated with Jiang’s forces and with the Allies, but upon Japan’s surrender the Communists defied Jiang’s command. Civil War raged in China in the period 1946-49. Mao brought an end to the Nationalist rule at Nan-jing in April 1949. Jiang’s nationalist forces were routed and fled to Taiwa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on October 1, 1949. The PRC inherited the entire territories conquered by the Qing rulers together with the Manchu homeland, and successfully retained Tibet by its own conquest effort.10 The PRC government pushed the idea of a “unified polyethnic state” (Tong-yi Duo-min-zu Guo-jia), stating that the PRC is “a state in which many nationalities are united,” and promising equality between all of fifty-five ethnic groups.11 The Manchu had initiated the redefinition of the Chinese people, the Chinese nation, and the Chinese territory, apparently preferring the concept of “national family” dominated by the Manchu. The former peoples of the Qing dominions became the modern Chinese peopl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attempted to redefine the Chinese people, the modern Chinese nation, and the Chinese territory possibly preferring the concept of “national family” dominated by the Han Chinese, believing in eventual sinicization. According to Elliott (2001: 361), the modern Chinese national myth is that China is “a grand harmony of many lands and many peoples unified under the name zhong-hua,” and the foundation of this myth “rests in the specific territorial and ethnic legacy left by nearly three centuries of Manchu rule.” the Mandarin may well be characterized as a Manchurian language! The early forms of the Chinese language belong to the Tibeto-Sinitic type, characterized by features such as monosyllabic morpheme structure, tonal distinctions, and absence of morphology. The Altaic languages are characterized by a predominantly polysyllabic morpheme structure, absence of tones, and a highly developed suffixal morphology.12 The 268-year rule (1644-1912) of the mainland China by the Qing dynasty (1616-1912), however, not only fostered the sinicization of Manchurian languages, but also the Altaicization of Chinese. In an article with a rather provocative title of “Mandarin, a Language of the Manchus: How Altaic?,” Okada contends that “the Mandarin dialect of Beijing in Qing times … was a strongly Altaicized form of Chinese.”13 The presence of Northern Chinese dialect with Altaic typology may well be identified long before the Ming period (1368-1644). The Mandarin was carried from the Laio River basin to Beijing by the Qing dynasty. It was the only language with which the Manchus and the Han Chinese bannermen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14 A northern variety of the Chinese language had apparently adopted Altaic typology, and was polished through the ethnically unifying banner system. One might say that Mandarin was formed upon an Altaic substrate (i.e., an Altaic underlying layer). Mandarin is today the Sinitic language characterized by the least number of tones and the largest share of polysyllabic vocabulary, with a tendency towards suffixal morphology and syntactic constructions of the Altaic type.15 This structural transformation has been termed the Altaicization of Chinese. Thus Janhunen (1996: 164-8) concludes that, with some exaggeration, Mandarin can even be characterized as a Manchurian language. BIBLIOGRAPHY
[각주] 2 Ibid. (1992: 213). 3 Jiang Jieshi was born into a salt-merchant family of Zhe-jiang province in 1887. He entered an army school in North China in 1906, a military school in Tokyo in 1907 where courses for Chinese students were paid for by the Qing government, and then served in a Japanese field artillery regiment in northern Japan during 1909-11. Deserting his regiment, Jiang Jieshi sailed back to Shanghai in 1911 to join the revolution. 5 See Elliott (2001: 359). 6 Jiang married Mei-ling in December 1927, the youngest daughter of the Shanghai tycoon, Charlie Soong, and became a Christian. Mei-ling, born in Shanghai in 1899, was the sister of Qing-ling, wife of Sun Yat-sen. The marriage brought together military power, politics and finance. Mei-ling graduated from Wellesley College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Commanding perfect English, she wrote many articles to publicize Jiang’s cause in the West. She became the first Chinese and second woman to address a joint session of the U.S. Congress in 1943. She was one of the ten most admired women in the U.S. for more than two decades. 7 Mao Zedong was born into a well-to-do peasant family in 1893 in Hunan Province. Mao enlisted in the revolutionary army in 1911 to fight against the Qing dynasty. After graduating from a teacher’s college, he worked as a school teacher and library assistant. Mao organized Communist guerrilla units in 1924-25. 8 The population of Manchu-guo was estimated at about 43 million in the early 1940s, including 2 million Koreans (increased from 0.8 million in the late 1920s). 9 The Korean communists found allies within the Chinese communist movement in North China, while the Korean nationalists worked with the KMT with a 3,000-man Korean Restoration Army. The Japanese mobilized as many as 16 percent of the Korean population (about 4 million people) as of 1944 and relocated them outside Korea to serve their war effort. 10 So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RC in 1949, the Tibetans began fighting for their independence until subdued by the PRC army in 1969. 12 Ostler (2005: 138) notes that the Altaic words, “at least the nouns and verbs, are built up … of strings of short elements. … they make use of extensive use of the principle of vowel harmony, so that vowels in the suffixes echo the vowels of the word’s root. Their word order places the verb at the end of the sentence. In all these respects, they are radically different from Chinese, a monosyllabic tone language with little or no word formation, and a basic order in which the verb comes second in the sentence.” 13 Okada Hidehiro, Aetas Manjurica 3 (1992), pp. 165-87. 14 According to Janhunen (1996: 167), “to a certain degree, it is also possible to view Mandarin as a mixed language of the pidgin type, for during its early history many of its users were actually native speakers of various Manchurian languages. As a second language, Mandarin was apparently used not only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Northern Barbarians and the Han Chinese, but also between the different Manchurian ethnic groups themselves. One of the first regions where a need for the interethnic functions of Mandarin arose must have been the Liao-dong Peninsula, where speakers of Korean, Ruzhen, Qidan and Mongol may have had no other common language than Chinese. With the expansion of the Qing dynasty, the Liao-dong variety of Mandarin was taken to Beijing.” 15 Ostler (2005: 145) notes that : “Mandarin Chinese can distinguish wŏmen ‘we(excluding you)’, from zănmen, ‘we (including you)’, just as Mongol and Manchu do … And … one can point to the absence of consonant clusters … Altaic languages cannot abide more than one consonant at the beginning of a syllable. … and strings of previously free monosyllables became congealed into longer words.”
ⓒ 2005 by Wontack Hong |
만주의 어느 지역을 한족(漢族)이 몇 년 동안이나 직접 통치를 했던가? | ||||||||||||||||||||||||||||||||||||||||||||||||
홍원탁의 동아시아 역사 강의(1) | ||||||||||||||||||||||||||||||||||||||||||||||||
| ||||||||||||||||||||||||||||||||||||||||||||||||
| ||||||||||||||||||||||||||||||||||||||||||||||||
일본이나 중국에 의한 역사 왜곡에 흥분하는 사람은 많지만, 정작 연구자가 적고,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도 적다. 홍원탁 교수는 동아시아의 고대사를 20년 이상 연구해 왔다. 많은 외국 사이트들이 동아시아의 역사를 일본, 중국의 관점에서만 기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한국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의 역사를 말하는 것이 이 연재의 목적이다.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 편집자 주 Wontack Hong
After the Han Wu-di’s conquest of Old Chosun in 108 BC, the Han Chinese began to inhabit the fertile Liao River basin called Lioa-dong. It was the only part of Manchuria that could be put under direct control of the Han Chinese dynasties, off and on, for about 800 years out of the last three millennia (1,000 BC-2,000 AD). The Han Chinese settlements were localized almost entirely on a triangular area in southwestern Manchuria centering on the alluvial basin of the Liao River and the uplands of the Liao-dong Peninsula. This area came to be surrounded by a guarded line marked by trees and ditches punctuated with fortified gatehouses. As a major way of preserving their identity and their control of mainland China, the Manchu Qing rulers tried to maintain their homeland as a base separate from the Han Chinese life and culture. In order to prevent Chinese immigration from the Liao River basin northward, northern and eastern Manchuria were closed to Chinese immigration in 1668. A long ditch with an embankment, repeatedly repaired and expanded, was built across southeastern Manchuria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Qing dynasty (1616-1912). It ran from the Great Wall at Shanhai-guan, crossed the Liao River to the north of Mukden, and then returned to the coast near the Korean border down at the Yalu. It marked the boundary of the pale beyond which the Han Chinese should not expand, the statutory limit of Chinese settlement.1
The Inner Willow Palisade extending from Shanhai-guan to the mouth of the Yalu River was intended to keep Han Chinese out of north and east Manchuria, and the Outer Willow Palisade connecting the Liao River (at the north of Mukden) and the Song-hua River (at the north of Jilin) was to keep the Mongolic Xianbei out of Manchuria. Manchu and Mongol bannermen were stationed at twenty outposts (karun) to patrol its perimeter. The Manchus tried to close their homeland to Chinese immigration and maintain Manchuria as a hunting land outside the Chinese agricultural economy.3 Most of Manchuria, with its hunting lands, forests, and streams, was thus preserved for the tribal Manchu peoples for a long while. If we look back over the past three millennia (1000 BC-2000 AD), we see that the Han Chinese were able to occupy the Liao-dong area for less than 840 years: at most 328 years during the Han dynasties (206 BC.-220 AD) after Wu-di’s conquest of Old Chosun in 108 BC; 45 years during the Cao Cao’s Wei dynasty (220-265); less than 51 years during the Western Jin dynasty (265-316); 89 years during the Tang dynasty (618-907) after 668 until the An Lu-shan Rebellion (755-57); 276 years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and 51 years under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2000).4
1 See Elliott (2001: 50), Fairbank, Reischauer and Craig (1973: 223) and Fairbank (1992: 148). 2 See Kim (2004: 598-601). 3 The Manchu Qing rulers mobilized the Liao-dong Han Chinese, in the form of Chinese Bannermen, for their conquest of the Ming dynasty. When they finished conquering the entire mainland of China, the Qing rulers reclassified many of the original Chinese Bannermen as honorary Manchus, and made the Altaicized Chinese of Laio-dong as the official language, called Mandarin, for the entire Han Chinese, though they themselves continued to speak the Manchu language (see Crossley, 1999, p. 56 and Janhunen, 1996, pp. 163-7). 4 During the 364 year period after the beginning of the era of Five Barbarians and Sixteen States (304-439) until the fall of Koguryeo in 668, Liao-dong had been occupied briefly by the Xianbei (Former Yan, 349-370) and then for a long time by Koguryeo. Liao-dong had subsequently been occupied by such “barbarian dynasties” as Parhae (after the An Lu-shan rebellion in 757 until 926) for 169 years; Qidan Laio (916-1125) for 209 years; Ruzhen Jin (1115-1234) for 119 years; Mongol Yuan (1206-1368) for 162 years; and Manchu Qing (1616-1912) for 296 years until at last it was taken over by the modern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5 Wontack Hong East Asian History: A Korean Perspective Vol. 1. No. 1. 2004. 12. 25. 만주의 어느 지역을 한족(漢族)들이 도대체 몇 년 동안이나 직접 통치를 했던가? 한 무제(漢武帝)가 기원 전 108년에 고조선을 정복하고 난 후, 한족(漢族)들은 요동(遼東)이라 불리는 비옥한 요하(遼河) 유역에 이주해 와서 정착하기 시작했다. 지난 3000여 년의 기간 중 (BC 1,000-AD 2,000) 800여 년 내외에 걸쳐서 간헐적으로나마 한족 왕조가 직접적으로 통치할 수 있었던 지역은 만주의 단지 일부분에 불과했다. 한족들이 정착했던 지역은 대부분 요하 유역의 충적지대와 요동반도의 고지대를 중심으로 하는 만주 서남부의 삼각형 모양의 지역에 국한되었었다. 이 지역은 도랑을 파고 제방을 쌓아 만든 장벽으로 둘러싸이게 되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새화 된 관문들도 설치되었다.
청조 초기에 만주의 서남지역을 가로질러 도랑을 파고 제방을 쌓기 시작하면서 계속해서 수리를 하고 확장을 했다. 이 도랑과 제방은 산해관(山海關)에서 시작하여 심양(瀋陽) 북쪽의 요하를 건넌 다음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한반도와 경계를 이루는 압록강 변에 이르렀다. 도랑과 제방으로 이루어진 이 방책은 한족의 거주가 허용된 만주지역의 한계를 표시한 것이다 도랑을 파고 제방에 버드나무를 심어 놓은 장벽이 수백 마일에 이르렀는데 이를 유조변(柳條邊)이라고 불렀다. 청조 때 유조변으로 둘러싸인 지역은 1437-42년 사이와 1479-81년 사이에 축조된 명조(明朝)의 방어벽(邊墻)으로 둘러싸인 지역보다 약간 넓었다. 명조의 방어벽은 몽골-선비(鮮卑)족과 여진(女眞)족의 침입으로부터 한족의 거주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었다 이 방어벽은 만주지역에서의 명나라의 국경선을 획정했었다
청나라의 통치자들은 명나라를 정복하기 위하여 요동의 한족들 상당수를 한인팔기 (漢人八旗)의 형태로 동원하였다. 전 중국대륙을 정복하고 난 후, 청나라 통치자들은 많은 수의 한인팔기를 재분류하여 만주족과 동일하게 대접해 주었다. 그들 자신은 계속 만주어를 사용하면서, 정복된 한족들에게는 상당히 알타이어화된 요동의 중국어를 관화(官話)로 정하여 사용토록 하였다. 요동출신 한인팔기들이 사용했던 중국어가 만주족 지배층의 귀에 친근했기 때문이었다. 지난 3천 년간(BC 1,000–AD 2,000)을 돌아보면, 요동은 겨우 840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만 한족들에 의해 직접 통치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BC 108년에 무제(武帝)가 고조선을 정복한 이후의 한대 328년의 기간(108 BC-220 AD), 조조(曹操) 위(魏, 220-265)의 45년간, 그 뒤를 이른 서진(西晉, 265-316)의 51년간, 당(唐, 618-907)이 고구려를 정복한 668년부터 안록산의 난(755-57)이 일어날 때까지의 89년간, 명(1368-1644)나라 276년간,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의 51년(1949-2000) 간이 한족이 만주를 직접통치를 할 수 있었던 기간들의 상한을 이루는 것이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1 (2004. 12. 25) ⓒ 2004 by Wontack Hong
|